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명대학교 의학도서관 Repository

학교건강증진사업의 실천정도, 중요성 인지도 및 개선방안

Metadata Downloads
Author(s)
류현주박정숙
Keimyung Author(s)
Park, Jeong Sook
Department
Dept. of Nursing (간호학)
Journal Title
지역사회간호학회지
Issued Date
2007
Volume
18
Issue
1
Keyword
School NursingHealth Promotion
Abstract
Purpose: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suggest methods for improving school health promotion programs by investigating the daily activities and the performance level of environment management, the awareness of importance, and opinions on the revision of and knowledge about laws and regulations related to school health promotion programs. Method: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89 school nurses in Gyeongsangbuk-do. The survey used a questionnaire containing 90 questions developed by the present researcher. Data were collected from July 5 to July 21, 2006 and analyzed using SPSS 12.0 for Windows.
Result:
1. Regular check-up and drinking water management got the highest score in performance level. Sexual health and drinking water management got the highest score in the awareness of importance.
2. School nurses were aware of laws and regulations related to their clients (0.93), and the revision opinion was high on the whole (3.58).
3.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the more educated school nurse were (F=6.80, p=.001) and the fewer students their school had (F=4.66, p=.010), the higher their performance level in daily activities was. The shorter their career in their work was (F=4.86, p=.008), the fewer classes their school had (F=5.04, p=.007) and the fewer students their school had (F=3.83, p=.023), the higher their awareness of importance was.
4. There was not any difference in the performance level of environment management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The awareness of importance was highest in school nurses with experience less then ten years (F=3.66, p=.027).
5. There was not any difference in knowledge about laws and regulations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The revision opinion was high in school nurses at schools with less than 18 classrooms (F=6.04, p=.003) and less than 500 students (F=4.24, p=.015). Conclusion: When school nurses perform school health promotion programs actively and vigorously, the students can be healthy and national health promotion can be actualized fundamentally.
본 연구는 보건교사들을 대상으로 학교건강증진사업
관련 생활습관 및 환경관리의 실천정도와 중요성 인지도,
법과 규정에 대한 지식 및 법 규정 개정의견을 조사하여
장 문제 표적 중심 건강증진모형에 의거하여 학교건강증
진사업을 설명하고,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실시되었다.
연구대상자는 경상북도에 소재한 초, 중, 고등학교에 근
무하는 보건교사 289명이었으며, 연구도구는 본 연구자
가 개발하여 전문가의 타당도 검사를 거친 학교건강증진
사업 관련 생활습관 및 환경관리 실천정도 및 중요성 인
지도 측정도구와 학교건강증진 관련 법과 규정에 대한
지식 및 법규정 개정 의견 측정도구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학교건강증진사업 관련 생활습관 실천정도는 4점 만
점에 2.91±0.41점이고 중요성 인지도가 4점 만점에
3.29±0.35점으로 중요성 인지도가 더 높게 나타났
다. 실천정도에서는 정기적 건강검진이 3.52±0.52점
으로 가장 높았고, 교직원 대상의 건강증진이 2.44±
0.55점으로 가장 낮았다. 중요성 인지도에서는 성 건
강이 3.60±0.45점으로 가장 높았고, 교직원 대상의
건강증진이 2.96±0.51점으로 가장 낮았다.
2. 학교건강증진사업 관련 환경관리 실천정도는 4점 만
점에 2.54±0.56점, 중요성 인지도는 4점 만점에
3.05±0.52점으로 중요성 인지도가 더 높게 나타났
다. 실천정도에서는 학교 먹는 물 관리가 3.52±0.71
점으로 가장 높았고, 학교 교사 내 공기 질 관리가
2.01±0.87점으로 가장 낮았다. 중요성 인지도에서는
학교 먹는 물 관리가 3.31±0.61점으로 가장 높았고,
학교 환경위생 정화구역 관리가 2.72±0.76점으로 가장 낮았다.
3. 학교건강증진사업 관련 법과 규정에 대한 지식 점수
를 보면 평균평점이 0.63±0.15점으로 나타났고, ‘학
교보건의 대상자는 학생과 교직원까지 포함한다’는 문
항의 경우 평점이 0.98±0.14점으로 가장 높게 나타
났으나, ‘국민건강증진법시행령에 의하면 담배자판기
를 설치할 수 있는 장소는 만 18세 미만인 자의 출
입이 금지된 곳이다’라는 문항은 0.23±0.42점으로
정답률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4. 학교건강증진사업 관련 법과 규정에 대한 개정의견은
4점 만점에 평균 3.58±0.78점으로 높은 관심을 나
타났으며, 보건교사의 확대 배치 및 거대학교 2인 배
치 관련 법 규정을 개정해야한다는 의견이 가장 높은
점수인 3.81±0.43을 나타냈다.
5. 학교건강증진사업 관련 생활습관 실천정도에서는 학
력이 높은 군이 높았고(F=6.80, p=.001), 학생
수가 적은 학교 근무자 군이 높았다(F=4.66, p=
.010). 중요성 인지도에서는 경력이 10년 미만인 군
이 더 높았고(F=4.86, p=.008), 학급 수가 적은
학교 근무자 군(F=5.04, p=.007), 학생 수가 적은
학교 근무자 군(F=3.83, p=.023)이 더 높았다.
6. 학교건강증진사업 관련 환경관리 실천정도는 일반적
특성에 따른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중요성 인지도
에서는 경력이 10년 미만인 군의 실천정도가 높았다
(F=3.66, p=.027).
7. 학교건강증진사업 관련 법과 규정에 대한 지식은 일
반적 특성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 법규정 개
정 의견은 18학급 미만 학교 근무자(F=6.04, p=
.003), 학생 수 500명 미만인 학교 근무자의 경우
더 높게 나타났다(F=4.24, p=.015).
8. 위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장, 문제, 표적 중심 건강
증진모형에 의거하여 학교건강증진사업모형을 설명하
였다.
9. 학교건강증진사업의 모형에 의거하여 학교건강증진사
업의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보건교사가 적극적이고 활발하게 학교건강증진사업모
형에 따라 건강증진서비스를 시행하면 장차 국가의 중추
인력이 될 학생들의 건강이 증진될 것이며, 궁극적으로
국민 건강증진에 기여하게 될 것이다.
본 연구의 결과 및 제한점을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제
언을 하고자 한다.
1. 본 연구는 경북지역의 보건교사만을 연구대상으로 하여서 결과를 일반화하기에 어려움이 있으므로 다른
지역의 보건교사를 대상으로 한 전국적인 조사가 필
요하다.
2. 설문지의 회수율이 52.3%에 그쳤는데, 향후 연구에
서는 회수율을 높이기 위한 다양한 방법을 모색하여
야 한다.
3. 연구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에 따른 집단 크기의 차
이가 있었으므로 연구대상자의 조건을 동질하게 하여
후속연구를 실시할 필요가 있다.
Alternative Title
A Study on the Performance Level, the Awareness of the Importance, and Improvement of School Health Promotion Programs
Keimyung Author(s)(Kor)
박정숙
Publisher
College of Nursing
Citation
류현주 and 박정숙. (2007). 학교건강증진사업의 실천정도, 중요성 인지도 및 개선방안. 지역사회간호학회지, 18(1), 123–135.
Type
Article
ISSN
1225-9594
URI
https://kumel.medlib.dsmc.or.kr/handle/2015.oak/36985
Appears in Collections:
2. College of Nursing (간호대학) > Dept. of Nursing (간호학)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