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명대학교 의학도서관 Repository

상완골 간부 골절에 동반된 요골신경 마비의 관련 인자

Metadata Downloads
Author(s)
이시욱조철현배기철
Keimyung Author(s)
Lee, Si WookCho, Chul HyunBae, Ki Cheor
Department
Dept. of Orthopedic Surgery (정형외과학)
Journal Title
대한골절학회지
Issued Date
2014
Volume
27
Issue
3
Abstract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associated factors of primary radial nerve palsy and to evaluate clinical
outcome for its treatment in patients with humerus shaft fracture.
Materials and Methods: We divided two groups of patients with (17 patients) and without (116 patients) primary radial
nerve palsy and analyzed correlation between radial nerve injury and various parameters, including age, sex, cause of injury,
AO classification, fracture type, fracture location, and presence of open fracture. We also evaluated configuration of nerve
injury, presence of recovery, and recovery time.
Results: The overall prevalence of primary radial nerve palsy after humerus shaft fracture was 12.8% (17 palsies in 133
fractures). Younger age, AO type B, and distal 1/3 fractures showed significantly higher correlation with radial nerve palsy.
No significant correlation was observed between radial nerve palsy and other parameters, including sex, cause of injury,
fracture type, and presence of open fracture. Thirteen patients (76.5%) underwent early nerve exploration with internal
fixation. Intraoperatively, all patients had continuity of radial nerve except one patient with segmental loss. At the final
follow-up, 16 patients (94.1%) with radial nerve palsy had made a complete recovery. The mean time to complete recovery
was 6.7 months.
Conclusion: Primary radial nerve palsy after humerus shaft fracture was more common in young age, AO type B, distal
1/3 fractures. Early surgical exploration can be recommended to confirm the condition of the radial nerve if the fracture
should be fixed.
Key Words: Humerus, Shaft, Fracture, Radial nerve, Palsy
목 적: 상완골 간부 골절에 동반된 일차성 요골신경 마비의 관련 인자에 대해 분석하고, 그 치료 결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일차성 요골신경 마비가 동반된 군(17예)과 동반되지 않은 군(116예)으로 나누어 연령, 성별, 수상 원인, AO
분류, 골절 위치, 골절 양상, 개방성 골절의 유무와 요골신경 손상과의 연관성을 분석하였다. 또한 신경 손상의 양상, 회복
여부, 회복 기간 등을 조사하였다.
결 과: 일차성 요골신경 마비는 12.8% (17/133)에서 발생하였다. 젊은 연령, AO 분류 B형에서, 그리고 원위부로 갈수록
의미있게 높은 발생률을 보였다. 성별, 수상 원인, 골절 양상, 개방성 골절의 유무와의 통계적 연관성은 없었다. 총 17예 중
13예(76.5%)에 대해서 내고정술과 함께 조기 신경 탐색술을 시행하였으며, 완전 단열이 있었던 1예를 제외한 모든 예에서
연속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최종 추시상 16예(94.1%)에서 완전 회복을 보였으며, 회복 기간은 평균 6.7개월이었다.
결 론: 상완골 간부 골절에 발생하는 요골신경 마비는 젊은 연령, AO 분류 B형, 원위부 1/3에서 호발함을 알 수 있었다.
골절에 대해 내고정의 적응증이 된다면 신경 손상의 상태를 파악하기 위해 요골신경의 조기 탐색도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색인 단어: 상완골, 간부, 골절, 요골신경, 마비
Alternative Title
Associated Factors of Radial Nerve Palsy Combined with Humerus Shaft Fracture
Keimyung Author(s)(Kor)
이시욱
조철현
배기철
Publisher
School of Medicine
Citation
이시욱 et al. (2014). 상완골 간부 골절에 동반된 요골신경 마비의 관련 인자. 대한골절학회지, 27(3), 185–190. doi: 10.12671/jkfs.2014.27.3.185
Type
Article
ISSN
1225-1682
DOI
10.12671/jkfs.2014.27.3.185
URI
https://kumel.medlib.dsmc.or.kr/handle/2015.oak/37633
Appears in Collections:
1. School of Medicine (의과대학) > Dept. of Orthopedic Surgery (정형외과학)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