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만환자에서 복부피하지방분포와 혈중지질, 공복혈당 및 동맥경화지수와의 관계
- Author(s)
- 현지원
- Issued Date
- 2006-12
- Abstract
- 복부내장지방과 혈중지질수치가 강한 연관성이 있다고 알려져 있으며, 심부복부피하지방 역시 몇몇 연구에서 혈중지질수치와 연관성이 보고되어 있다. 그러나 국내에서는 이러한 연구가 부족하므로, 이에 비만한 한국인에서 심부복부피하지방과 혈중지질수치, 공복혈당, 혹은 동맥경화지수와의 연관성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2005년 7월부터 2006년 5월까지 일개 대학병원의 비만클리닉을 방문하여 복부지방 컴퓨터단층촬영을 시행한 체질량지수 23 kg/m2 이상인 한국인 92명을 대상으로 하여, 총지방), 복부내장지방, 심부복부피하지방, 대퇴지방과, 총콜레스테롤, 중성지방, 저밀도지단백, 고밀도지단백, 공복혈당, 동맥경화지수를 조사하여, 그 상관관계를 조사하였다.
조사결과 복부내장지방과 심부복부피하지방은 상관관계가 있었다. 여성군에서 실시한 상관분석 결과 심부복부피하지방/총지방은 중성지방, 총콜레스테롤/고밀도지단백, 중성지방/고밀도지단백과 음의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심부복부피하지방+복부내장지방은 저밀도지단백/고밀도지단백과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복부내장지방은 중성지방, 총콜레스테롤/고밀도지단백, 중성지방/고밀도지단백, 저밀도지단백/고밀도지단백과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고밀도지단백과는 음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남성군에서 실시한 상관분석 결과 대퇴지방/심부복부피하지방은 고밀도지단백과 양의 상관관계가, 중성지방/고밀도지단백과는 음의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심부복부피하지방/총지방은 공복혈당과 음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여성군에서 다중회귀분석을 시행하여 고밀도지단백, 중성지방, 총콜레스테롤/고밀도지단백, 중성지방/고밀도지단백, 저밀도지단백/고밀도지단백을 가장 잘 설명해 주는 복부지방부위는 내장지방이었으며, 공복혈당을 가장 잘 설명해 주는 복부지방부위는 총지방이었다. 남성군에서 다중회귀분석을 시행하여 고밀도지단백과 중성지방/고밀도지단백을 가장 잘 설명해 주는 복부지방부위는 대퇴지방/심부복부피하지방이었고, 공복혈당을 가장 잘 설명해 주는 복부지방부위는 대퇴지방이었다.
이상의 결과로, 여성군에서 대사증후군과 동맥경화증을 예측할 수 있는 요인은 복부내장지방이었으며, 남성군에서 대사증후군과 동백경화증을 예측할 수 있는 요인은 대퇴지방/심부복부피하지방이었다.
The present study was designed to find out the relationship between DSF and plasma lipoprotein levels, FBS and atherogenic index.
The subjects were 92 obese adults, who visited the obesity clinic in a general hospital from July 2005 to May 2006. Total fat (TF), VF, DSF, thigh fat were assessed by CT scan and total cholesterol (TC), TG, LDL, HDL, FBS and atherogenic index were measured.
In women, DSF/TF was negatively related to TC/HDL and TG/HDL; DSF+VF positively to LDL/HDL; VF positively to TG, TC/HDL, LDL/HDL and negatively to HDL. In men, thigh fat/DSF was positively related to HDL, and negatively to TG/HDL; DSF/TF negatively to FBS.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were performed to identify independent correlates of variables. In women, VF was the best predictor of HDL, TG, TC/HDL, TG/HDL and LDL/HDL; TF for FBS. In men, thigh fat/DSF was the best predictor of HDL and TG/HDL; thigh fat for FBS.
As a result, VF for women, thigh fat/DSF for men was the best predictor of metabolic syndrome and atherosclerosis.
- Alternative Title
- Relationship between abdominal subcutaneous fat distribution and plasma lipoprotein, fasting blood sugar, and atherogenic index in obesity group
- Awarded Date
- 2007-02
- Degree
- 석사
- Citation
- 현지원. (200612). 비만환자에서 복부피하지방분포와 혈중지질, 공복혈당 및 동맥경화지수와의 관계.
- Type
- Thesis
- Source
- http://dcollection.kmu.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6135
- URI
- https://kumel.medlib.dsmc.or.kr/handle/2015.oak/11834
-
Appears in Collections:
- 1. School of Medicine (의과대학) > 석사
- 공개 및 라이선스
-
- 파일 목록
-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