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깥뒤통수뼈융기의 3차원 재구성 영상을 이용한 한국인 성별 판별: 비계측적 연구
- Author(s)
- 김덕임; 한승호
- Keimyung Author(s)
- Kim, Deog Im
- Department
- Dept. of Nursing (간호학)
- Journal Title
- 대한체질인류학회지
- Issued Date
- 2015
- Volume
- 28
- Issue
- 4
- Keyword
- Skull(머리뼈); External occipital protuberance(바깥뒤통수뼈융기); Sex determination(성별 판별); Non-metric method(비계측적 방법); CT images(CT 영상)
- Abstract
- The most essential biological profiles in physical and forensic anthropology are age, sex, and
populations to be determined. In case of dealing intact skeletons, experts can often determine sex with high
accuracy. The external occipital protuberance (EOP) is one of the site among morphologic traits which is used to
determine human sex. This study suggests the possibility to determine the sexual dimorphism using the EOP and
surrounding anatomical structures in Koreans.
After three-dimensional reconstruction of the skull model from Digital Korean Human Databse, the three parts
were evaluated using a classification system based on Broca, Gülekon and Turgut. To determine for scoring, this
study was used two in two different ways to observe the skull model; one was a lateral view and the other was
turning the skull models. In a lateral view, the shape of the occipital area was classified as ‘flat’ or ‘convex’ type.
After then the scores of the anatomical structures were converted into 4-digits code.
In females, the skull was more convex in shape than males but the EOP and inion were lesser projection. In the
lateral and turning views, the most common pattern was Type 2 in both sexes. The most common digit code was
2-2-2-0 in males, 2-2-2-1 in females. The digit code is better than simple scoring system for determining sex. The
skull in Koreans were more feminine than in other populations in both sexes.
신원을 알 수 없는 백골화 시신이 발견되면 신원을 밝히기 위해 제일 먼저 성별, 나이, 그리고 인구 집단을 분
류한다. 바깥뒤통수뼈융기는 머리뼈 형태 특성 중 하나로 비계측적 방법을 이용한 성별 판별에 사용된다. 이 연구는 바
깥뒤통수뼈융기와 그 주위에 있는 해부학적 뼈표지점을 이용하여 성별 판별에 사용 가능한 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CT 영상을 이용하여 머리뼈를 3차원 재구성한 후 Broca와 Gülekon와 Turgut의 분류 방법을 사용하여 뒤통수뼈의
뼈표지점 형태를 분류하고 숫자들을 나열하여 숫자 부호를 만들었다. 머리뼈는 가쪽에서 본모습과 돌려가며 보면서 형
태를 분류하였다.
여자의 머리뼈가 남자의 머리뼈보다 뒤로 볼록하나 뼈표지점은 남자가 여자보다 더 튀어나왔다. 바깥뒤통수뼈융기는
남자와 여자 머리뼈를 가쪽에서 본 것과 돌려가면서 본 것 모두 Type 2가 가장 많았다. 가장 많은 숫자 부호는 남자의
경우 2-2-2-0, 여자의 경우 2-2-2-1이었다. 총 51개의 숫자 부호 중 여자와 남자에서 공통인 것은 9개이었고 나머지는 남
자 혹은 여자에게서만 나타났다. 뒤통수뼈의 뼈표지점들에 부여한 숫자 부호가 단순히 바깥뒤통수뼈융기 형태를 점수
화해서 분류한 것보다 더 정확하게 성별을 구분할 수 있었다
- 공개 및 라이선스
-
- 파일 목록
-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