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명대학교 의학도서관 Repository

고혈압을 동반한 제2형 당뇨병환자에서 cilazapril이 내피세포기능에 미치는 효과를 평가하기 위한 무작위 개방성 다기관 임상시험

Metadata Downloads
Author(s)
이상열우정택백세현이형우이인규김혜순이문규송민호조정구박병현차봉수김영설
Keimyung Author(s)
Kim, Hye Soon
Department
Dept. of Internal Medicine (내과학)
Journal Title
당뇨병
Issued Date
2006
Volume
30
Issue
6
Abstract
Background: The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inhibitor (ACEi) improves the vascular endothelial cell function and has a better clinical outcome by decreasing the LDL cholesterol oxidation, hypercoagulability, oxidative stress and improving the level of endothelial nitric oxide synthesis in patients with type 2 diabetes and hypertension. However, the correlations between the ACEi and the serum markers for the vascular endothelial function in previous studies were not consistent. Subjects and Methods: Between July 2003 and April 2005, 104 type 2 diabetes patients with hypertension, who had been admitted to 9 major university hospitals in Korea, were examined. The subjects were randomly allocated to the cilazapril (2.5~5 mg/day) and atenolol (50~100 mg/day) treatment group and given a combination of hydrochlorothiazide and amlodipine. The lipid profile and the markers for endothelial function, such as vWF, VCAM, E-selectin, tPA, fibrinogen, adiponectin, hsCRP, nitrotyrosine were evaluated and the differences in the variables were compared with those obtained 6 months later. Results: A total 56 subjects completed the 6-months follow up period. Regarding the baseline characteristic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variables observed in the two groups except for HbA1c (P = 0.037), vWF (P = 0.048), and hsCRP (P = 0.038). After 6 months, both groups showed a significant and identical decrease in the systolic and diastolic blood pressure compared with the baseline (P < 0.002). However,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endothelial markers between each group. On the other hand, there was some deterioration in the triglyceride (P = 0.009) and HbA1c (P = 0.017) levels in the atenolol treatment groups. Conclusion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endothelial function markers observed between the cilazapril and atenolol groups. However, cilazapril had an identical effect on the blood pressure reduction compared with atenolol but had fewer adverse effects on the glucose and lipid metabolism. (J Kor Diabetes Assoc 30:450~458, 2006)
배경: 고혈압 및 제2형 당뇨병환자에서 안지오텐신 전환효소 억제제는 저밀도 지단백의 산화 감소, 과응고화의 감소, 산화스트레스의 감소 및 내피세포의 산화질소 기능의 향상을 통해 혈관 내피세포의 기능을 증가시키고 심혈관질환의 임상적인 향상을 가져온다고 알려져 있다. 그러나 제2형 당뇨병환자를 대상으로 한 최근의 연구들에서 안지오텐신 전환효소 억제제의 사용과 내피세포기능 및 내피세포 기능 표지자간의 상관관계는 일관적인 결과를 보여주지 못했다. 대상 및 방법: 2003년 7월부터 2005년 4월까지 전국의 주요 대학병원 8개소에서 모집된 고혈압이 동반된 제2형 당뇨병환자 104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대상 환자는 cilazapril 2.5~5 mg/day 사용 및 atenolol 50~100 mg/day 사용군으로 무작위 할당되었고 hydrochlorothiazide 및 amlodipine의 병용사용이 허용되었다. 대상 환자들은 병력 및 신체 계측과 함께 지질, 내피기능인자, 산화인자, 만성염증인자, 항혈전인자 등을 측정하였고 약물 사용 6개월 후의 변화를 측정하여 그 차이를 비교하였다. 결과: 총 104명의 대상 환자 중 56명에서 실험이 완료되었다. 환자의 기저 특성상 대부분의 변수들에서 양 군 간의 유의한 차이는 없었으나 cilazapril 사용군에서 당화혈색소, vWF, hsCRP가 유의하게 낮았다. 투약 6개월 후 cilazapril군 및 atenolol군 모두 수축기혈압과 이완기혈압이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하지만 내피세포 기능 표지자에 있어 양 군 간 유의한 차이는 관찰되지 않았으며 atenolol군에서는 기저치에 비해 중성지방과 당화혈색소의 악화가 관찰되었다. 임상적으로 유의한 약제 부작용에 있어 양 군 간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결론: 내피세포 기능 표지자에 있어 cilazapril 사용군과 atenolol 사용군 간의 유의한 차이는 관찰되지 않았다. 하지만 cilazapril 사용군은 atenolol 사용군과 동등한 혈압 강하 효과를 보이면서도 당 및 지질 대사에 미치는 영향이 atenolol 사용군보다 적었다.
Alternative Title
Randomized, Open Label, Multicenter Clinical Trial about the Effect of Cilazapril on Vascular Endothelial Function in Patients with Type 2 Diabetes Combined with Hypertension
Keimyung Author(s)(Kor)
김혜순
Publisher
School of Medicine
Citation
이상열 et al. (2006). 고혈압을 동반한 제2형 당뇨병환자에서 cilazapril이 내피세포기능에 미치는 효과를 평가하기 위한 무작위 개방성 다기관 임상시험. 당뇨병, 30(6), 450–458. doi:  10.4093/jkda.2006.30.6.450
Type
Article
ISSN
1015-6461
DOI
 10.4093/jkda.2006.30.6.450
URI
https://kumel.medlib.dsmc.or.kr/handle/2015.oak/37416
Appears in Collections:
1. School of Medicine (의과대학) > Dept. of Internal Medicine (내과학)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