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명대학교 의학도서관 Repository

복막투석 환자에서 복막염으로 인한 투석도관 제거와 관련된 위험인자

Metadata Downloads
Author(s)
장미현황은아김정은최고한승엽박성배홍윤수이금희김현철
Keimyung Author(s)
Hwang, Eun AhHan, Seung YeupPark, Sung BaeKim, Hyun Chul
Department
Dept. of Internal Medicine (내과학)
Kidney Institute (신장연구소)
Journal Title
Korean Journal of Nephrology
Issued Date
2010
Volume
29
Issue
3
Keyword
Peritoneal dialysisPeritonitisDevice removal
Abstract
Purpose: Peritoneal dialysis (PD) catheter removal is regarded as an important index of patient morbidity.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factors influencing catheter loss following peritonitis in PD patients.

Methods: We retrospectively reviewed 917 episodes of peritonitis in 621 new CAPD patients from Jan 2001 to Feb. 2009 in Dongsan Medical center. Episodes requiring PD catheter removal were compared by both univariate and multivariate analyses with those in which PD catheters were preserved. Results: When peritonitis episodes requiring PD catheter removal (n=80) were compared to catheter preserved peritonitis episodes (n=837), the incidence of PD catheter loss increased as the duration on PD preceding the peritonitis were longer (p<0.000). Also, PD catheter removal was more likely to occur after peritonitis episodes with low serum albumin level (p=0.009) and high serum CRP level (p< 0.000), those with long duration of PD effluent leukocyte count remaining above 100/mm3 (p<0.000), those with concomitant exit site/tunnel infection (p=0.043), and those with presence of abdominal path이ᄋgy (p<0.000). The microbiological determinants of PD catheter loss included two or more bacteria cultured (p=0.002) and fungi (p<0.000). In multivariate analysis, the duration of PD effluent leukocyte count remaining above 100/mL and the number of organism cultured were independent risk factors of PD catheter removal in peritonitis episodes.

Conclusion : Duration of PD effluent leukocyte count remaining above 100/mm3, and the number of organisms cultured were independent risk factors for catheter removal following peritonitis.

Key Words: Peritoneal dialysis, Peritonitis, Device removal
요 약

목 적:복막투석액 교환방법의 개선을 포함한 복막투석 수기 의 발전으로 최근 복막염의 빈도가 현저히 감소하였으나 복막염 은 여전히 복막투석환자의 사망과 복막투석도관 제거의 가장 중 요한 원인으로 남아 있다. 저자들은 계명대학교 동산병원에서 복 막투석치료를 받고 있는 환자들 중 복막염으로 도관을 제거한 환자들을 대상으로 도관 제거와 관련된 위험인자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방법:20이년 1월부터 2009년 2월까지 계명대학교동산 병원에서 새로 복막투석치료를 시작한 환자들 중 6개월 이상 추 격이 가능하였던 환자들을 대상으로 의무기록을 후향격으로 조 사하였다.

결과:총8년간의 연구기간동안복막투석치료를새로이 시 작한 621명의 환자 중 378명 (60.9%)이 복막염을 경험하였 고’ 이들 환자에게서 총 917회의 복막염이 발생하였으며 80회 (8.7%) 에서 복막염으로 복막투석도관을 제거하였다. 도관제거 환자군 (n=80)과도관유지 환자군 (n=298) 사이의 연령, 남 녀비, 원인 신 질환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복막염 횟수는 도관 유지군에서 0.67 회/환자-연, 도관 제거군에서 1.11 회/ 환자-연으로 도관 제거군에서 유의하게 복막염의 빈도가 높았 다 (p=0.029). 도관제거 복막염군 (n=80)은 도관유지 복막 염군 (n=837)에 비해 복막염 발생시까지의 기간이 유의하게 길었으며 (30.4±21.5개월 vs. 20.6±18.4개월, p<0.000), 복막염 발생 당시 혈청 알부민치가 유의하게 낮았고 (2.9±0.5 vs. 3.0±0.5 g/dL, p=0.009), CRP는 유의하게 높았다 (11.9±9.9 vs. 6.2±6.3 mg/dL, p<0.000). 또한 배액 내 의 백혈구수가 100/mm3개 이상 지속되었던 날이 유의하게 길 었다 (8.5±5.2 vs. 3.5±2.7일, p<0.000). 복막염이 발생된 원인별로는 도관제거 복막염군에서 출구감염의 동반율이 높았으 며 (5.0% vs. 1.4%, p=0.043), 복강내 질환의 동반율 또한 유의하게 높았다 (6.3% vs 0.2%, p<0.000). 도관제거 복막 염군에서 진균에 의한 복막염의 비율은 도관유지 복막염군에 비 해 유의하게 높았고 (26.4% vs. 0%, p<0.000), 2종류 이상 의 균이 배양된 환자 비율도 유의하게 높았다 (12.6% vs 3.2%, p=0.002). 도관제거와 관련된 위험인자의 다변량 분석 에서는 배액 내의 백혈구수가 100 개/mm3 이상 지속된 기간, 배양된 균수가 2개 이상일 경우가 도관제거의 독립적인 위험인 자였다.

결 론 : 복막투석환자에서 복막염이 발생할 경우 도관제거의 독립적인 위험인자로는 배액 내의 백혈구수가 100 개/mm3 이 상 지속된 기간 및 복합 균주감염일 경우가 유의한 위험인자였다.
Alternative Title
Risk Factors of Catheter Loss Following Peritonitis in Patients on Continuous Ambulatory Peritoneal Dialysis
Keimyung Author(s)(Kor)
황은아
한승엽
박성배
김현철
Publisher
School of Medicine
Citation
장미현 et al. (2010). 복막투석 환자에서 복막염으로 인한 투석도관 제거와 관련된 위험인자. Korean Journal of Nephrology, 29(3), 357–365.
Type
Article
ISSN
1975-9460
URI
https://kumel.medlib.dsmc.or.kr/handle/2015.oak/34589
Appears in Collections:
1. School of Medicine (의과대학) > Dept. of Internal Medicine (내과학)
3. Research Institutues (연구소) > Kidney Institute (신장연구소)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