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명대학교 의학도서관 Repository

Moos 대처방식척도 한국판(CRI-K)의 심리측정 특성

Metadata Downloads
Author(s)
박영남
Keimyung Author(s)
Park, Young Nam
Department
Dept. of Psychiatry (정신건강의학)
Journal Title
Keimyung Medical Journal
Issued Date
2003
Volume
22
Issue
2
Keyword
Coping responseCRI-KDepressive symptoms
Abstract
This study evaluated the
internal consistency and test-retest reliability of Moos' Coping Response Inventory-Korean Version (CRI-K), as well as it's correlation with depressive symptoms in hospitalized patients. Fifty seven medical students and 66 hospitalized patients completed the CRI-K, and 45 medical students were retested a week later to evaluate test-retest reliability. Also, 66 patients completed CES-D for depressive symptoms. Scores of problem solving, acceptance and resignation, and emotional discharge subscales were higher in the female medical students, however,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subscales scores between male and female patients. The internal consistency of CRI-K subscales, measured by Cronbach alpha, ranged 0.46- 0.68 in the medical students and 0.41-0.64 among the patients. The test-retest reliability of CRI-K subscales in the medical students ranged 0.61-0.86 of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CES-D scores in the patients were negatively correlated with approach coping responses and positively correlated with emotional discharge. The results suggest that CRI-K has respectable internal consistency and test-retest reliability, and could be a useful inventory to evaluate coping response in medical patients.
요 약 본 연구는 Moos의 대처방식척도 한국어판(CRI-K)의 내적 일치도와 신뢰도를 평가하기 위하여 CRI-K를 의과대학생 57명(남자: 38명, 여자: 19명, 평균연령: 22.5 ± 2.82세)과 신체질병 환자 66명(남자: 26명, 여자: 40명, 평균연령: 50.9 ± 16.5세)에게 시행하여 내적 일치도, 검사-재검사 신뢰도를 평가하였다. 그리고 신체질병 환자에서 CES-D로 평가한 우울증상과 대처방식의 관계를 평가하였다. 의과대학생 남자(38명)와 여자(19명)에서 8개 하위척도들의 값을 비교하니 문제해결, 수용과 체념 그리고 감정방출은 여자에서 유의하게 높았으며 다른 척도들은 남자와 여자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CRI-K 하위 척도들의 Cronbach alpha가 0.46-0.68로 중등도의 내적 일치도를 나타내었으며, 검사-재검사 신뢰도는 Pearson 상관계수가 0.86-0.61로 비교적 높은 신뢰도를 나타내었다. 신체질병 입원환자 남자와 여자에서 하위척도들 값은 유의한 차이는 없었으며, 하위척도들의 Cronbach alpha가 0.41-0.62로 중등도의 내적 일치도를 나타내었다. 의과 대학생과 신체질병 환자에서 하위척도들은 각각 3-6개의 다른 척도들과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어 몇 가지의 대처방식이 동시에 이용되고 있음을 시사하였다. 신체질병 입원환자에서 CES-D 점수가 16점 이상군(우울군)에서 그 이하군(우울군)과 비교하여 논리적 분석, 긍정적 재평가, 문제해결 척도들의 점수가 낮았으며 수용과 체념은 우울군에서 유의하게 높았다. CES-D 점수는 CRI-K 하위 척도들 중 논리적 분석, 긍정적 재평가, 지지추구, 및 문제해결과는 역 상관관계, 그리고 감정방출과는 정 상관관계가 있었다. 본 연구는 CRI-K가 중등도의 내적 일치도와 비교적 높은 검사-재검사 신뢰도를 나타내어 신체질병 환자의 대처방식을 평가하는 유용한 도구가 될 수 있음을 검증하였다.
Alternative Title
Psychometric
Characteristics of
Moos' Coping Response Inventory-Korean Version (CRI-K)
Keimyung Author(s)(Kor)
박영남
Publisher
Keimyung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Citation
박영남. (2003). Moos 대처방식척도 한국판(CRI-K)의 심리측정 특성. Keimyung Medical Journal, 22(2), 168–177.
Type
Article
URI
https://kumel.medlib.dsmc.or.kr/handle/2015.oak/15278
Appears in Collections:
2. Keimyung Medical Journal (계명의대 학술지) > 2003
1. School of Medicine (의과대학) > Dept. of Psychiatry (정신건강의학)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