병동호스피스 환자와 가정호스피스 환자의 영적 안녕과 삶의 질 비교
- Author(s)
- 김복희; 박희옥
- Keimyung Author(s)
- Park, Hee Ok
- Department
- Dept. of Nursing (간호학)
Research Institute for Nursing Science (간호과학연구소)
- Journal Title
-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Issued Date
- 2013
- Volume
- 24
- Issue
- 3
- Keyword
- Hospice care; Spirituality; Quality of Life
- Abstract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spiritual well-being and quality of life between hospital and home hospice patients. Methods: A total of 116 patients from 4 hospice hospitals in D city and P city participated in this study from January to April 2012. To measure spiritual well-being, an instrument developed by Paloutzian and Ellison (1982) and revised by Park (2005) was used. To measure quality of life, an instrument developed by Cho (1993) and revised by Sun (2003) was used. The data were analyzed by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x2-test, and ANCOVA. Results: Spiritual well-being and quality of life were higher in home hospice patients than in hospital hospice patients, but they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Higher education and having religion were significantly related to higher spiritual well-being in both groups. Having religion and pain history for the past one week were significantly related to higher quality of life in both groups. Conclusion: For hospice patients, participation in religious activities needs to be encouraged to improve their spiritual well-being and quality of life. Assessing the hospice patients` pain history with close observation and managing the pain are suggested.
본 연구는 K도 D시와 P시에 위치한 병동호스피스와 가정 호스피스를 동시에 운영하고 있는 4개 의 종합병원에서 치료중인 호스피스 환자를 대상으로 이들의 영적 안녕과 삶의 질정도를 비교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본 연구에서 병동호스피스 환자와 가정호스피스 환자의 영적 안녕 정도를 비교한 결과 가정호스피스 환자의 영적 안녕이(3.28) 병동호스피스 환자의 영적 안녕(3.13)보다 높았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는 가정호스피스 환자를 대상으로 제공되는 호스피스간호의 구성 내용이 의료기기 무료 대여와 차량봉사지원을 제외하고는(Choi, 2011) 병동호스피스 환자에게 제공되는 간호 프로그램과 대부분 유사한 것으로 영적 안녕정도 차이에 영향을 미칠 정도로 큰 차별성이 없기 때문으로 사료된다. 그러나 호스피스 환자의 대부분이 자신의 집에서 생을 마감하고 질적인 간호를 제공받고자 하는 것을 고려할 때(Kim, 2006), 호스피스 전문간호사들이 가정호스피스 환자를 위해 병동호스피스 간호와는 차별화된 가정호스피스를 제공하기 위해 프로그램을 구체적으로 작성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삶의 질에서 병동호스피스 환자와 가정호스피스 환자를 비교한 결과 가정호스피스 환자의 삶의 질(3.26)이 병동호스피스 환자의 삶의 질(3.10)보다 높았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는 대상자의 삶의 질에 다양한 변수가 영향을 미치므로 두 그룹 간의 삶의 질을 단순 비교하는 것은 어려우나, 가정호스피스 환자의 삶의 질정도가 조금 높게 나타난 결과는 이들이 가족과 함께 편안하고 익숙한 환경에서 호스피스간호를 받고 있기 때문으로 사료된다(Lee, Lee, & Kim, 2000). 그러나 가정호스피스 환자의 삶의 질정도가 병동호스피스 환자의 삶의 질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나기 위해서는 삶의 질과 관련된 여러 변수들을 호스피스간호 구성내용에 포함시키려는 노력이 필요하겠다. 본 연구결과 대상자의 특성에 따른 영적 안녕 정도의 차이를 살펴보면, 병동호스피스 환자와 가정호스피스 환자 모두 학력과 종교에 따라 영적안녕 정도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대졸 이상 환자가 무학이나 초등 졸 환자에 비해 영적 안녕 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이는 학력이 높을수록 영적 안녕 정도가 높은 것으로 보고된 선행 연구결과와 일치하였다(Kim & Song, 2003). 