폐경 전 여성에서 비만도에 따른 혈중 렙틴 농도와 대사증후군 관련인자와의 상관관계 비교
- Author(s)
- 김희경; 박근규; 김미경; 장영윤; 김상윤; 정의달; 김혜순; 도주호; 이인규
- Keimyung Author(s)
- Park, Keun Gyu; Kim, Mi Kyung; Kim, Hye Soon; Do, Ju Ho; Lee, In Kyu
- Department
- Dept. of Internal Medicine (내과학)
- Journal Title
- 당뇨병
- Issued Date
- 2005
- Volume
- 29
- Issue
- 3
- Abstract
- Background: Leptin is mainly secreted from adipose tiss니e, and it is a crucial factor for metabolic syndrome that is characterized by obesity, insulin resistance, hypertension and dyslipidemia. We meas니red the serum leptin concentrations and compared them with the body fat distrib니tion and metabolic risk factors in premenopausal normal weight and obese women.
Methods: 231 premenopa니sal obese women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s니bjects were grouped based on their body mass index (BMI). The n니mber of normal weight grᄋ니p women (BMI < 25 kg/m2) and the n니mber of obese gro니p women (BMI > 25 kg/m2) were 90 and 141, respectively. We meas니red the plasma leptin concentration and s니ch metabolic risk factors as fasting glucose, insulin, triglyceride (TG), systolic blood pressure (SBP) and diastolic blood pressure (DBP). The subc니taneous adipose tiss니e area (SAT) and the visceral adipose tiss니e area (VAT) were determined by computed tomography. The BMI, waist to hip ratio (WHR) and homeostasis model assessment (HOMA-IR) were calculated. Results: In the obese grcxjp, the leptin levels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BMI and SAT as well as with such metabolic risk factors as fasting serum glucose, insulin, HOMA-IR, TG, SBP and DBP. Altho니gh leptin levels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BMI and SAT in the normal weight group, they were not correlated with the metabolic risk factors. Conclusion: The present st니dy showed that the leptin levels in the normal weight gro니p were not associated with the metabolic risk factors. Therefore, the degree of obesity must be considered before leptin can be 니sed as a predictor for metabolic syndrome including diabetes and coronary heart disease (J Kor Diabetes Assoc 29:223〜230, 2005).
Key Words: Leptin, Obesity, Metabolic syndrome, Body mass index
연구배경: 비만 유전자의 산물인 랩틴은 지방세포에서 특이적으로 발현되는 단백질로 체지방량의 증가에 따라 혈 중 농도가 증가하고 비만과 인슐린저항성을 포함한 대사증 후군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현 재까지 정상 체중인 경우 혈중 랩틴 농도와 대사증후군과의 상관관계에 대한 연구는 미진한 상태이다. 따라서 본 연구 는 폐경 전 여성에서 비만도에 따른 혈중 랩틴 농도와 체지 방 분포 및 대시증후군 관련인자와의 상관관계를 조사하여 정상 체중군과 비만군에서 랩틴과 대사증후군 관련인자와 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시행하였다.
방법: 총 231명의 폐경 전 여성을 대상으로 체질량지수 (body mass index, BMI)에 따라 정상체중군• (BMI < 25 kg/m2, n = 90)과 비만군 (BMI > 25 kg/m2, n=141)■으■로 니누어 신체계측I: 하고 컴퓨터 단층촬영으로 피하지방량 과 내장지방량을 측정하였다. 대사증후군 관련인자로는 공 복시 혈당과 인슐린 농도 HOMA-IR, 혈중 총콜레스테롤, 중성지방,그리고 고밀도 및 저밀도 콜레스테롤을 측정하표 수축기 및 이완기 혈압을 측정하였다.
결과: 정상체중군에서 혈중 랩틴 농도와 체질량지수 및 피하지방량의 상관지수는 각각 0.412 (F< 0.0001) 및 0.301 (P = 0.013)로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으나 대사증후군 관련 인자와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성이 없었다. 비만군에서 랩틴 농도와 체질량지수와 피하지방량의 상관지수는 각각 0.254 (P = 0.002), 0.320 (P < 0.0001)였고 ^복"시 혈 당 및 인슐린 농도 및 HOMA-IR와의 상관지수는 각각 0.205 (P = 0.015), 0.331 (P < 0.0001),0.344 (P < 0.0001)
였고 중성지방과 수축기 및 이완기 혈압과의 상관지수는 0.212 (P = 0.012), 0.249 (P = 0.003), 0.217 (尸 = 0.010)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으나,혈중 총콜레스테롤,고밀도 및 저밀도 콜레스테롤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가■없 었다
결론: 본 연구에서 체지방량 증기세 따라 혈중 랩틴 농 도가 증가히는 결괴는 기존의 연구보고와 동일하였다 비만 군에서 혈중 랩틴 농도는 대사증후군과 밀접한 관련성이 있 는 것으로 나타났으나,정상체중군에서 혈중 랩틴 농도는 대시증후군 관련인자와 상관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랩틴의 생리적 기능과 병리적 기능에 대한 명확한 규명을 위해서는 대상자의 비만도반드시 고려되어야 할 것으로 된다.
- 공개 및 라이선스
-
- 파일 목록
-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