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명대학교 의학도서관 Repository

무증상적 요이상을 보인 성인 환자의 장기 예후

Metadata Downloads
Author(s)
최고
Issued Date
2010-12
Abstract
최근 학교 및 직장 검진의 보편화로 무증상적 요이상의 발견 율이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무증상적 요이상 환자들의 장기 경과 및 예후에 대한 자료는 아직까지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무증상적 요이상을 보인 성인 환자들에서 경피적 신생검을 시행하여 원인 신질환과 장기적인 예후를 조사 하였다.
1995년 1월부터 2009년 8월까지 계명의대 동산병원에서 무증상적 요이상으로 신생검을 받고 1년 이상 추적이 가능하였던 성인 환자들을 대상으로 후향적으로 의무기록을 조사하였다.
무증상적 요이상으로 신생검을 받았으며 이들 중 1년 이상 추적관찰이 가능하였던 333명의 환자가 본 연구에 포함되었다. 이들 환자의 평균 연령은 33.9 ± 13.3세, 남녀 비는 1.4:1, 평균 추적기간은 69.5 ± 45.6개월이었다. 내원 당시 무증상적 요이상의 임상 발현 양상은 현미경적 혈뇨를 보인 환자가 79명(23.7%, 이하 혈뇨 군), 고립성 단백뇨를 보인환자가 30명 (9.0%, 이하 단백뇨 군), 현미경적 혈뇨와 단백뇨를 모두 동반한 환자가 224명(67.3%, 이하 혼합형 군)이었다. 혈뇨군이 진단 당시 연령이 낮았으며(p<0.000), 추적기간도 단백뇨 군 및 혼합형 군보다 유의하게 짧았다(p=0.013). 조직학적 진단은 IgA신증이 244명(73.3%)으로 가장 많았다. 추적기간 중 총 51명(15.3%)의 환자가 만성 신부전으로 진행하였으며 이들 중 8명(2.4%)에서 말기신부전으로 진행되었다. 만성 신부전으로의 진행률은 혈뇨 군이 5.1%, 단백뇨 군이 20.0% 혼합형 군이 18.3%로 혈뇨 군 보다 단백뇨 군과 혼합형 군에서 만성 신부전으로 진행하는 비율이 유의하게 높았다(p=0.015). 진단 당시 1일 요단백 배설량이 0.5 g 미만군은 153명중 7.2%에서, 0.5 g 이상군에서는 180명중 22.2%에서 만성 신부전으로 진행되어, 요단백 배설량이 0.5gm 이상군에서 유의하게 만성 신부전으로의 진행이 유의하게 높았다(p<0.000). 만성 신부전으로의 진행과 관련된 위험인자로는, 1일 요단백량 만이 독립적인 위험인자로 나타 났다.
무증상적 요이상이 있는 성인 환자의 병리 조직학적 진단은 IgA신증이 가장 많았다. 단백뇨가 동반된 경우 만성 신부전으로의 진행률이 높았고 다변량 분석결과. 1일 요단백 배설량 0.5 g 이상이 만성 신부전 진행의 유의한 위험인자로 나타났다.
Urinalysis is one of the best methods for achieving early detection of renal disease and recent wide-spread use of mass screening led to in creasing prevalence of asymptomatic urinary abnormalities. Usually, primary chronic glomerulonephritis is first presenting with aymptomatic urinary abnormalities and chronic glomerulonephritis commonly cause end-stage renal disease. However, long-term outcome of asymptomatic urinary abnormalities in adults is not well known.
Between Jan 1995 to Aug 2009, 333 patients with asymptomatic urinary abnormalities who underwent percutaneous renal biopsy were enrolled. A retrospective study was performed to clarify the prognostic factors and the long-term renal outcome of this disease.
According to clinical manifestation there were 79 (23.7%) of isolated microscopic hematuria, 30 (9.0%) of isolated proteinuria and 224 (67.3%) of mixed hematuria and proteinuria. The patients were significantly younger in case with microscopic hematuria. Group with microscopic hematuria had significantly shortest follow up period(p=0.013). In pathologic diagnois, IgA nephropathy was most common with 244 patients(73.3%). The proteinuria group and mixed group showed significantly higher rate of progression to chronic renal failure than the microscopic hematuria group(p=0.015). The group that 24-hour proteinuria was more than 0.5 g/day showed significantly higher progression rate to chronic renal failure(p=0.000). Using univariate regression analysis, 3 risk factors for progression to chronic renal failure were identified : age, serum creatinine, 24-hour total urine protein were associated with significant risk factor for progression to chronic renal failure. In multivariate regression analysis, only 24-hour proteinuria was the independent prognostic factors for progression to chronic renal failure.
IgA nephropathy is the most common cause of asymptomatic urinary abnormalities in adults. The group of proteinuria has higher progression rate to chronic renal failure than other groups. Over 0.5 gm of 24-hour proteinuria is a significant risk factor for progression to chronic renal failure in multivariate regression analysis.
Alternative Title
(A) Long-term Follow-up Study of Asymptomatic Urinary Abnormalities in Adults
Awarded Date
2011-02
Degree
석사
Citation
최고. (201012). 무증상적 요이상을 보인 성인 환자의 장기 예후.
Type
Thesis
Source
http://dcollection.kmu.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9514
URI
https://kumel.medlib.dsmc.or.kr/handle/2015.oak/11608
Appears in Collections:
1. School of Medicine (의과대학) > 석사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 관련 파일이 존재하지 않습니다.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