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명대학교 의학도서관 Repository

신생아 행동 특성과 Dopamine Transporter 유전자 및 Dopamine D2, D3, D4 수용체 유전자의 다형성

Metadata Downloads
Author(s)
김성욱박영남김대광
Keimyung Author(s)
Park, Young NamKim, Dae Kwang
Department
Dept. of Psychiatry (정신건강의학)
Dept. of Medical Genetics (의학유전학)
Journal Title
소아청소년정신의학
Issued Date
2001
Volume
12
Issue
2
Keyword
Neonatal behavioral characteristicsDopamine transporter gene polymorphismDopamine receptor gene polymorphism
Abstract
Objectives:This study evaluated the association between behavioral characteristics and polymorphisms
in DAT1, DRD2, DRD3, and DRD4 genes.
Methods:The subjects were 114 neonates, who were born by normal spontaneous vaginal delivery
and had no physical problems. The behavioral characteristics were evaluated using Neonatal Behavioral
Assessment Scale(NBAS) at 17.8±7.0 hours after their birth to minimize environmental influences, and
cord blood was used to analyze the gene polymorphisms.
Results:In comparison to DAT1 gene 10/10 genotype group(N=93), other genotype group(N=19)
showed significantly high NBAS scores on social-interaction, state organization, and state regulation.
DRD2 gene Ser311/Cys311, TaqI A, and TaqI B polymorphisms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on
NBAS scores when they were grouped by genotypes. DRD3 gene polymorphism and DRD4 gene promotor
polymorphism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on NBAS scores when they were grouped by genotypes.
In comparison to the short repeats(N=102), long repeats(N=10) in DRD4 gene showed significantly high
habituation score of NBAS.
Conclusion: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genetic effects of the neonatal behavioral characteristics
may be mediated via DAT1 and DRD4 genes
연구목적:신생아의 행동 특성과 DAT1, DRD2, DRD3 및 DRD4 유전자 다형성 사이에 연관이 있는지 평
가하였다.
방 법:2000년 4월 17일부터 2000년 6월 17일까지 출생한 정상 신생아 114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신
생아 행동 평가는 Neonatal Behavioral Assessment Scale(NBAS)을 이용하여 생후 약 18시간에 평가하
였으며, 출산시 제대혈액을 채취하여 DAT1, DRD2, DRD3 및 DRD4 유전자 다형성을 검사하였다. DAT1,
DRD2, DRD3 및 DRD4 유전자의 유전자형에 따라서 집단 사이에 NBAS 7개 항목 점수를 비교하였다.
결 과:DAT1 유전자는 10/10 유전자형 집단과 비교해서 기타 유전자형 집단이 사회성-상호작용, 상태
조직력 및 상태 조절 능력 항목에서 유의하게 점수가 높았다. DRD2 유전자 Ser311/Cys311 유전자형은
Ser/Ser 유전자형 집단과 기타 유전자형 집단 사이에 NBAS 항목 점수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DRD2 유
전자는 TaqI A 및 TaqI B 유전자형에 의한 집단 사이에 NBAS 항목 점수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DRD3
유전자는 유전자형에 의한 집단 사이에 NBAS 항목 점수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DRD4 유전자 promoter
유전자형에 의한 집단 사이에 NBAS 항목 점수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DRD4 유전자 반복배열이 긴 유전
자형 집단은 짧은 유전자형 집단보다 습관화 항목 점수가 유의하게 높았다.
결 론:이러한 성적은 DAT1 및 DRD4 유전자 반복배열 다형성이 신생아 행동 특성에 영향을 미치는 유
전적 기전일 가능성을 시사한다.
Alternative Title
NEONATAL BEHAVIORAL CHARACTERISTICS AND DOPAMINE TRANSPORTER GENE AND DOPAMINE
D2, D3, D4 RECEPTOR GENE POLYMORPHISMS
Keimyung Author(s)(Kor)
박영남
김대광
Publisher
School of Medicine
Citation
김성욱 et al. (2001). 신생아 행동 특성과 Dopamine Transporter 유전자 및 Dopamine D2, D3, D4 수용체
유전자의 다형성. 소아청소년정신의학, 12(2), 179–191.
Type
Article
ISSN
1225-729X
URI
https://kumel.medlib.dsmc.or.kr/handle/2015.oak/36697
Appears in Collections:
1. School of Medicine (의과대학) > Dept. of Medical Genetics (의학유전학)
1. School of Medicine (의과대학) > Dept. of Psychiatry (정신건강의학)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