폐경 전 비만여성에서 내장지방량에 따른 혈중 아디포넥틴 농도와 대사증후군 관련인자와의 상관관계
- Author(s)
- 김성재; 박근규; 김희경; 김미경; 이상원; 황재석; 한성욱; 허승호; 이인규
- Keimyung Author(s)
- Park, Keun Gyu; Kim, Mi Kyung; Hwang, Jae Seok; Han, Seong Wook; Hur, Seung Ho; Lee, In Kyu
- Department
- Dept. of Internal Medicine (내과학)
- Journal Title
- 대한내과학회지
- Issued Date
- 2004
- Volume
- 66
- Issue
- 3
- Abstract
- Background : Adiponectin is adipose specific protein, which we considered to have metabolic and
endocrine function in metabolic syndrome including obesity and insulin resistance. We measured
serum adiponectin concentrations and compared them with body fat distribution and metabolic risk
factors.
Methods : 112 premenopausal obese women were participated in this study. We measured plasma
adiponectin concentration and metabolic risk factors such as fasting glucose and insulin, triglyceride,
systolic blood pressure (SBP) and diastolic blood pressure (DBP). Subcutaneous adipose tissue area
(SAT) and visceral adipose tissue area (VAT) were determined by computed tomography. Body
mass index (BMI), waist to hip ratio (WHR) and homeostasis model assessment (HOMA-IR) were
calculated.
Results : Serum adiponectin concentration was inversely correlated with fasting insulin level,
HOMA-IR, triglyceride, SBP, DBP, WHR, BMI and VAT, whereas HDL-cholesterol was positively
correlated (all p values<0.05). VAT, SBP, and HDL-cholesterol level were independent variables of
serum adiponectin concentrations.
Conclusion : The present study demonstrates that decreased plasma level of adiponectin i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metabolic risk factors including body fat distribution; serum adiponectin
level is determined by VAT, whereas SAT has no relation with serum adiponectin level.(Korean J
Med 66:259-266, 2004)
Key Words : Adiponectin, Obesity, Metabolic syndrome, Visceral fat, Subcutaneous fat.
목적 : 아디포넥틴은 지방세포 특이 단백질이며, 비만
과 인슐린저항성을 특징으로 하는 대사증후군의 발생에
있어 중요한 대사 및 내분비기능을 하는 것으로 알려지
고 있다. 이에 저자들은 폐경 전 비만여성에서 혈청 아디
포넥틴 농도를 측정하고 체지방의 분포와 대사증후군 위
험요소들 사이의 연고나성을 비교 검토하였다.
방법 : 총 112명의 폐경 전 비만여성을 대상으로 대사증후군 위험인자를 측정하고, 컴퓨터 단층촬영으로 피하
지방량과 내장지방량을 측정하였다. 혈청 아디포넥틴 농
도는 방사면역법으로 측정하였으며 이를 대사증후군 위
험인자와의 상관관계를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 혈청 아디포넥틴 농도는 공복 인슐린, HOMA-IR,
수축기 및 이완기 혈압, 허리 엉덩이 둘레, 체질량지수 및
내장지방량과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고, HDL-콜
레스테롤과는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p value<0.05). 다
중회귀분석상 내장지방량, 수축기 혈압 그리고 고밀도 콜
레스테롤이 혈청 아디포넥틴 농도를 결정하는 독립변수
로 나타났다.
결론 : 본 연구를 통해 폐경 전 비만여성에서 감소된
혈청 아디포넥틴 농도는 대사증후군 관련인자와 밀접한
관련이 있고, 내장지방의 증가에 따른 혈중 아디포넥틴의
감소는 대사증후군의 위험인자와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공개 및 라이선스
-
- 파일 목록
-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