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명대학교 의학도서관 Repository

1 cm 이하의 침윤성 유방암 환자에서 겨드랑이 림프절 전이에 대한 예측인자

Metadata Downloads
Author(s)
강선희조지형
Keimyung Author(s)
Kang, Sun HeeCho, Ji Hyoung
Department
Dept. of Surgery (외과학)
Journal Title
대한외과학회지
Issued Date
2011
Volume
80
Issue
1
Abstract
Purpose: Although screening MMG leads to increase of early small breast cancer, axillary lymph node metastasis
is still an important prognsotic factor in these patients.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incidence and
predictors for axillary lymph node metastasis in patients with invasive breast carcinoma of 1 cm or less.
Methods: A retrospective analysis was made of 144 patients who underwent resection of primary tumor and axillary
procedures between January 1999 and August 2009 for breast cancer of 1 cm or less in size. Patien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according to axillary node metastasis and clinicopathologic factors including age, palpable mass
during physical examination, location of tumor, multifocality, tumor size, histologic type, extensive in situ
component, histologic grade, nuclear grade, lymphovascular invasion, hormonal receptor status, and C-erbB-2 status
were compared.
Results: Twenty-eight (19.4%) patients of all 144 patients had metastasis in the axillary lymph node. Three variables
such as multifocality (P=0.023), histologic high grade (P=0.033), presence of lymphovascular invasion (P=0.002)
were found to be significant in univariate analysis. In a multivariat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however,
multifocality (P=0.022) and presence of lymphovascular invasion (P=0.007) were independent predictors of axillary
lymph node metastasis.
Conclusion: The incidence of axillary lymphnode metastasis of breast cancer 1 cm or less in size was 19.4%.
Although the size of invasive breast carcinoma is less than 1 cm, if the tumor presented lymphovascular invasion
or multifocality, axillary lymph node dissection might prove better than sentinel node biopsy. (J Korean Surg
Soc 2011;80:10-15)
한국인의 유방암 발생률은 지난 과거에 비해 급속도로
증가하면서, 특히 무증상의 상태로 건강 검진상 발견되는
상피내암 또는 침윤성 조기 유방암이 많은 부분을 차지하
게 되었다. 최근 보고에 의하면 종양의 크기가 2 cm 이하이며 림프절 전이가 없는 1기 유방암이 37.9%를 차지하여 과
거 10년 전에 비하여 93.4%의 증가율을 기록하였다.(1) 이
들의 수술적 치료는 감시림프절 생검을 포함한 유방 보존
술이 주류를 이루어 유방의 미용적 효과를 최대화 하고, 겨
드랑이 합병증을 줄여 기능적 손실을 피할 수 있다. 감시
림프절 생검술이 초기 유방암에서 고식적 겨드랑이 림프절
박리술을 대신할 수 있다는 문헌들(2,3)과 영상의학적 기
술의 발달로 수술 전에 림프절 전이 상태를 보다 정확하게
진단함으로써(4-6) 겨드랑이 림프절 박리술의 빈도는 점점
줄어들고 있다. 그러나 T1 유방암에서 겨드랑이 림프절 전
이율은 약 3∼37%(7-11)으로 보고되는데 림프절 전이에 영
향을 주는 가장 중요한 인자는 종양의 크기이다. 즉, 5 mm
이하의 T1a 종양은 림프절 전이가 약 0∼11%이나, 10 mm
이상의 종양은 29∼36%로 증가한다.(12-15) 본 연구는 T1
종양 중에서도 크기가 1 cm 이하인 유방암 환자를 대상으
로 이들의 겨드랑이 림프절 전이에 영향을 주는 임상 병리
학적 인자를 연구하였다.
Alternative Title
Predictive Factors Affecting Axillary Lymph Node Metastasis in Patients with Invasive Breast Carcinoma of 1 cm or Less
Keimyung Author(s)(Kor)
강선희
조지형
Publisher
School of Medicine
Citation
강선희 and 조지형. (2011). 1 cm 이하의 침윤성 유방암 환자에서 겨드랑이 림프절 전이에 대한 예측인자. 대한외과학회지, 80(1), 10–15. doi: 10.4174/jkss.2011.80.1.10
Type
Article
ISSN
1226-0053
DOI
10.4174/jkss.2011.80.1.10
URI
https://kumel.medlib.dsmc.or.kr/handle/2015.oak/37263
Appears in Collections:
1. School of Medicine (의과대학) > Dept. of Surgery (외과학)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 관련 파일이 존재하지 않습니다.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