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안정성 쇄골 원위부 골절에서의 Endobutton을 이용한 오구 쇄골 인대 보강술
- 예비 보고 -
- Author(s)
- 조철현; 정구희; 신홍관; 이영국; 박진현
- Keimyung Author(s)
- Cho, Chul Hyun
- Department
- Dept. of Orthopedic Surgery (정형외과학)
- Journal Title
- 대한견주관절학회지
- Issued Date
- 2011
- Volume
- 14
- Issue
- 1
- Abstract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radiologic and clinical outcomes after operative
treatment using endobuttons for unstable distal clavicle fractures.
Materials and Methods: Between October 2007 and September 2009, 9 consecutive patients who were
followed up for at least more than 12 months after operative treatment using a TightRope were studied.
The radiologic results on the serial plain radiographs and the clinical results according to the American
Shoulder Elbow Surgeons (ASES) score were analyzed.
Result: Bony union was shown in 8 cases (88.9%) and the average time to union was 12.9 (range: 9~16)
weeks. The average coracoclavicular distances at the postoperative and final follow-up were 5.6 mm and
6.2 mm, respectively, with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p>0.05). The average ASES score was
90.3 (range: 78~96) and the clinical outcomes were 6 excellent, 2 good and one fair. There were no complications
such as implant failure or infection except for one case of nonunion due to loss of the initial
reduction.
Conclusion: A major advantage of TightRope fixation for unstable distal clavicle fractures is that no
further surgery is needed to remove the implant. We suggest that this technique provides an alternative for
fracture with a distal fragment, which is difficult to fix.
Key Words: Distal clavicle, Coracoclavicular ligament, Unstable fracture, TightRope
목적: 불안정성 쇄골 원위부 골절에서 Endobutton을 이용한 오구 쇄골 인대 보강술을 시행하고
그 방사선학적 및 임상적 결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7년 10월부터 2009년 9월까지 오구 쇄골 인대 손상이 동반된 Neer 제 2형 불
안정성 쇄골 원위부 골절로 TightRope 고정술을 시행하고 1년 이상 추시 관찰이 가능하였던 연
속적 9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방사선적 평가는 단순 방사선 사진을 이용하여 오구 쇄골 간격 측
정 및 골유합을 판단하였고, 임상적 평가는 ASES 평가 점수를 이용하였다.
결과: 8예 (88.9%)에서 골유합을 얻을 수 있었으며, 평균 골유합 기간은 12.9 (9~16)주였다.
술 후 및 최종 추시 평균 오구 쇄골 간격은 5.6 mm, 6.2 mm로 통계학적으로 의미있는 정복의
소실은 없었다 (p>0.05). ASES 점수는 평균 90.3 (78~96)점으로 우수 6예, 양호 2예, 보통 1
예였으며, 8예 (88.9%)에서 만족할 만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합병증으로 1예에서 초기 정복 소
실로 인하여 불유합이 발생하였으며, 보통의 임상적 결과를 보였다. 그 외 고정물의 파손 및 감염
등의 합병증은 없었다.
결론: 불안정성 쇄골 원위부 골절에서 TightRope 고정술은 고정물의 제거가 필요하지 않다는
장점이 있으며, 원위 골편의 고정이 어려운 골절에서 안정된 고정을 얻을 수 있는 하나의 대안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색인 단어: 쇄골 원위부, 오구 쇄골 인대, 불안정성 골절, TightRope
- 공개 및 라이선스
-
- 파일 목록
-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