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명대학교 의학도서관 Repository

운동장애성 소화불량환자에서 위배출과 구강맹장 통과시간에 관한 연구

Metadata Downloads
Author(s)
강영우황재석박승국
Keimyung Author(s)
Kang, Young WooHwang, Jae SeokPark, Soong Kook
Department
Dept. of Internal Medicine (내과학)
Journal Title
대한내과학회지
Issued Date
1997
Volume
52
Issue
6
Abstract
Objectives: Although DLFD is the most common subtype of functional dyspepsia in the Orient including Korea, previous studies on gastric emptying in DLFD patients are inconclusive and reports on small bowel transit in these patients are uncommon.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occurrence of delayed gastric emptying(GET) and orocecal transit time(OCTT) in DLFD patients.'

Methods: 98 DLFD patients without organic disease including diabetes (M:F=23:75, Mean Age= 43.1(23-69)) and 67 normal subjects (20 for GET and 47 for OCTT, Mean Age=39.9(25-69)) without gastrointestinal problems were recruited. Solid phase gastric emptying was assessed by radionuclide scintigraphy using ADAC dual head gamma camera after ingestion of "re labeled 425 calorie solid meal. OCTT was determined by the measuring exhaled hydrogen every 10 minutes for 3 hours after ingestion of 60.5 calorie potato soap with 20gm lactulose. OCTT was defined by the time interval between test meal to sustained increase in exhaled breath hydrogen by lOppm above baseline. A delayed GET was defined as Tl/2 above the mean value plus 1 SD of controls (74.6 ±17,6 min, M±SD) and a delayed OCTT as time exceeding the mean value plus 2 SD(81.9±13.3 min, M±SD).

Results: Among the 98 DLFD patients, only 7(7.1%) patients had a delayed GET(66.04±16.1 min vs 74.6+17.6 min, p=0.14) while a delayed OCTT was found in 36(36.7%) patients( 100 ±32.9 min vs 81.9 ±13.3 min, p<0.01) and 3(3.1%) had both delayed GET and OCTT.

Conclusion: Delayed OCTT was more frequently observed than delayed GET which was not significant comparing to wide ranged controls. Small bowel transit rather than gastric emptying plays some role in pathophysiology of the patients with DLFD._

Key Words: Gastric emptying time, Orocecal transit time, Dysmotility like functional dyspepsia
목 적:운동장애성 소화불량증은 기능성 소화불량 중 중 국내에서 가장 혼히 관찰되는 아형이며 그 원인 에 대해서는 아직 정확히 알려져 있지 않으나,위장관 운동장애가 중요한 원인으로 생각되고 있다. 한편 운 동장애성 소화불량증 환자에서 위배출 시간은 보고자 마다 다양한 결과를 보이며, 소장의 기능올 주로 측정 하는 구강맹장 통과시간은 비교적 보고가 드문 실정이 다. 이에 저자들은 운동장애성 소화불량증환자에서 위

배출 시간과 구강맹장 통과시간올 동시에 측정하여 그 변화와 이상 빈도를 알기 위하여 본 연구를 시행하였 다.

방 법 : 1993년 8월부터 1995년 2월까지 계명 대학 교 동산의료원에서 운동장애성 소화불량증으로 진단된 98명과 정상대조군 67명(위 배출 시간 20명, 구강 맹 장 통과 시간 47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위 배출 시간은 99mTc이 함유된 425칼로리의 고형식을 섭취후 ADAC dual-head gamma camera를 이용하여 측정하였으며, 위배출 시간의 정의는 정상군의 Mean+1SD를 초과하는 것으로 정의하였다. 구강맹장 통과시 간은 감자죽올 이용한 반고형식 lactulose 수소 호기를 실시하여 측정하였으며 구강맹장 통과시간의 지연은 정상군의 Mean+2SD를 초과하는 것으로 정의하 였다.

결과:위배출 시간은 두군에서 유의한 차이는 없 었으며(66.04土16.1분 vs 74.6士17.6분, p=0.14), 구강맹장 통과시간은 운동장애성 소화불량증이 정상대조군과 유의한 차이률 보였다(100土32.9분 vs 81.9土 13.3분, p<0.01). 그리고 구강맹장 통과시간의 지연은 98명중 36명(36.7%)에서 위배출 시간의 지연은 7명 (7.1%)에서 관찰되었고 둘다 동시에 지연된 경우는 3명(3.1%)에서만 관찰되었다.

결 론 :운동장애성 소화붙량증환자에서 위배출 시 간 지연보다 구강맹장 통과시간의 지연이 더많이 관찰 되었으며,소장의 운동장애가 위 운동장애보다 병태생 리에 일부 역할올 할 수 있올 것으로 생각된다.
Alternative Title
Study of Gastric Emptying and Orocecal Transit in Patients with Dysmotility like Functional Dyspepsia ( DLFD )
Keimyung Author(s)(Kor)
강영우
황재석
박승국
Publisher
School of Medicine
Citation
강영우 et al. (1997). 운동장애성 소화불량환자에서 위배출과 구강맹장 통과시간에 관한 연구. 대한내과학회지, 52(6), 737–742.
Type
Article
ISSN
1226-329x
URI
https://kumel.medlib.dsmc.or.kr/handle/2015.oak/37776
Appears in Collections:
1. School of Medicine (의과대학) > Dept. of Internal Medicine (내과학)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