여고생에서 체질량지수와 가족기능과의 관계
- Author(s)
- 오요한
- Issued Date
- 2011-12
- Abstract
- 청소년 비만은 고혈압, 당뇨병, 심혈관질환 등 각종 만성질환의 발병 시기를 앞당기기 때문에 성인 비만보다 훨씬 위험하다. 우리나라에서는 가족기능과 비만 발생간의 연관성에 관한 이전 연구들은 제한적으로 수행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대구지역 일부 여고생에서 비만이 가족기능과 실제적으로 연관성이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2010년 5월에 임의로 선정한 대구 시내 한 고등학교에 재학중인 411명의 청소년에게 국문으로 번역된 가족기능지수(Family APGAR), 사회경제적 가정 환경, 생활 습관을 묻는 자기기입식 설문조사를 하여 충실히 응답하였고, 가족기능에 영향을 미칠 병력이 없는 357명을 최종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이중 청소년 비만도를 구하여 체질량 지수가 23 kg/m² 미만을 정상체중군, 체질량 지수가 23 kg/m² 이상을 과체중 및 비만군으로 분류하였고, 다중 로지스틱 회기분석으로 비만과 가족기능간의 독립적인 연관성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를 보면 전체 357명 중 90.5%가 정상 체중군 이었고, 9.5%가 비만군에 속하였다. 다중 로지스틱 회귀분석 결과 가족기능이 좋지 않을수록 (p = 0.033), 어머니의 체형이 더 비만 할수록(p < 0.001) 비만군에 속할 가능성이 유의하게 높았다.
청소년 비만과 관련될 수 있는 가족 내 환경과 가족기능지수에 관해 살펴본 결과, 정상체중군의 가족기능이 비만군보다 더 좋았다. 이는 가족기능이 청소년 비만의 원인이 될 수 있음을 지지하는 결과로 생각된다. 그리고 어머니의 높은 체질량 지수가 비만과 관련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청소년 비만의 치료 시 개별적인 치료를 비롯한 가족기능을 고려한 포괄적인 사회적인 지지 등 다각적인 관리가 동반되어야 한다.
The association between obesity and poor family function has been controversial in previous studies and has seldom been evaluated in Korean adolescents.
A questionnaire investigating family function (Family APGAR, Korean Family Function Assessment Tool), socioeconomic environment, and behavioral characteristics was administered to 411 female adolescents enrolled in a Korean high school. A total of 357 adolescents who answered the questionnaire completely and had no diseases influencing family function were included. After calculating body mass index (BMI) using data from physical measurements at school, we classified participants into overweight-obese (BMI ≥ 23.0 kg/m2) and normal weight groups (18.5 kg/m2 ≤ Body Mass Index (BMI) < 23.0 kg/m2) based on reference data from the WHO (Asia-Pacific region) and The Korean Society for the Study of Obesity.
The prevalence of overweight-obese students was 9.5%. Higher maternal BMI and lower Family APGAR score were associated with overweight-obesity.
Multivariable-adjusted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also showed overweight-obesity was associated with poor family function, and higher BMI of the mother.
The study indicates that the factor associated with overweight-obesity is maternal BMI, In addition, the family function of overweight-obese group was poorer than the normal weight group suggesting that poor family function can be both a factor contributing to adolescent obesity and a function of having an obese child in the house.
- 공개 및 라이선스
-
- 파일 목록
-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