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명대학교 의학도서관 Repository

Peroxisome Proliferator Activated Receptor γ Coactivator-1α에 의한 인슐린유전자와 CXCL10 유전자의 발현 조절

Metadata Downloads
Author(s)
장원구이인규김은정류성렬김보완김정국
Keimyung Author(s)
Ryu, Seong Yeol
Department
Dept. of Internal Medicine (내과학)
Journal Title
Journal of Korean Diabetes Association
Issued Date
2007
Volume
31
Issue
4
Keyword
CXCL10GR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γ coactivator 1α (PGC-1α)vascular smooth muscle cells(VSMCs)
Abstract
Background: 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γ coactivator 1α (PGC-1α), which act as a coactivator of nuclear receptors and several other transcription factors.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valuate the expressional regulation of insulin and inflammatory response genes by PGC-1α. Methods: Transient transfection assays were performed to measure the promoter activity of the insulin and CXCL10 gene. The insulin gene expression levels in INS-1 cells were determined by Northern blot analysis. Differentially expressed genes by PGC-1α overexpression in HASMCs were confirmed using DNA microarray, real-time PCR and Northen blot analysis. Results: Insulin promoter activity and mRNA levels were suppressed by GR and Ad-PGC-1α. Northern blot analysis of the INS-1 cells revealed that infection with Ad-PGC-1α markedly reduced the amount of insulin mRNA and treatment of Dex enhanced this effect in an additive manner. The PGC-1α-specific siRNA decreased insulin expression that was induced by Dex in the GR-expressing INS-1 cells was nearly restored by this siRNA treatment. We found that when vascular smooth muscle cells (VSMCs) overexpressed PGC-1α, immune or inflammatory response genes were highly expressed. For example, promoter activity and mRNA level of CXCL10 gene were increased by PGC-1α. Conclusion: PGC-1α overexpression inhibited insulin promoter activity in INS-1 cells and enhanced expressions of inflammatory response genes (CXCL10, CXCL11, TNFLSF10) in VSMCs.
연구배경: 인슐린의 발현 조절은 당 대사에 있어서 매우 중요하고 당뇨병의 발병과도 밀접한 연관성을 가진다. 동맥경화증은 대표적인 대사성 혈관 질환일 뿐만 아니라 대표적인 당뇨합병증이기도 하다. PGC-1α는 전사활성 보조인자로써 다양한 핵수용체와 결합하여 표적유전자를 조절한다. 특히, 당 대사 및 에너지 형성과 항상성에 관련된 유전자들의 발현에 보조인자 역할을 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PGC-1α에 의한 인슐린의 전사활성 조절 기작을 규명하고 혈관 평활근세포를 이용하여 PGC-1α가 동맥경화증과 관련된 인자들의 발현을 조절할 수 있는지 조사하였다.방법: 췌장 베타세포주인 INS-1 세포를 이용하여 PGC-1α 재조합 아데노바이러스를 감염시킨 후 인슐린의 프로모터 활성 및 mRNA 수준을 조사하였다. 또한 GR을 cotransfection하여 GR의 보조인자로 PGC-1α가 작용하여 인슐린의 전사활성을 조절할 수 있는지 조사하였다. 혈관 평활근세포에서도 PGC-1α 재조합 아데노바이러스를 감염시켜 과발현 시킨 후, 발현의 차이를 보이는 유전자의 패턴을 조사하였다. 그 후, 발현의 차이를 보인 몇 몇 유전자를 선별하여 realtime RT-PCR 방법으로 다시 한 번 발현 변화를 확인하였으며, 특정 유전자에 대한 프로모터 활성과 mRNA 수준도 같이 조사하였다. 결과: 인슐린 비발현 세포주인 HepG2세포와 인슐린 발현 세포주인 INS-1 세포에서 PGC-1α 과발현에 의하여 인슐린유전자의 프로모터 활성이 감소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GR을 cotransfection한 결과 인슐린유전자의 프로모터 활성이 더욱 감소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세포 내에 존재하는 인슐린의 mRNA 수준도 PGC-1α와 GR에 의하여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혈관 평활근세포에서 PGC-1α의 과발현은 면역 및 염증반응과 관련된 유전자의 발현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특히 TNFLSF10, CXCL10, CXCL11 등의 chemokine의 발현 증가가 두드러진 특징이었다. 이들 유전자들의 발현 패턴을 realtime RT-PCR을 통하여 재확인 하였으며, PGC-1α는 CXCL10 유전자의 프로모터활성을 증가시킴을 확인하였다.
Alternative Title
Transcriptional Regulation of Insulin and CXCL10 Gene by Peroxisome Proliferator Activated Receptor γ Coactivator-1α
Keimyung Author(s)(Kor)
류성열
Publisher
School of Medicine
Citation
장원구 et al. (2007). Peroxisome Proliferator Activated Receptor γ Coactivator-1α에 의한 인슐린유전자와 CXCL10 유전자의 발현 조절. Journal of Korean Diabetes Association, 31(4), 326–335. doi: 10.4093/jkda.2007.31.4.326
Type
Article
ISSN
1015-6461
DOI
10.4093/jkda.2007.31.4.326
URI
https://kumel.medlib.dsmc.or.kr/handle/2015.oak/36074
Appears in Collections:
1. School of Medicine (의과대학) > Dept. of Internal Medicine (내과학)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