응급실 간호사의 감정노동이 전문직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 감정부조화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 Author(s)
- 정혜림; 임경희
- Keimyung Author(s)
- Lim, Kyung Hee
- Department
- Dept. of Nursing (간호학)
- Journal Title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Issued Date
- 2016
- Volume
- 17
- Issue
- 11
- Keyword
- Emergency Room; Emotional Dissonance; Emotional Labor; Nurses; Professional Quality of Life
- Abstract
- The purpose of this descriptive survey study was to explore the effects of emotional labor on professional
quality of life of emergency department nurses and to elucidate any mediating effects of emotional dissonance between
emotional labor and professional quality of life. A total of 227 nurses, including general, charge, and head nurses,
who have worked in an emergency department at university hospitals, general hospitals, and junior general hospitals
located in Gyeongnam, Daegu and Gyeongbuk areas over a period of 6 months. Data were collected between
December 12 and December 29 of 2015. We analyzed the data with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three-step mediated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WIN 21.0 program. The average scores
of emotional labor, compassion satisfaction, compassion fatigue, burnout, and emotional dissonance were 4.50 out of
7.00, 31.62 out of 50.00, 29.48 out of 50.00, 29.27 out of 50.00, and 5.02 out of 7.00, respectively. Emotional labor
had significant effects on compassion fatigue and burnout, showing explanatory power of 12% and 29%, respectively.
Emotional dissonance had partial mediating effect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labor and compassion fatigue
and complete mediating effect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labor and burnout. In summary, to improve the
professional quality of life of nurses, it is necessary to develop effective strategies to minimize their emotional labor
and emotional dissonance.
연구는 응급실 간호사의 감정노동이 전문직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이들 간의 관계에서 감정부조화의
매개효과를 규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대상은 경남, 대구, 경북지역에 소재한 대학병원, 종합병원, 준종합병원
응급실에서 6개월 이상 근무하고 있는 일반간호사와 책임간호사, 수간호사 227명을 대상으로 하였고, 자료수집 기간은 2015
년 12월 12일부터 2015년 12월 29일까지 실시하였다. 자료분석방법은 SPSS/WIN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three-step mediated regression analysis를 실시하였다. 대상자의 감정노동은 평균 7점
만점에 4.50점, 공감만족은 평균 50점 만점에 31.62점, 공감피로는 평균 50점 만점에 29.48점, 소진은 평균 50점 만점에 29.27
점, 감정부조화는 평균 7점 만점에 5.02점으로 나타났다. 대상자의 감정노동은 공감피로와 소진의 유의한 영향요인이었고,
설명력은 각각 12%와 29%였다. 감정부조화는 감정노동과 공감피로의 관계에서 부분 매개효과, 감정노동과 소진의 관계에서
완전 매개효과를 보였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간호사의 전문직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감정노동과
감정부조화를 최소화할 수 있는 전략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 공개 및 라이선스
-
- 파일 목록
-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