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명대학교 의학도서관 Repository

한국인과 미국이민 한국인의 건강증진행위와 건강상태지각 비교연구

Metadata Downloads
Author(s)
박정숙오윤정
Keimyung Author(s)
Park, Jeong Sook
Department
Dept. of Nursing (간호학)
Journal Title
지역사회간호학회지
Issued Date
2002
Volume
13
Issue
2
Keyword
KoreanKorean-AmericanHealth promotion behaviorPerceived health status
Abstract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basic data to develop a future health promotion program through the comparison of health promoting behavior and perceived health status between Koreans and Korean-Americans. Method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411 adults recruited from religious organizations located in the Yongnam area, Korea, and Chicago, U.S.A. The instruments used in the study were Health Promoting Lifestyle Profile II (HPLP) developed by Walker, Sechrist & Pender (1995), and the Health Self Rating Scale designed by North Illinois University.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ANCOVA, ANOVA and Duncan test with the SPSS program. Results: 1) The mean HPLP score was 2.26 in Koreans and 2.43 in Korean-Americans, showing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2) In subscales of HPLP, both groups showed the highest practices in 'interpersonal relationship' and the lowest practices in 'physical activity'. 3) The mean score of perceived health status was 2.26 in Koreans and 2.43 in Korean-Americans, showing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4) Health promoting behavior was significantly different by family income in Koreans, but significantly different by age and family income in Korean-Americans. 5) Perceived health status was significantly different by family income and marital status, but significantly different by age, education, and family income. 6) The HPLP was not correlated with perceived health status in Koreans, but positively correlated with perceived health status in Korean-Americans. Conclusion: The study findings suggest a need to develop a health promotion program, in which physical activity and stress management for Koreans and Korean-Americans are emphasized, and cultural and environmental elements are considered, for better understanding of their health related issues.
본 연구는 한국인과 생활 환경이 다른 곳에서 거주하
고 있는 미국이민 한국인의 건강증진행위와 건강상태지각 및 관련변인에 대한 차이가 있는지 비교하여 향후 바
람직한 건강관리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기초자료를 제
공하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자료수집은 한국인은 2001년 9월부터 11월까지 영남
지역에 위치한 종교기관을 중심으로, 미국이민 한국인은
2000년 8월부터 10월까지 시카코 지역에 위치한 종교
기관을 중심으로 한국인은 205명, 미국이민 한국인은
206명을 대상하였다. 연구도구는 Walke, Sechrist와
Pender(1995)의 건강증진 생활양식 측정도구와 North
Illinois University에서 개발한 건강상태 지각척도를
사용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t-test, ANCOVA, 사후검정은 Duncan
test로 분석하었다.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한국인의 건강증진행위 수행정도는 평균 2.26, 미
국이민 한국인은 평균 2.43으로 나타나 두 집단간 건강
증진행위 수행정도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
다(F=11.246, p=0.000).
2) 하위 영역별로는 한국인은 대인관계가 2.46으로
가장 높았고, 영양 2.40, 건강책임 2.30, 영적성장
2.30, 신체활동 2.01, 스트레스 관리가 1.99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미국이민 한국인은 대인관계가 2.66으로 가
장 높았으며, 영양 2.61, 영적성장 2.55, 건강책임
2.40, 신체활동이 2.15, 스트레스 관리가 2.12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3) 건강상태 지각정도는 한국인은 평균 2.35, 미국이
민 한국인은 2.54로 두 집단간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
로 나타났다(F=15.343, p=0.000).
4) 한국인의 건강증진행위는 가족수입(F=9.213,
p=0.000)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미국이민
한국인은 연령(F=3.054, p=0.030), 가족수입(F=4.912,
p=0.008)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5) 한국인의 건강상태지각 정도는 가족수입(F=5.930,
p=0.003), 결혼상태(F=7.605, p=0.000)에 따라 유
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미국이민 한국인은 연령(F=3.054,
p=0.039), 교육정도(F=2.790, p=0.028), 가족수입
(F=3.814, p=0.024)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
으로 나타났다.
6) 건강증진행위와 건강상태지각과의 상관관계에서는
한국인은 유의한 상관관계가 없고(r=.075, p=0.401),
미국이민 한국인은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r=.356, p=0.000)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하여 한국인과 미국이민 한국
인의 건강증진행위와 건강상태를 이해하고, 문화적 혹은
생활 환경적인 요소를 고려한 건강증진 프로그램을 개발,
적용할 것을 제언한다.
Alternative Title
A Comparative Study on Health Promoting Behavior and Perceived Health Status between Koreans and Korean-Americans
Keimyung Author(s)(Kor)
박정숙
Publisher
College of Nursing
Citation
박정숙 and 오윤정. (2002). 한국인과 미국이민 한국인의 건강증진행위와 건강상태지각 비교연구. 지역사회간호학회지, 13(2), 399–409.
Type
Article
ISSN
1225-9594
URI
https://kumel.medlib.dsmc.or.kr/handle/2015.oak/36966
Appears in Collections:
2. College of Nursing (간호대학) > Dept. of Nursing (간호학)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