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 앱을 이용한 당뇨환자관리의 효과: 체계적 문헌고찰과 메타분석
- Author(s)
- 김희언; 김은자; 김가은
- Keimyung Author(s)
- Kim, Ga Eun
- Department
- Dept. of Nursing (간호학)
- Journal Title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Issued Date
- 2015
- Volume
- 15
- Issue
- 1
- Keyword
- Mobile App; Diabetes; Systematic Review; Meta-Analysis
- Abstract
- The purpose of this review was to evaluate the effects of diabetes management program using mobile appllication. A systematic review using the Preferred Reporting Items for Systematic Reviews and Meta-Analyses: the PRISMA Statement was conducted. Studies published between 2004 and 2014 were reviewed using the following databases: Ovid, CINAHL and Cochrane library. The keywords used were (app*OR mobile) AND (nurs* OR health* OR medic*) AND (diabet*). Selected studies were assessed for methodological quality using Scottish Intercollegiate Guidelines Network (SIGN)' Checklist. Three hundred seventy five studies were identified, All the 3 studies found mobile application as a valid strategy on clinical usefulness in diabetes management. This review provides updated evidence for app-based management program in diabetes management. Further studies are needed to increase generalizability using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enough sample size. In addition, valid measurements are needed to assess the main outcomes.
본 연구는 모바일 앱을 이용한 당뇨 환자 관리관련 선행연구들을 체계적으로 고찰하여 임상적 유용성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근거 중심의 가이드라인 제공 및 향후 연구방향을 제시하고자 시도되었다. 데이터베이스는 Ovid, CINAHL, Cochrane library를 활용하였으며 (app*OR mobile) AND (nurs*OR health* OR medic*) AND (diabet*)을 주요어로 2004년부터 2014년까지의 문헌을 대상으로 검색하였다. 총 375편의 연구 중 3편의 논문이 최종 선정되었고, Scottish Intercollegiate Guidelines Network (SIGN)의 Checklist를 이용해 문헌의 질을 평가하였다. 연구결과 앱을 적용한 당뇨관리는 당화혈색소 감소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효과가 있었다. 추후 연구의 설계유형이나 이를 기반으로 한 효과적인 중재개발 연구를 제안한다. 향후 충분한 표본수를 고려한 무작위 실험연구와 당화혈색소 이외 생리적 지표와 심리적 지표에 대한 연구가 더 많이 시행될 필요가 있다.
- 공개 및 라이선스
-
- 파일 목록
-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