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명대학교 의학도서관 Repository

소아의 진균성 근염: 순차적 초음파소견

Metadata Downloads
Author(s)
권정화이희정최진수
Keimyung Author(s)
Lee, Hee JungChoi, Jin Soo
Department
Dept. of Radiology (영상의학)
Journal Title
대한방사선의학회지
Issued Date
2003
Volume
49
Issue
2
Abstract
Purpose: To evaluate serial ultrasonographic findings of fungal myositis in children.
Materials and Methods: Eleven lesions caused by fungal myositis and occurring in six children were included in this study. Eight lesions in five children were histopathologically proven and the other three were clinically diagnosed. Serial ultrasonographic findings were retrospectively evaluated in terms of size, location, margin, internal echotexture and adjacent cortical change occurring during the follow-up period ranging from five days to two months.
Results: Three patients (50%) had multiple lesions. The sites of involvment were the thigh (n=4), calf (n=3), chest wall (n=2), abdominal wall (n=1) and forearm (n=1). Initially, diffuse muscular swelling was revealed, with ill-defined hypoechoic lesions confined to the muscle layer (n=8). Follow-up examination of eight lesions over a period of 5-10 days showed that round central echogenic lesions were surrounded by previous slightly echogenic lesions (n=6, 75%). Long-term follow-up of five lesions over a two-month period revealed periosteal thickening in one case (20%), and the peristence of echogenic solid nodules in four (80%). Pathologic examination showed that the central lesions correlated with a fungus ball and the peripheral slightly echogenic lesions corresponded to hematoma and necrosis.
Conclusion: Serial ultrasonographic findings of fungal myositis in children revealed relatively constant features in each case. In particular, the findings of muscular necrosis and a fungus ball over a period of 5-14 days were thought to be characteristic.
Index words : Children, infections Muscles, fungi Ultrasound (US)
목적: 소아에서 발생한 진균성 근염의 순차적 초음파 소견의 변화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6명의 백혈병 환아에서 발견된 11예의 진균성 근염병변의 초음파 소견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8예의 병변은 병리 조직학적으로 확진되었으며, 3예는 임상적으로 진단하였다. 초음파 소견은 5일에서 2개월간의 추적기간동안 병변의 크기, 위치, 경계, 내부 에코와 골피질의 변화여부를 중심으로 관찰하였고, 4명의 환아에서 병리조직학적 소견을 비교하였다.
결과: 다발성 병변을 보인 경우가 6명의 환자중 3명이었고 (50%), 크기는 2-7 cm이었다. 병변의 위치는 대퇴부가 4예(37%), 장단지 3예(28%), 흉벽 2예(18%) 였고, 복벽(9%)과 전완(9%)에 각각 한 예씩 이었다. 발병후 5일 이전에 초음파를 시행한 11예중 8예(73%)는 근육층에 국한된 미만성 근육의 종창과 경계가 불분명한 저에코의 병변을 보였다. 5-10일 사이에추적 검사를 시행한 8예중 6예(75%)에서 주위에 저에코를 동반한 원형의 중심성 고에코의 병변을 보였다(75%). 2개월후 추적한 5예중 한예(20%)는 수술로 제거한 병변부위의 근육내 석회화와 근접한 골막의 비후소견이 보였고, 4예(80%)의 병소에서는 고에코성 고형 종괴로 남아있었다. 병리조직학적소견에서 4예 모두 내부 중심성 병변은 진균종, 주위 저에코성 병변은
근육의 괴사와 혈종에 각각 해당되었다.
결론: 소아 환아의 진균성 근염의 초음파 소견은 시간에 따라 비교적 일정한 변화를 보였고 , 특히 5일-14일 사이에 근육층의 괴사와 함께 진균종에 해당하는 중심부의 원형의 고에코성 병변이 비교적 특징적으로 생각된다.
Alternative Title
Fungal Myositis in Children: Serial Ultrasonographic Findings
Keimyung Author(s)(Kor)
이희정
최진수
Publisher
School of Medicine
Citation
권정화 et al. (2003). 소아의 진균성 근염: 순차적 초음파소견. 대한방사선의학회지, 49(2), 131–135. doi: 10.3348/jkrs.2003.49.2.131
Type
Article
ISSN
0301-2867
DOI
10.3348/jkrs.2003.49.2.131
URI
https://kumel.medlib.dsmc.or.kr/handle/2015.oak/38542
Appears in Collections:
1. School of Medicine (의과대학) > Dept. of Radiology (영상의학)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