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사근 기능항진을 동반한 외사시 환자에서 주시 방향에 따른 사시각 변화
- Author(s)
- 이영춘; 김무연; 이세엽
- Keimyung Author(s)
- Lee, Se Youp
- Department
- Dept. of Ophthalmology (안과학)
- Journal Title
- 대한안과학회지
- Issued Date
- 2002
- Volume
- 43
- Issue
- 2
- Abstract
- Purpose : To determine the correlation between the grade of inferior oblique overaction and the change of deviation angle according to gaze position.
Methods : We classified 90 patients into 4 groups according to the grade of inferior oblique overaction. Deviation angle was respectively measured in upward, primary and downward position at far and the difference between them was analyzed. And we assessed the frequency of V and Y pattern and the concordance of deviating eye between at primary position and at upgaze.
Results : Mean bilateral sum of the IOOA was +3.58 and average of deviation angle was 33.64 PD in upward position, 27.82 PD in primary position and 24.72 PD in downward position. Difference of deviation angle between upward and primary position was 5.82 PD (P<0.05) in that 3.10 PD between primary and downward position (P>0.05). The frequency of V pattern exotropia was 17.6% in group A, 17.1% in group B, 50% in group C and 85.7% in group D while the frequency of Y pattern among V pattern was 100%, 66.7%, 75% and 25% respectively. The chief deviating eye or IOOA predominant eye at primary position diverged during upgaze only in 67% of patients.
Conclusions : The larger the inferior oblique overaction, the more V pattern exotropia was observed and deviation angle was increased at higher IOOA groups. Overall exotropia patients with IOOA shows rather Y shape than V shape. And chief deviating eye was not always deviating eye at upgaze.
목적 : 하사근 기능항진을 동반한 외사시 환자에서 사시각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대상과 방법 : 90명을 대상으로 양안 하사근 기능항진의 합을 4군(A군≤2, 2결과 : 전체 환자의 양안 하사근 기능항진의 합은 평균 3.58이었으며 정면 주시시의 외사시각은 평균 27.82 PD, 상방에서는 33.64 PD, 하방 주시시는 24.72 PD를 각각 나타내어 상방과 정면 사이에서는 5.82 PD의 차이를 보였으나(p<0.05) 정면과 하방 주시간에는 3.10 PD의 차이를 보였다(P>0.05). A군과 B군은 각 주시 방향에 따른 유의한 사시각 차이를 보이지 않는데 비해 C군에서는 주시방향에 따른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V형 외사시의 빈도는 A군; 17.6%, B군; 17.1%, C군; 50%, D군; 85.7%로 하사근 기능항진이 작은 군보다 큰 군에서 유의하게 그 빈도가 높았고 V형 외사시 중 Y형은 A군 100%, B군 66.7%, C군 75%, D군 25%로 하사근 기능항진이 가장 큰 D군을 제외하고는 모두 높은 빈도를 보였다. 상방 주시시 정면에서 편위된 눈이 벌어지는 경우는 67%, 반대 눈이 벌어지는 경우는 33%였다.
결론 : 외사시의 형태는 하방 주시와 정면의 사시각 차이보다 정면과 상방 주시의 사시각 차이가 심해 V형보다는 Y형에 가까운 모습을 보였으며 하사근 기능항진이 클수록 V형 외사시의 빈도가 높았고 정면에서 주로 편위된 눈이 상방 주시시 주로 벌어지는 눈과 반드시 일치하지는 않았다.
- 공개 및 라이선스
-
- 파일 목록
-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