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발성 부전도로의 심장 전기생리적 특성
- Author(s)
- 이영수; 권택근; 김성열; 손봉준; 조봉기; 한성욱; 허승호; 김윤년
- Keimyung Author(s)
- Han, Seong Wook; Hur, Seung Ho; Kim, Yoon Nyun
- Department
- Dept. of Internal Medicine (내과학)
- Journal Title
- 대한내과학회지
- Issued Date
- 2002
- Volume
- 63
- Issue
- 4
- Abstract
- Background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linical and electro physiologic
characteristics of patients with multiple accessory pathways. Recently as endocardial mapping has
become more and more accurate, multiple accessory pathways which were considered to be rare in
the past, have become more commonly reported in patients with Wolff-Parkinson-White syndrome.
Methods : From February 1993 to June 2000, there were a total of 452 patients, who were
confirmed to have accessary pathway mediated-tachyarrhythmias diagnosed by electrophysiologic
study. Among those, 19 patients had multiple accessory pathways, and were enrolled in this study.
Results : Among the 19 patients, thirteen patients were male and six were female, and their mean
age was 36.5±16.17 years. All patients had 2 accessory pathways. The distribution of the
location of the accessory pathways was at the left free wall (71.1%), right free wall (18.4%) and
posteroseptal wall (10.5%). The most common combination pattern was the left free wall and
left free wall (57.9%) and the most common anatomical areas were the left lateral wall and left
posterior wall (36.8%). The success rate of the catheter ablation was 84.2% (16/19). The
recurrence rate after the radiofrequency catheter ablation was 31.3% (5/16) and the most common
recurrence site was left free wall (60.0%, 3/5).
Conclusion :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the clinical and electrophysiologic characteristics of the
multiple accessory pathway patients with WPW syndrome in our study were similar to those of
western countries.(Korean J Med 63:394-401, 2002)
Key Words : Wolff-Parkinson-White syndrome, Multiple, Electrophysiologic and clinical
characteristics
목적 : WPW증후군 환자에서 고주파 전극 도자 절
제술을 시행한 후 mapping이 정확해짐에 따라 과거에는
드물었던 다발성 부전도로의 발견이 많아졌으며 저자들
은 본원에서 경험한 다발성 부전도로를 가진 환자의 임상양상과 다발성 부전도로의 전기 생리적 특성에 대해
서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 1993년 2월부터 2000년 6월까지 계명대학교
동산의료원에 심계항진을 주소로 내원한 환자 중에서
심장 전기생리학적 검사를 시행하여 부전도로를 가진
환자는 452예였고, 그 중에서 다발성 부전도로를 확인하
고 고주파 전극 도자 절제술을 시행한 19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결과 : 모든 환자는 각각 2개씩의 부전도로가 있었으
며 유병율은 4.2%(19/452)였고, 부전도로의 분포는 좌심
실 유리벽(71.1%), 우심실 유리벽(18.4%), 후중격벽(10.4%)
의 순이었고, 조합 형태는 좌심실 유리벽에 2개가 있었
던 경우(57.9%)가 가장 많았으며, 더 자세한 해부학적인
위치는 좌심실 좌측벽과 좌심실 후벽(36.8%)에서 가장
많았다. 성공률은 84.2%였으며, 또한 1차 시술 후 5예에
서 재발하였고, 가장 흔한 재발 장소는 좌심실 유리벽에
서 3예였다.
결론 : 다발성 부전도로의 양상과 특성은 이미 보고
된 외국의 결과와 비교하며 비슷한 결과를 보였다. 그러
나 대상 환자의 수가 적어 우리나라에서의 다발성 부전
도로의 특성을 대변하지는 못하므로 더 많은 대상 환자
에 대한 조사가 필요하며 또한 심장 전기생리학적 검사
의 가장 큰 문제점인 방사선 피폭 시간을 줄이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겠다.
- 공개 및 라이선스
-
- 파일 목록
-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