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명대학교 의학도서관 Repository

pAkt 단백 발현이 자궁내막암 예후에 미치는 영향

Metadata Downloads
Author(s)
남동윤
Issued Date
2008-06
Abstract
이 연구는 자궁내막암에서 Akt의 활성과 관계한 예후인자로서의 역할에 대해 아직 정확히 밝혀진 바 없으므로 본 연구자는 Akt의 활성화된 pAKT의 발현과 자궁내막암과의 상관관계를 면역조직 화학 염색을 이용하여 생존율과의 관계를 규명하고자 이 연구를 계획하였다.
세포주에서 자궁내막암과 정상자궁내막에서의 pAkt 발현 분석을 위해 Hec 1A, Ishikawa, 및 T-HESCs 세포주를 이용하여 세포주에서의 발현을 분석하였다. 자궁내막암으로 진단받고 자궁적출술을 시행한 환자들중 병리학적 재검토가 가능했던 80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pAkt에 대한 면역조직학적 검사를 시행하였다. 이를 토대로 상관관계 분석 및 생존율 분석을 하였으며, 대상 환자의 평균 추적 기간은 72개월 이었다. 80명의 자궁내막암 환자들의 평균 연령은 52.3세였으며, 28세부터 73세까지 분포하였다. 병리조직학적 분류상 자궁내막양선암(endometrioid adenocarcinoma)이 70명(87.5%)으로 대부분을 차지하였으며, 그 외 비자궁내막양 선암(non-endometrioid adenocarcinoma)이 10명(12.5%)이었다. 조직학적 세포분화도 분류상 세포분화도 1은 35명(44%), 세포분화도 2는 33명(41%), 세포분화도 3은 12명(15%)을 나타내었다. FIGO의 수술적 병기상 분포를 보면 병기 I이 59명(73.7%)으로서 대부분을 차지하였고, 병기 II는 5명(6.2%), 병기 III은 9명(11.2%), 병기 IV는 2명(2.5%), 병기를 알 수 없는 것이 5명(6.2%)이었다. 자궁내막암 세포주인 Hec 1A, Ishikawa 세포주와, 정상 자궁내막암 세포주인 T-HESCs 에서의 Akt와 pAkt의 발현을 분석하여본 결과 모두에서 Akt의 발현은 보이지만, 활성화된 pAkt의 발현은 자궁내막암 세포주에서만 발현을 보였다. 전체 80명의 자궁내막암 환자에서 pAkt의 발현율은 46% 이었다. 발현되는 pAkt와 병기와의 상관관계는 통계적으로 의미가 없었으며, 세포분화도와의 비교에서는 세포분화도가 나빠질수록 통계적으로 의미 있게 발현의 증가를 보였다(p = 0.042). pAkt의 발현과 생존율에 있어서 의미있는 예후 관련성이 있는지를 단변량 분석으로 조사하였다. pAkt의 발현과 생존율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전체 5년 생존율의 감소를 보였다(p < 0.05).
이상의 결과로 자궁내막암 환자에서 pAkt의 발현은 불량 예후인자로서의 가능성을 제시하였으며, 향후 많은 환자군에서 다기관으로 접근하여 좀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The tumor suppressor PTEN acts as a lipid phosphatase, regulates the phosphatidylinositol 3-kinase (PI3K)/Akt-signaling pathway, and modulates cell cycle progression and cell survival. Somatic mutations of PTEN have been reported in a variety of cancers, especially in endometrial carcinoma. To clarify whether and how the PI3K/Akt pathway relates to endometrial carcinoma, the expression of those pathway-related proteins in patients with endometrial carcinoma were examined.
In order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pakt expression and prognosis in endometrial cancer, 80 patients with endometrial cancer were enrolled. Immunohistochemical analysis and Western-blot were performed.
Preliminary, Western blot analysis from endometrial cancr cell line (Hec-1A and Ishikawa) and normal endometrial cell line showed increased expression of pakt protein in endometrial cancer cells compared to normal cell. The mean age was 52.3 years. Stage I were 59 cases, stage II were 5 cases, stage III were 9 cases, stage IV were 2 cases, and unknown stage were 5 cases. Of 80 endometrial carcinomas, 37 (46%) showed positive immunochemical staining of pakt. The survival rate for pakt negative case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for pakt positive cases. These results showed that increased expression level of pakt was significantly different correlated with potential aggressiveness of endometrial cancer (Spearman's correlation coefficient method, p = 0.05). The current study demonstrates that pakt-positive staining is a significant indicator of poor survival for patients with endometrial cancer.
Alternative Title
pAkt Is a Poor Prognostic Factor for Patients with Endometrial Cancer
Awarded Date
2008-08
Degree
석사
Citation
남동윤. (200806). pAkt 단백 발현이 자궁내막암 예후에 미치는 영향.
Type
Thesis
Source
http://dcollection.kmu.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7230
URI
https://kumel.medlib.dsmc.or.kr/handle/2015.oak/11769
Appears in Collections:
1. School of Medicine (의과대학) > 석사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 관련 파일이 존재하지 않습니다.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