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rrelation between intima-media thickness in carotid artery and the plaque burden of left main coronary artery by ultrasonography
- Issued Date
- 2004-06
- Abstract
- 배경: 총경동맥 내중막 두께는 관상동맥 협착정도와 연관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그러한 연관성은 약하고 초음파를 이용한 경동맥 내중막 두께와 관상동맥 경화반과의 연관성에 대한 연구는 없다. 이 연구의 목적은 초음파를 이용하여 경동맥 내중막 두께와 좌주간지 경화반과의 연관성을 알아 보고자 하였다.
방법: 관상동맥 질환을 가진 50명의 환자 (평균연령 59.6 ± 9.9, 남자 35명(70%))를 대상으로 동맥경화증의 위험인자를 알아보았고 관상동맥 조영술을 시행하였다. 경동맥 내중막 두께 측정은 총경동맥에 10 MHz 선형 탐촉자를 이용하였고 최대 및 평균 내중막 두께값은 자동화된 소프트웨어(M'ATH, Metris, France)로 자동 측정하였다. 경동맥 경화반 유무를 확인하였다. 좌주간지 경화반은 혈관내 초음파를 이용하였고 2 mm 간격으로 경화반의 두께, 면적, 두께와 면적의 비율을 측정하여 평균을 계산하였다.
결과: 우총경동맥에서, 최대 내중막 두께는 좌주간지 경화반의 평균 면적과 비율에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다(r=0.375. p=0.007, r=0.408. p=0.003). 평균 내중막 두께는 좌주간지 경화반 면적비율과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으나 좌주간지 경화반 면적과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없었다(r=0.357. p=0.011, r=0.264. p=0.063). 좌총경동맥에서, 최대 내중막 두께는 좌주간지 평균면적과 비율에 유의한 상관관계는 없었다(p=0.251, p=0.218). 평균 내중막 두께는 좌주간지 평균면적과 비율에 유의한 상관관계는 없었다(p=0.249, p=0.078).
결론: 관상동맥 질환자에서 총경동맥 내중막 두께와 좌주간지 경화반은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어 총경동맥 내중막 두께측정은 관상동맥 질환 진단에 임상적으로 유용할 것으로 생각된다.
- Authorize & License
-
- Files in This Item:
-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