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명대학교 의학도서관 Repository

진행성 간세포암에서 동시 간동맥 항암-방사선 요법과 간동맥 항암 단독 요법의 치료 효과 비교

Metadata Downloads
Author(s)
이경인
Issued Date
2009-06
Abstract
배경/목적 : 진행성 간암은 예후가 불량하여 확립된 치료 방법이 없는 상태로 진행성 간세포암에서 동시 간동맥 항암-방사선 요법(동시 요법)과 간동맥 항암 단독 요법(단독 요법)의 치료 효과를 비교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2004년 1월 1일부터 2009년 2월까지 계명대학교 동산의료원에서 진행성 간세포암을 진단 받은 환자 중 동시 요법을 시행한 환자 16명과 단독 요법을 시행한 환자 42명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80세 이상, ECOG 2 이상, Child-Pugh C 등급, 신기능 이상을 가진 환자와 간 외 종양 전이가 있는 환자는 제외하였다. 두 군에서 chemoport를 통해 5-FU/Cisplatin/ Leucovorin을 연속 5일간 3주 간격으로 투여하였으며 동시 요법 군에서는 평균 방사선 4500cGy를 5주에 걸쳐 조사하고, 2주기 항암 요법 후 치료 효과를 평가하였다.
결과 : 대상 환자는 총 58명(남자 50명, 여자 8명)으로 평균 나이는 57.8세(40∼73세)이었으며, 기저 질환은 HBV 49명(84%), HCV 5명(9%), 기타 4명(7%)이었다. 두 군에서 Child-Pugh 등급과 간암 병기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2주기 항암 치료와 방사선 치료가 완결되고 시행한 복부 전산화단층촬영 결과 동시 요법군에서는 PR 7명, SD 9명이었고 단독 요법군에서는 PR 8명, SD 20명, PD 14명으로 치료 반응률은 각각 43.8%, 19.0%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1). 동시 요법을 시행한 환자 중에서도 Child-Pugh A 등급의 경우 치료 반응이 유의하게 좋았다(P=0.008). 간문맥 혈전 동반 유무에 따른 치료 반응의 차이는 없었으며, 동시 요법군과 단독 요법군 간의 유의한 생존 기간의 차이는 없었다. 치료 후 알파태아단백의 중앙값은 단독 요법군에 비해 동시 요법군에서 유의한 감소를 보였으며(P=0.04), 특히 단독 요법 군에서 치료 전 알파태아단백 값이 높았던 경우(AFP >1000IU/mL) 치료 반응이 좋지 않았다(P=0.03). 치료와 관련된 부작용으로는 발열(7례), 심한 오심(5례), 도관 감염(3례), 백혈구 혹은 혈소판 감소(2례), 구강 내 진균 감염(1례)이 있었다. 사망이 확인된 37명의 사인은 간부전(27명), 간암 파열(4명), 정맥류 출혈(2명), 패혈증(2명), 간폐증후군과 뇌 전이 각 1명이었다.
결론 : 간기능이 보존된 진행성 간세포암 환자에서 동시 간동맥 항암-방사선 요법은 간동맥 항암 단독 요법을 시행한 환자군에 비해 우수한 방사선학적 반응과 의미있는 알파태아단백의 감소를 보이므로 적극적인 치료가 예후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동시 요법군의 추적 관찰 기간이 상대적으로 짧아 생존율에서 의미 있는 결과를 확인하지 못하였으므로 더 많은 수의 환자를 대상으로 보다 장기적인 연구가 지속되어야 할 것이다.
초록 (Abstract)


Background/Aims : Advanced hepatocellular carcinoma has a poor prognosis and has no curative therapy.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therapeutic effects of concurrent chemoradiotherapy and hepatic arterial infusion therapy in advanced hepatocellular carcinoma.
Methods : Between January 2004 and February 2009, fifty eight patients(concurrent chemoradiotherapy; 16 and hepatic arterial infusion therapy; 42) with advanced hepatocellular carcinoma(stage IV) were included in this study. Exclusion criteria was older than 80 years, more than ECOG 2, Child-Pugh class C, renal dysfunction, or extrahepatic metastasis. The patients received 5-FU(250mg)/Cisplatin (10mg)/ Leucovorin(12mg) for 5 days every 3 weeks via implanted chemoport. In concurrent chemoradiotherapy group, patients were treated with external beam radiotherapy(4500 cGy/5 weeks) in addition to hepatic arterial infusion therapy. After 2 cycles of all these therapies, abdominal CT and serum alpha-fetoprotein were used to evaluate tumor response.
Results : In patients treated with concurrent chemoradiotherapy and hepatic arterial infusion therapy, response rates after 2 cycles were 43.8%(partial response 7, stable disease 9) and 19.0%(partial response 8, stable disease 20, progressive disease 14), respectively(P=0.010). Particularly patients with Child-Pugh class A in concurrent chemoradiotherapy showed good response(P=0.008). No difference of response rate according to presence of portal vein tumor thrombosis. The median survival time of concurrent chemoradiotherapy group was 171 days compared with 152 days for hepatic arterial infusion therapy. Patients who underwent hepatic arterial infusion therapy with high pre-treatment alpha-fetoprotein level(≥1000 ng/mL), they had poor response(P=0.003). Patients treated with concurrent chemoradiotherapy showed significant decline of post-treatment alpha-fetoprotein(P=0.042). The treatment-related complications were fever, nausea, implanted port infection, leukopenia or thrombocytopenia, oral candidiasis. The causes of death were hepatic decompensation, hepatoma rupture, variceal bleeding, sepsis, hepatopulmonary syndrome and brain metastasis.
Conclusions : Concurrent chemoradiotherapy achieved favorable results in advanced hepatocellulcar carcinoma with good reserve liver function compared with hepatic arterial infusion therapy. Concurrent chemoradiotherapy can be considered as a treatment option for the management of advanced hepatocellular carcinoma. However further investigation is required to assess long term response rate and overall survival.
Alternative Title
(The) Comparison of Treatment Efficacy Between Concurrent Chemoradiotherapy and Hepatic Arterial Infusion Therapy in Advanced Hepatocellular Carcinoma
Awarded Date
2009-08
Degree
석사
Citation
이경인. (200906). 진행성 간세포암에서 동시 간동맥 항암-방사선 요법과 간동맥 항암 단독 요법의 치료 효과 비교.
Type
Thesis
Source
http://dcollection.kmu.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8132
URI
https://kumel.medlib.dsmc.or.kr/handle/2015.oak/11709
Appears in Collections:
1. School of Medicine (의과대학) > 석사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 관련 파일이 존재하지 않습니다.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