햇살모양의 골막반응을 동반한 골 전이암
- Author(s)
- 이경규; 정혜원; 강흥식; 박진균; 조길호; 이영환; 이성문; 이종민; 박정미; 강익원; 이일성; 황대현; 민선정; 서경진
- Keimyung Author(s)
- Lee, Sung Mun
- Department
- Dept. of Radiology (영상의학)
- Journal Title
- 대한영상의학회지
- Issued Date
- 2005
- Volume
- 52
- Issue
- 6
- Abstract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scribe the clinical and imaging features of metastatic bone tumors with sunburst periosteal reaction and to define the characteristic findings which would be helpful for differentiating metastatic bone tumors from primary malignant bone tumors.
Materials and Methods: The authors retrospectively reviewed the cases of nine patients with pathologically confirmed metastatic bone tumors with sunburst periosteal reaction, for which imaging studies (plain radiographs [n=9], radioisotope [RI] scans [n=4], magnetic resonance [MR] images [n=6], and computed tomographic [CT] scans [n=4]) were performed. The imaging studies of each lesion were analyzed by two musculoskeletal radiologists focusing on the metastatic site, patterns of bone response, signal intensity characteristics and pattern of contrast enhancement on MR. The clinical records of the patients were reviewed with regard to the age and sex of the subjects, the clinical presentation, and the origin of the primary tumors.
Results: The cases consisted of six men and three women, whose mean age was 62 years (age range, 50-88 years). The primary tumors were adenocarcinoma of the stomach [n=4], adenocarcinoma of the lung [n=2], adenocarcinoma of the prostate [n=1], hepatocellular carcinoma of the liver [n=1], and adenocarcinoma of unknown origin [n=1]. The sites of metastatic involvement exhibiting sunburst periosteal reaction were the scapula [n=2], proximal humerus [n=2], rib [n=1], iliac bone [n=1], tibia [n=1], spine [n=1], and proximal phalanx [n=1]. In all patients, the imaging findings showed osteolytic [n=3] or osteoblastic [n=6] lesions with sunburst periosteal reaction. In six cases, the lesions were iso-intense on the T1-weighted images and heterogeneously hyperintense on the T2-weighted images. The gadolinium-enhanced T1-weighted images showed a nearly homogenous enhancement of the lesions without any central necrotic portion.
Conclusion: Although metastatic bone tumor exhibiting sunburst periosteal reaction is rare, it should be included along with primary malignant bone tumors in the differential diagnosis of bone lesions with sunburst periosteal reaction, especially in older patients with or without a known primary malignancy.
목적: 햇살모양의 골막반응을 동반한 전이암의 임상소견 및 방사선학적 소견을 알아보고 원발성 악성 골종양과 감별에 도움이 되는 소견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병리조직학적으로 햇살모양의 골막반응을 동반한 전이암으로 확진된 9예를 대상으로 하여 임상소견과 방사선 소견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방사선학적 검사는 단순촬영 9예, 동위원소 골스캔 4예, CT 4예, 자기공명영상(MRI) 6예에서 시행하였다. 두 명의 영상의학과 의사가 서로 협의 하에 전이부위, 단순촬영과 CT에서 병변부의 음영, MR 신호강도와 조영증강 형태를 알아보았다. 임상기록은 환자의 연령과 성별, 내원시 주소, 그리고 원발암의 위치를 알아보았다.
결과: 환자는 남자가 6명, 여자가 3명이며, 나이는 50세부터 88세까지로 평균연령은 62세였다. 모든 예에서 내원시 주소는 골 전이로 인한 동통과 부종을 보였다. 원발암은 위암에서 전이된 경우가 4예로서 가장 많았으며 폐암 2예, 전립선암 1예, 간암 1예 그리고 원발암을 모르는 선암이 1예 있었다. 간암에서 상완골로 단일성 골 전이를 제외하고 모두 다발성으로 골전이를 보였다. 이중 햇살 모양의 골막반응을 보인 전이부위는 견갑골 2예, 상완골 근위부 2예, 늑골 1예, 장골 1예, 경골 1예, 요추 1예 그리고 수부의 근위지골1예에서 관찰되었다. 골전이의 형태는 골용해성이 3예, 골형성성이 6예 였다. MRI를 시행한 6예에서 T1 강조영상에서 등신호강도, T2 강조영상에서 비균일한 고신호강도를 보였으며 조영증강영상에서 중심부 괴사 없이 비교적 균일하고 강한 조영증강을 보였다.
결론: 햇살모양의 골막반응을 동반한 전이암의 경우 모두 환자의 나이가 많았다. 고령의 환자에서 햇살모양의 골막반응을 동반한 골 병변이 있을 때 원발성 악성 골종양뿐만 아니라 전이암의 가능성을 고려하여야 한다.
- 공개 및 라이선스
-
- 파일 목록
-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