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명대학교 의학도서관 Repository

산욕기 첫 출산 부부의 산후관리 행동기술강화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Metadata Downloads
Author(s)
박미라
Issued Date
2016-06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 a reinforcement program for postpartum-care behavioral skills in couples with their first baby and to investigate its effects. The study used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 design and was conducted at 3 postpartum care centers located in D Metropolitan City for approximately 3 months between January 14 and April 10, 2016. Final analysis was conducted on a total of 43 couples: 22 couples belonged to the experimental group, and 21 couples belonged to the control group, which did not participate in the program. For data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a pretest test of homogeneity, independent t-tests, and repeated measures ANOVA were used.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In the repeated measures ANOVA conducted to test differences in maternal fulfillment with changes in time in postpartum care in hypothesis 1,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interaction between group and time; therefore, hypothesis 1 was rejected. When a repeated measures ANOVA was conducted to test differences in changes with time in postpartum care in regard to health outcomes of the couples in hypothesis 2, hypothesis 2 was partially supported. For the mothers, the interaction between group and time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attachment to the newborns (F=13.63, p=.001), and the same held true for the fathers (F=6.51, p=.001); thus, sub-hypothesis 2-1 was supported. With regard to changes in the couples' marital intimacy, the interaction between group and time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for both mothers (F=14.40, p<.001) and fathers (F=9.46, p=.004); therefore, sub-hypothesis 2-2 was supported. For parenting stress,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interaction between group and time were observed both in the mothers (F=31.8, p<.001) and in the fathers (F=11.69, p=.001), thereby supporting sub-hypothesis 2-3.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found in the interaction between group and time for mother's postpartum fatigue, and sub-hypothesis 2-4 was rejected.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for the postpartum sleeping hours of the mothers (F=0.14, p=.004), supporting sub-hypothesis 2-5. In conclusion, this study proved that the reinforcement program for postpartum-care behavioral skills in couples with their first child, which is based on the Information-Motivation-Behavioral skills Model, improves postpartum care health outcomes, including couples' attachment to newborns, marital intimacy, parental stress, and postpartum sleeping hours of the mothers, by reinforcing postpartum- care behavioral skills.
본 연구는 산욕기 첫 출산 부부의 산후관리 행동기술강화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하여 효과를 검정하기 위한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연구설계는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설계이며, 2016년 1월 14일부터 4월 10일까지 약 3개월 동안 D광역시의 산후조리원 3곳에서 수행되었고, 실험군 22쌍, 참여하지 않는 대조군 21쌍으로 총 43쌍을 최종분석대상으로 하였다. 자료분석은 서술통계와 사전 동질성 검정, t-test, Repeated measure ANOVA를 이용하였다. 본 연구에 대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가설 1의 산모의 산후관리수행 변화양상의 차이를 검정하기 위해 반복측정분산분석을 실시한 결과, 시간에 따른 집단 간의 변화양상의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아, 제 1가설은 기각되었다 가설 2의 부부의 산후관리 건강결과 변화양상의 차이를 검정하기 위해 반복측정분산분석을 실시한 결과, 제 2가설은 부분적으로 지지되었다.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부부의 신생아애착 변화양상의 차이를 검정한 결과, 산모의 경우 시간에 따른 집단 간의 변화양상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고(F=13.63, p=.001), 남편의 경우도 시간에 따른 집단 간의 변화양상의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여(F=6.51, p=.001), 부가설 2-1은 지지되었다. 부부의 부부친밀감 변화양상의 차이를 검정한 결과, 산모의 경우 시간에 따른 집단 간의 변화양상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고(F=14.40, p<.001), 남편의 경우도 시간에 따른 집단 간의 변화양상의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여(F=9.46, p=.004), 부가설 2-2는 지지되었다. 부부의 양육스트레스 변화양상의 차이를 검정한 결과, 산모의 경우 시간에 따른 집단 간의 변화양상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고(F=31.8, p<.001), 남편의 경우도 시간에 따른 집단 간의 변화양상의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여(F=11.69, p=.001), 부가설 2-3은 지지되었다. 산모의 산후피로 변화양상의 차이를 검정한 결과, 시간에 따른 집단 간의 변화양상의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아, 부가설 2-4는 기각되었다. 산모의 산후수면시간 변화양상의 차이를 검정한 결과, 시간에 따른 집단 간의 변화양상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여(F=0.14 p=.004), 부가설 2-5는 지지되었다. 결론적으로, 정보-동기 행동기술모형에 기반을 둔 첫 출산 부부의 산후관리 행동기술강화 프로그램은 산후관리행동기술을 강화하면 부부의 신생아애착과 부부친밀감, 양육스트레스, 산모의 산후수면시간 등의 산후관리 건강결과를 향상시키는 것으로 검정되었다.
Alternative Title
Development and Effects of a Reinforcement Program for Postpartum Care Behavioral Skills in Couples with Their First Baby
Awarded Date
2016-08
Degree
박사
Citation
박미라. (201606). 산욕기 첫 출산 부부의 산후관리 행동기술강화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Type
Thesis
Source
http://dcollection.kmu.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73103
URI
https://kumel.medlib.dsmc.or.kr/handle/2015.oak/12955
Appears in Collections:
2. College of Nursing (간호대학) > 박사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 관련 파일이 존재하지 않습니다.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