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위마취 수술환자가 인지한 수술 중 돌봄행위 및 불안
- Author(s)
- 류지영
- Issued Date
- 2018-02
- Abstract
- 연구목적: 본 연구는 부위마취 수술환자가 인지한 수술 중 돌봄행위와
불안을 파악하고 수술 중 불안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확인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방법: 자료수집은 대상자의 구조화된 질문지 작성과 의무기록을 통
하여 수집하였다. 2017년 7월 27일부터 9월 21일까지 A도시에 소재한 3
개의 정형외과 및 여성 전문병원과 1개의 대학병원에서 부위마취로 수술한
161명의 입원환자를 대상으로 자료수집을 하였다. 회수된 질문지 156부
중 응답이 불완전한 질문지 9부는 제외하고 147부의 질문지를 분석에 사
용하였다. 질문지는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기질불안, 돌봄행위, 수술 중 불
안에 대한 문항으로 구성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version 20.0
(SPSS, Inc., Chicago, IL, USA)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와 백분율, 평
균과 표준편차, 독립표본 t-검정, 일원분산분석, 상관분석, stepwise
multiple regression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대상자의 기질불안 점수는 1.93 (±0.80)이었고 대상자가 인지한
돌봄행위는 4.12 (±0.79)점, 수술 중 불안 점수는 5.12 (±2.85)점이었다. 시
점별로 수술 중 불안점수는 ‘수술대에 누워서 기다리는 동안’이 5.61 (±2.90)
점으로 불안점수가 최고로 높았다. 가장 낮은 수술 중 불안 점수를 보인 시
점은 ‘수술이 진행되는 동안’ 4.15 (±2.92)점으로 최저의 불안점수를 나타
내었다. 대상자의 특성별 불안차이에서 성별(p =.004), 수술 과(p =.001),
수술부위(p =.004), 마취방법(p =.005)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
다. 수술 중 불안과 기질불안의 관계는 r=.25 (p =.003)로 유의한 양의 상
관관계였다. 수술 중 불안과 의료진의 돌봄행위는 r=-.33 (p〈.001)로 유
의한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수술 중 불안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확인하기
위해 단계적 다중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돌봄행위(β =-0.39, p〈.001),
수술부위(β =0.27, p〈.001), 기질불안(β =0.21, p =.007)의 영향력 순으로
나타났다. 설명력은 총 20.7%였다.
결론: 의료진의 돌봄행위는 부위마취 환자의 수술 중 불안에 가장 큰 영
향요인으로 검증되었다. 그러므로 수술 중 불안 완화를 위한 돌봄행위의 중
재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효과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a descriptive research study
to investigate the caring behavior and anxiety perceived by patients
who underwent surgery under regional anesthesia and to verify the
influential factor on intraoperative anxiety.
Methods: The data collection was done by using structured
questionnaires with reference to the medical records. A total of 161
inpatients who had undergone regional anesthesia were recruited at
3 orthopedic and female special hospitals and 1 university hospital in
A city from July 27, 2017 to September 21, 2017. After 9
incomplete questionnaires were excluded, 147 of the 156 retrieved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the analysis. Questionnaires consisted
of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trait anxiety, caring behavior, and intraoperative anxiety.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frequency and percentag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independent sample t-test, one-way ANOVA, correlation
coefficient,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ith SPSS
version 20.0 (SPSS, Inc., Chicago, IL, USA) program.
Results: The level of trait anxiety, caring behavior and
intraoperative anxiety of the participants were 1.93 ± 0.80, 4.12 ±
0.79, and 5.12 ± 2.85 respectively. The intraoperative anxiety score
was the highest at 5.61 (±2.90) in the 'while waiting to lie down at
the operating table'. The lowest intraoperative anxiety score was
4.15 (±2.92) in the 'while the operation in progress'. The
differences of intraoperative anxiety levels based on participant
characteristics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classified into
gender (p =.004), surgery department (p =.001), anesthetic method
(p =.005), surgical region (p =.004). The relationship between
intraoperative anxiety and caring behavior of medical staff (r=-.33,
p<.001), intraoperative anxiety and trait anxiety (r=.25, p =.003)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As a result performe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o determine the factors affecting the
intraoperative anxiety, the influential factors were caring behavior (β
=-0.39, p<.001), surgical region (β=0.27, p<.001) and trait anxiety (β
=0.21, p =.007). The explanatory power was 20.7%.
Conclusion: Caring behavior was verified as the most influential
factor for intraoperative anxiety in patients under regional
anesthesia.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study the application’s
effect and to develop intervention program of caring behavior for
relieving intraoperative anxiety.
- 공개 및 라이선스
-
- 파일 목록
-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