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명대학교 의학도서관 Repository

다발성 골수종에서의 신질환

Metadata Downloads
Author(s)
석 준주 일박성배김현철박관규
Keimyung Author(s)
Kim, Hyun ChulPark, Kwan KyuPark, Sung Bae
Department
Dept. of Internal Medicine (내과학)
Dept. of Pathology (병리학)
Journal Title
대한신장학회지
Issued Date
1996
Volume
15
Issue
1
Abstract
Renal involvement in multiple myeloma occur in approximately 50% of patients, whose clinical presentations include proteinuria, nephrotic syndrome, amyloidosis, renal tubular dysfunction, urinary tract infection and acute and chronic renal failure. To evaluate the clinical manifestations, courses and prognosis in myeloma patients with renal involvement, we analyzed retrospectively 46 patients with multiple myeloma in Keimyung University Dongsan Medical Center for recent ten years.

1) The mean age was 57.4±8.6 years, without sex preponderance.

2) The major clinical presentations were bone pain in 16 cases(36%), renal disease 14(30%), anemia 11(24%), fever and hemorrhagic tendency 2(4%), respectively.

3) Renal involvement was seen in 14 patients (30%), whose clinical presentation was either acute or chronic renal failure . Serum calcium level and 24-hour urine protein were significantly elevated in renal failure group than in non- renal failure group (p<0.05 ).

4) Pathologic diagnosis was established in 8 patients: myeloma kidney in 4 patients, hypercalcemic nephropathy in 2, light chain nephropathy in 1 and amyloidosis in 1.

5) The renal failure group had a significantly shorter mean survival than non-renal failure group (8 vs 29 month; p<0.05).
6) Frequent causes of death were infection in 5 cases (10.8%), cardiovascular disease 2(4.3%), disease progression 2(4.3%) and renal failure 1(2.1%).
We concluded that the incidence of renal involvement in multiple myeloma was 30% and that renal failure in the course of multiple myeloma was associated with a shorter survival.
1984년 1월부터 1994년 12월까지 계명의대 동산병원에서 골수 생검 및 골수 천자 홉인술로 다발성 골수종으로 진단한 46예를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연령 및 성별 분포는 남자 25명,여자 21명이였고, 환자의 평균 연령은 57.4±8.6(36-74)세였 으며,50세 이상이 78%를 차지하였다. 진단 당시 임상중상은 골통 16예(36%)와 신질환 14예 (30%)로 가장 많았고, 신질환의 임상양상은 급성 신부전 7예(50%), 만성 신부전 7예(50%)였다. 진단시 신침범이 있었던 군은 혈청 칼슘 11.6±2.6 mg/dL, 24시간 요단백량 7:2±3.0gm으로 신 침범이 없었던 군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으나(p<0.001) 혈색소, 고요산혈중의 빈도는 유의한 차이 가 없었다. 신침범이 있었던 14예중 8예에서 신생검을 실시하였고,신생검을 실시한 8예는 각각 골수종 원주에 의한 신중 4예,과칼슘혈중성 신중 2예, 경쇄(Light chain)신중 및 아밀로이드중 이 각각 1예로 확진되었다.
급성 신부전 7예는 보존적 요법과 신대체 요법으로 신 기능이 회복되었고,만성 신부전의 7예 지속적인 신대체 요법을 필요로 하였다. 신침범을 보였던 14예의 평균 생존기간은 8개월로,신침 범이 없었던 32예의 평균 생존기간 29개월에 비해 유의하게 짧았다(p<0.05).
치료기간중 사망한 환자의 주요 사인으로는 감염이 5예(10.3%)로 가장 많았고 그 외 심혈관질 환, 기존 질환의 악화 및 신부전 등이었다.
이상의 성적을 종합하면 다발성 골수종에서 신침범은 30%에서 발현되었고, 신침범이 없었던 군에 비해 평균 생존기간이 현저히 감소되었던 것으로 보아 신침범은 다발성 골수종 환자의 예후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인자로 생각된다.
Alternative Title
Renal Involvement in Multiple Myeloma
Keimyung Author(s)(Kor)
박성배
김현철
박관규
Publisher
School of Medicine
Citation
석 준 et al. (1996). 다발성 골수종에서의 신질환. 대한신장학회지, 15(1), 45–51.
Type
Article
ISSN
1225-0015
URI
https://kumel.medlib.dsmc.or.kr/handle/2015.oak/37840
Appears in Collections:
1. School of Medicine (의과대학) > Dept. of Internal Medicine (내과학)
1. School of Medicine (의과대학) > Dept. of Pathology (병리학)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