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 석고모형에서 간접인체계측법의 정확성 : 직접인체계측법과의 비교
- Author(s)
- 백대향
- Issued Date
- 2007-06
- Abstract
- 석고모형을 이용한 간접인체계측법은 값이 싸고 손쉽게 만들 수 있는 3차원 모델을 사용함으로써 2차원 영상을 통한 계측을 하는 사진계측법(photogrammetry)에 비하여 직접인체계측법에 좀더 근접한 계측을 할 수 있으며 재현성(reproducibility)이 높아서 안면성형술의 술전계획과 술후평가를 위하여 오랫동안 널리 사용되어 왔다. 저자들은 코석고모형에서 얻은 여러 가지 지표(landmark)간의 거리, 각도, 그리고 기울기의 간접인체계측치와 직접인체계측치와를 비교함으로써 석고모형을 이용한 코의 간접인체계측법의 정확성을 알아보았다.
얼굴의 기형, 변형 또는 질환이 없는 20대(평균 27.1세) 의과대학생 남녀 각각 50명, 총 100명을 대상으로 직접인체계측과 석고모형을 이용한 간접인체계측을 하였다. 석고모형은 alginate인상제와 석고로써 만들었으며, 직접인체계측은 활주측경기(sliding caliper), 확장측경기(spreading caliper), 각도기, 그리고 천으로 만든 mm 단위의 폭이 좁은 줄자를 사용하여 코 주위에 있는 11개 지표 사이의 거리, 각도, 그리고 기울기 등 총 25개의 계측항목을 계측하였으며, 석고모형계측은 석고모형으로부터 똑같은 항목을 계측하였다. 이렇게 얻은 계측치들을 SPSS (statistical package for social science) 프로그램의 독립 T 검정법으로써 서로 비교하였다.
인체계측을 통하여 구한 거리, 각도, 그리고 기울기의 평균값으로서 20대 한국 성인남녀 코의 표준계측치를 구하였으며, 2가지 계측치를 서로 비교하였을 때, 총 25개의 계측항목 중 비주구순각(nasolabial angle)을 제외한 24개의 계측항목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이 꼭 같았다(p<0.05).
석고모형을 이용한 코의 간접인체계측법은 직접인체계측법과 비교하였을 때 96%의 계측항목에서 정확성을 보였다. 비주구순각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인 가능성 있는 이유는 2가지이다. 첫째는, 간접계측으로서 피검자의 석고모형을 만드는 과정에서 호흡을 도와주기 위하여 좌측 구각에 위치시킨 5 mm지름의 음료용 빨대를 피검자가 물어서 구륜근이 수축하면서 인중이 돌출되었기 때문으로 생각한다. 둘째는, 직접인체계측법에서 각도기에 의한 피부눌림현상 때문에 더 크게 측정되었을 가능성을 배재할 수 없다. 지름이 더 큰 빨대를 사용하여 많은 양의 공기를 천천히 유입시킴으로써 호흡하기가 더 쉽게 하거나, 피검자에게 심리적인 불쾌감을 주지 않으면서 비공을 통한 호흡을 도모하여 석고모형을 제작하고, 직접인체계측 때 계측도구의 사용에 주의를 기울인다면 석고모형을 이용한 간접인체계측법의 정확성을 조금 더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I measured linear distances, angles and inclinations on the case model of the nose, and compared these indirect measurements with the direct measurements obtained from the nose in order to validate the accuracy of the indirect anthropometry using the cast model. Subjects were 50 males and 50 females, undergraduate medical students at twenties (mean 27.1 years). Cast models were made from the alginate impression material and the plaster. In direct anthropometry, 16 linear measurements, 7 angular measurements, and 2 inclination measurements between 11 landmarks on the nose were obtained using the sliding caliper, the spreading caliper, and the fabric tape measure. At the same time, the same measurements were obtained from the cast models of the same persons. Total 25 measurements were compared, and tested by the independent t-test of SPSS. The standard values of Korean nose at twenties were obtained. Of the total 25 measurements, 24 measurements except the columellar labial angle were not statistically different between the indirect anthropometry on the cast model and the direct anthropometry (96%). There are two possible reasons that caused the difference of columellar labial angle between direct and indirect anthropometry. First, the columellar labial angle could be decreased by protrusion of the lips which resulted from contracting mouth in which an drinking straw had been applied on the mouth corner for patients’ respiration during making cast model. Second, it is generally known that the columellar labial angle could be measured larger when soft tissues were pressed by protractor in direct anthropometry. Using a drinking straw with greater diameter, and scheming respiration through the nostrils that patients don’t feel discomfort, the more accurate data would be obtained from the indirect anthropometry using the cast models of the noses.
- Alternative Title
- Accuracy of Indirect Anthropometry on Case Model of The Nose: Comparison with Direct Anthropometry
- Awarded Date
- 2007-08
- Degree
- 석사
- Citation
- 백대향. (200706). 코 석고모형에서 간접인체계측법의 정확성 : 직접인체계측법과의 비교.
- Type
- Thesis
- Source
- http://dcollection.kmu.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6533
- URI
- https://kumel.medlib.dsmc.or.kr/handle/2015.oak/11822
-
Appears in Collections:
- 1. School of Medicine (의과대학) > 석사
- 공개 및 라이선스
-
- 파일 목록
-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