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명대학교 의학도서관 Repository

침윤성 유방암 환자에서 p53 유전자의 면역조직화학적 발현의 중요성

Metadata Downloads
Author(s)
조주연
Issued Date
2005-06
Abstract
배경: 유방암은 우리나라 여성에서 첫 번째로 흔한 암으로 종양 억제유전자인 p53은 유방암에 대한 유용한 예후인자로 사용되나, 정기적인 면역조직화학 염색에 대하여 통일된 의견이 잘 이루어지지 않는 상태로 이 연구의 목적은 침윤성 유방암에서 면역조직화학적 분석을 통하여 p53 유전자 발현의 예후적 중요성을 연구하기 위한 것이다.
방법: 1993년 1월에서 2004년 9월까지 계명대학교 동산의료원에서 조직학적으로 침윤성 유방선암(invasive breast cancer)으로 확진받고 근치적 치료를 시행하였던 439명을 대상으로 후향적 임상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전체 환자는 439명이였으며, 연령은 23세에서 85세까지로 전체 평균 연령은 47.8세였다. 변형근치유방절제술(modified radical mastectomy)을 시행한 경우가 369명(84.1%), 유방보존술을 시행한 경우가 70명(15.9%)이었다. 수술 후 호르몬 치료는 336명(76.5%), 보조 화학요법 364명(83.3%), 방사선 조사는 101명(23%)에서 시행되었다. 전체 병기는 stage I이 23.9%, IIA가 38.5%, IIB가 32.6%, IIIA가 4.8%, IIIB가 0.2%로 stage IIA가 전체의 38.5%로 가장 많았다. p53 단백 발현군은 227예(51.7%), p53 단백 비발현군은 212예(48.3%)이었다. p53 단백 발현군의 평균 연령은 46.7세로 p53 단백 비발현군의 평균 연령 48.9세보다 낮았고(p=0.035), p53 단백 발현군은 p53 단백 비발현군에 비해 신경 침범이 적고(p=0.041), N0 군에 흔하였다(p=0.013). p53 단백 발현군은 종양의 크기, 조직학적 소견, 병기, 호르몬 수용체 유무와는 관련이 없었고, 5년, 10년 전체 생존율은 각각 91.5%, 89.1%였고, 5년, 10년 무재발 생존율은 각각 80.3%, 78.5%였다. 전체 생존율에 대한 다변량 분석에서는 림프절 전이, p53 단백 발현 유무, 종양의 수, 종양의 크기가 유의하게 나타났다. 무재발 생존율에 대한 다변량 분석에서는 림프절 전이, 에스트로겐 수용체의 유무만이 유의하게 나타났다. 림프절 전이가 있을 경우 p53 단백 발현군의 전체 생존율은 5년 79.4%, 10년 72.1%로 p53 단백 비발현군에 비하여 유의하게 생존율이 나빴다(p=0.017). 림프절 전이가 있는 환자의 전체 생존율에 대한 다변량 분석에서는 p53 단백 발현 유무와 종양의 크기만이 유의하게 나타났고, 무재발 생존율에 대한 다변량 분석에서는 에스트로겐 수용체의 유무만이 유의하게 나타났으며 p53 단백 발현 유무는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결론: p53 유전자의 면역조직화학적 염색은 근치적 수술을 시행한 림프절 전이가 있는 침윤성 유방암 환자에서 전체 생존율을 예측할 수 있는 독립적인 예후인자이다.
Background: Breast cancer is the most common cancer in Korean women. Tumor suppressor gene, p53 appears to be a useful prognostic marker, however, consensus as to the need for routine immunostaining has not occurred.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rognostic significance of the expression of p53 gene products by immunohistochemical analysis in invasive breast cancer.
Methods: Between January 1993 and September 2004, 439 curatively treated invasive breast cancer patients underwent immunohistochemical staining for p53, and retrospectively analyzed their correlation with the clinical outcome.
Results: Median age was 47.8 ± 10.7 (range: 23-85). Modified radical mastectomy was performed in 369 (84.1%), and breast conserving surgery in 70 (15.9%). Stage was as follows: 0 3.2%, I 22.8%, IIA 37.6%, IIB 31.2%, IIIA 4.6%, IIIB 0.7%. Overexpression of p53 was 51.7%. Overexpression of p53 was associated with younger age (p=0.035), less neural invasion (p=0.041), more N0 group (p=0.013). The tumor size, tumor histology, hormonal receptor status, and tumor stage were not related to overexpression of p53. The five- and ten-year overall survival (OS) rates, and relapse free survival (RFS) rates of patients were 91.5%, 89.1% and 80.3%, 78.5%, respectively. Upon multivariate Cox regression analysis, lymph node metastasis, expression of p53, tumor size, and numbers of tumor were important prognostic factors for OS, and lymph node metastasis, tumor size and estrogen receptor were important for RFS. In patients with lymph node metastasis, the five- and ten-year overall survival rates of p53 overexpression group were 79.4%, 72.1% and those of p53 non-expressed group were 91.2%, 91.2%. Overall survival rates of p53 overexpression group was significantly poorer than that of p53 non-expression group (p=0.017). Upon multivariate Cox regression analysis of lymph node metastasis group, overexpression of p53 and tumor size were important prognostic factors for OS (RR 2.716, 95% CI 1.160-6.358, p=0.021), and only estrogen receptor status was important for RFS. Overexpression of p53 was not important for RFS.
Conclusion: Immunohistochemical staining of p53 gene product was an independent prognostic factor for predicting overall survival in curatively treated breast cancer patients with lymph node metastasis.
Alternative Title
Prognostic significance of immunohistochemical expression of p53 gene product in invasive breast cancer
Awarded Date
2005-08
Degree
석사
Citation
조주연. (200506). 침윤성 유방암 환자에서 p53 유전자의 면역조직화학적 발현의 중요성.
Type
Thesis
Source
http://dcollection.kmu.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5276
URI
https://kumel.medlib.dsmc.or.kr/handle/2015.oak/11937
Appears in Collections:
1. School of Medicine (의과대학) > 석사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 관련 파일이 존재하지 않습니다.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