또한, 종교가 있는 환자가 무교인 환자보다 영적 안녕 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이는 암 환자의 영적 안녕이 종교가 있는 경우 더 높다고 보고한 선행연구결과와도 일치하였다(Kim & Song, 2003; Yoo, 2001). 기독교인 환자가 종교가 없는 환자에 비해 영적 안녕 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난 것은 국내 호스피스 간호가 종교를 가진 병원 중심으로 활성화되어지고 있고 종교적 특성을 포함한 호스피스간호를 제공하고 있기 때문으로 사료되나 구체적인 원인을 파악하기 위해 더 많은 반복연구수행을 통한 결과해석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대상자 특성에 따른 삶의 질 차이를 살펴보면 병동호스피스 환자와 가정호스피스 환자 모두 종교와 통증유무에 따라 삶의 질 정도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병동호스피스 환자와 가정호스피스 환자의 경우 모두 기독교 환자가 무교 환자에 비해 삶의 질 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이는 암 환자의 삶의 질에 종교가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고 보고된 선행연구결과와 부분적으로 일치한다(Yoo, 2001). 호스피스 환자가 거주하는 곳이 병동 혹은 가정 등의 장소와 무관하게 호스피스 환자의 종교생활을 적극적으로 지원하고 격려함으로서 이들의 영적 안녕과 삶의 질을 유지하도록 돕는 것이 호스피스 간호사의 중요한 역할이라고 볼 수 있겠다. 또한, 두 그룹 모두 통증이 없는 환자가 있는 환자보다 삶의 질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암 환자의 삶의 질이 이들의 통증 혹은 신체적 불편감 정도와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다고 보고된 선행연구결과와 일치한다(Byun & Kim, 2012). 따라서 호스피스 환자의 통증을 적절한 시점에 효과적으로 관리함으로서 이들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노력이 요구되어진다. 특히, 호스피스 전문간호사는 가정호스피스 환자를 간호하는 경우 통증조절을 위해 상시대기하고 이들의 간호요구에 즉각적으로 반응하고 대처하는 것이 필요하겠다. 본 연구결과 가정호스피스 환자의 경우 종교기관 직분의 유무에 따라 영적 안녕과 삶의 질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환자가 호스피스간호를 받기 전 단순히 종교생활을 하는 것 뿐 아니라 이들이 속한 종교기관을 통해 특정 직분을 맡고 책임감 있게 신앙생활을 한 경우 호스피스간호를 제공 받는 중에도 영적안녕과 삶의 질이 높다고 추정할 수 있겠다. 따라서, 호스피스간호사는 암 환자가 호스피스를 받는 동안에도 최대한 종교생활에 참여할 수 있는 기회를 부여하고 환자 자신의 역할을 충실히 수행할 수 있도록 격려함으로서 이들의 영적안녕과 높은 삶의 질이 유지될 수 있도록 돕는 것이 필요하겠다. 또한, 가정호스피스 환자의 경우 경제적 부담정도에 따라 삶의 질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정호스피스 환자는 경제적으로 부담을 적게 느끼는 경우가 그렇지 않은 경우에 비해 삶의 질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가정호스피스 환자의 경우 치료비 부담과 경제적 어려움을 더 많이 느끼기 때문에(Lee et al., 2000; Yong, 2005) 이러한 경제적 부담이 삶의 질에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사료된다. 가정호스피스 환자의 경우 병동호스피스 환자와 마찬지로 호스피스간호에 필요한 용품을 구입하거나 관련기관으로부터 대여를 받아야 하는 실정이므로 이들 역시 많은 경제적 부담을 경험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가정호스피스 환자가 관련 기관으로부터 특정 의료물품을 무료 사용하거나 대여할 수 있는 제도적 장치를 마련하여 경제적 부담을 줄여줌으로서 이들의 영적 안녕과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할 필요가 있겠다. 본 연구는 가정호스피스 환자의 영적 안녕과 삶의 질 정도를 파악하고 이를 병동호스피스 환자의 영적 안녕과 삶의 질정도와 비교함으로서 호스피스간호 유형에 따른 영적 안녕과 삶의 질 정도를 비교하였다는데 그 연구적 의의가 있겠다. 그러나 본 연구는 일부 지역의 호스피스 환자를 대상으로 수행된 연구로 그 연구결과를 다른 지역 환자에게 일반화하고 적용하는데 제한점이 있겠고, 호스피스 환자의 영적 안녕과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를 총체적으로 분석하여 통제하지 못한 것에 제한점이 있겠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호스피스 간호사는 호스피스 환자가 거주하는 장소와 상관없이 환자의 종교생활과 통증관리를 적극적으로 돕고 지지함으로써 이들의 영적 안녕과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할 것을 제안한다.
- 공개 및 라이선스
-
- 파일 목록
-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