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명대학교 의학도서관 Repository

무증상 뇨이상의 임상적 및 병리학적 소견

Metadata Downloads
Author(s)
이상수박경대황은아이기태박성배김현철박관규
Keimyung Author(s)
Hwang, Eun AhPark, Sung BaeKim, Hyun ChulPark, Kwan Kyu
Department
Dept. of Internal Medicine (내과학)
Dept. of Pathology (병리학)
Journal Title
대한신장학회지
Issued Date
2000
Volume
19
Issue
1
Abstract
Asymptomatic urinary abnormalities are one of the most frequent abnormalities in clinical nephrology. Between April lffil and February 1999, we conducted retrospective follow-up studies of 159 patients with asymptomatic urinary abnormality that was proven by kidney biopsy, and evaluated their histologic findings and natural course. Mean age was 34.7 years old and sex ratio of male to female was 78 : 81.
They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according to the initial urinalysis findings: six patients with isolated hematuria, 33 patients with isolated proteinuria, and 120 patients with concomitant hematuria and proteinuria. The mean follow-up period was 35.5 ± 30.5 months.
In pathologic findings, 95 cases(59.3%) had IgA nephropathy, 27 cases(17.5%) had minor lesion, 12 cases'(7.5%> showed focal and segmental glomerulosclerosis, 10 cases(6.3%) had membraneous glomerulonephritis, 9 cases(5,6%) had mesangial proliferative glomerulonephritis. Amyloidosis and thin basement membrane disease were seen in two cases, respectively. There were no specific correlations between morphologic patterns and degree of proteinuria. During the mean follow-up period, hematuria or proteinuria disppeared in 14%, persisted in 49%, and developed renal insufficiency in 21%. During the mean follow-up period, isolated proteinuria disappeared in 24%, persisted in 36%,and developed renal insufficiency in 21%.
We conclude that the most common cause of asymptomatic urinary abnormalities was IgA ne phropathy and early diagnosis through renal biopsy and management is needed to prevent or slow the progression to chronic renal failure.
저자들은 1981년 4월부터 1999년 2월까지 계명대학교 의과대학 동산병원 내과에 무중상적 뇨 이상으로 주소로 내원한 환자 중 신생검올 통해 조직학적으로 확인된 159명의 환자톨 대상으로 다음과 같은 성적을 얻었다.
1) 무중상적 뇨이상은 20대 및 30대에서 호발하였으며 이들의 평균 연령은 34.7세였다.
2) 무중상적 뇨이상의 발현 양상은 혈뇨 단독이 4%,고립성 단백뇨는 21%, 혼합형 75%로 혼합형이 압도적으로 많았다.
3) 무중상적 뇨이상의 원인 신질환으로는 IgA 신병중 59.3%로 가장 많았;a, 미소 병변 17.5 초점성 분절성 사구체경화중 7.5%, 막성 사구체신염 6.3%, 메산지움 중식성 사구체신염 5.6% 순이었다.
4) 단백뇨 정도와 병리학적 소견과의 관계는 조직학적 분포와 유사한 비올로 나타나 뚜렷한 연관성을 찾올 수 없었다.
5) 혼합형의 경우 평균 36.3개월의 추적 관찰 기간 중 14%에서 뇨이상 소견이 소실되었고 49%에서는 그대로 지속되었으며 21%에서 신기능 부전이 발생되었다. 고립성 단백뇨의 경우 평 균 29.2개월의 추적 관찰기간 중 24%에서 단백뇨가 소실되었고 36%에서 그대로 지속되었으며 21%에서 신기능 부전이 발생되었다.
이상의 성적으로 저자들은 무중상성 뇨이상올 가진 환자에서 신생검올 통한 조기 진단과 적절 한 치료롤 시행하는 것이 만성 신부전으로의 진행의 예방과 완화에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Alternative Title
Clinicopathologic Studies of Asynmptomatic Urinary Abnormalities
Keimyung Author(s)(Kor)
황은아
박성배
김현철
박관규
Publisher
School of Medicine
Citation
이상수 et al. (2000). 무증상 뇨이상의 임상적 및 병리학적 소견. 대한신장학회지, 19(1), 77–82.
Type
Article
ISSN
1225-0015
URI
https://kumel.medlib.dsmc.or.kr/handle/2015.oak/37849
Appears in Collections:
1. School of Medicine (의과대학) > Dept. of Internal Medicine (내과학)
1. School of Medicine (의과대학) > Dept. of Pathology (병리학)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