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자 고등학생의 흡연행위군별 성격특성
- Author(s)
- 류미경; 박경민; 김정남; 장은진; 이충원; 김대현; 정철호
- Keimyung Author(s)
- Park, Kyung Min; Kim, Chong Nam; Jung, Chul Ho; Lee, Choong Won; Kim, Dae Hyun
- Department
- Dept. of Nursing (간호학)
Dept. of Psychiatry (정신건강의학)
Dept. of Preventive Medicine (예방의학)
Dept. of Family Medicine (가정의학)
- Journal Title
- 대한보건연구
- Issued Date
- 2000
- Volume
- 26
- Issue
- 2
- Abstract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of personality characteristics using Minnesota Multiphasic Personality Inventory(MMPI) by current-smokers, ex-smokers and non-smokers among male high school students. The subjects for this study were 448 first and second year male students at general and vocational high school in Taegu and Kyung-Buk Province.
Data was collected from August 25 to September 15, 1999. The instrument used in this study was the Validity Scale and the Clinical Scale, the Ego Strength Scale and the Personality Disorder Scale of the MMPI. The data was analysed by using the SPSS Program which included frequency, percentage, x^2-test, ANOVA, scheffe test and stepwise discriminant analysis.
The results obtained from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y smoking behavior groups in parents who smoke and who did not smoke(p=.044), intimate-friends who smoke and not(p=.000), academic record(p=.000), satisfaction with school life(p=.020), effect of smoking on health(p=.000), drinking experience(p=.000), drug-use experience(p=.007) and experience into No minors district(p=.000). (2) T-scores of subjects in this study were in the range of 40-60. Psychopathic Deviate Scale(Pd), Paranoid Scale(Pa), Psychasthenia Scale(Pt), Schizophrenia Scale(Sc), Histrionic Personality Disorder Scale(HST) and Anti-social Personality Disorder Scale(ANT) showed higher T-scores than other Clinical and Personality Disorder Scale. (3) The results of post-hoc in Validity Scale and Clinical Scale are as follows: T-scores of current-smokers were higher than that of ex-smokers and non-smokers in Hysteria Scale(Hy), Psychopathic Deviate Scale(Pd), Paranoid Scale(Pa), Psychasthenia Scale(Pt), Schizophrenia Scale(Sc) and Hypomania Scale(Ma); T-scores of non-smokers were higher than that of ex-smokers in Depression Scale(D), and T-scores of non-smokers were higher than that of current-smokers and ex-smokers in Social Introversion Scale(Si). (4) In Ego Strength Scale and Personality Disorder Scale, T-scores of ex-smokers were higher than those of current-smokers. In Histrionic Personality Disorder Scale(HST) and Narcissistic Personality Disorder Scale(NAR), T-scores of current smokers and ex-smokers were higher than those of non-smokers. In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Scale(BDL), Anti-social Personality Disorder Scale(ANT) and Paranoid Personality Disorder Scale(PAR), T-scores of current-smokers were higher than those of ex-smokers and non-smokers. In Schizotypal Personality Disorder Scale(STY), T-scores of current smokers were higher than that of ex-smokers. In Avoidant Personality Disorder Scale(AVD), T-scores of non-smokers were higher than those of current-smokers and ex-smokers. (5) As a result of stepwise discriminant analysis of the MMPI Scale by smoking behavior, a discrimination rate of the F Scale, Hypomania Scale(Ma), Social Introversion Scale(Si) and Psychopathic Deviate Scale(Pd) out of the Validity Scale and Clinical Scale was 51.1%, and that of Anti-social Personality Disorder Scale(ANT) and Avoidant Personality Disorder Scale(AVD) out of the Personality Disorder Scale was 51.6%, both of the rate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Above results suggested that smoking by high school students is related with personality characteristics as well as external factors like family, school and their social environment. So school health professionals who are in charge of school health, should operate various smoking prevention or prohibition programs, taking into account personality characteristics. It might have an effect on smoking prevention and the reduction of the smoking rate.
본 연구는 MMPI 를 이용하여 남자 고둥학생의 흡연행위(현재 흡연군, 과거 흡연군, 비흡연군)에 따른 성격적 특성의 차이를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대상은 대구광역시와 경상북도에 소재하는 3개 인문계와 3개 실업계 남자 고등학교 1, 2학년 학생 448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자료수집기간은 1999년 8월 25일부터 9월 15일까지였으며, 연구도구는 한국형 MMPI의 타당도 척도, 임상 척도, 자아강도 척도 및 성격장애 척도를 이용하였다. 자료의 분석은 SPSS/pc+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였으며 연 구목적에 따라 빈도, 백분율, x^2 - test, ANOVA와 사후검증(Scheffe test), 단계적 판별분석(Stepwise Discriminant analysis)의 통계방법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흡연행위별 부모흡연유무(p=.044), 친한 친구흡연 유무 (p=.000), 학교성적 (p=.000), 학교생활만족도 (p=.020), 홉연이 건강에 미치는 영향(p=.000), 음주 경험(p=.000),약물사용 경험(p=.007), 유해업소 출입경험(p=.000)에서 세 군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2. 전체 대상자의 성격 특성의 T 점수는 40-60 사이였으며 반사회성 척도(Pd), 편집증 척도(Pa), 강박중 척도(Pt), 정신분열중 척도(Sc), 히스테리 성 성격장애 척도(HST) 및 반사회성 성격장애 척도(ANT)의 T 점수는 다른 임상 척도와 성격 장애 척도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3. 흡연행위별 타당도 척도와 임상 척도의 사후 검증 결과,히스테리성 척도(Hy), 반사회성 척도(Pd), 편집증 척도(Pa), 강박중 척도(Pt), 정신분열중 척도(Sc), 경조증 척도(Ma)에서는 현재 흡연군이 과거 흡연군과 비흡연군보다, 우울중 척도(D)에 서는 비흡연군이 과거 흡연군보다,내향성 척도(Si)에서는 현재 흡연군과 과거 흡연군보다 유의 하게 높은 T 점수를 나타냈다.
4. 흡연행위별 자아강도 척도와 성격장애 척도의 사후검증 결과, 자아강도 척도(Es)는 과거 흡연군이 현재 흡연군보다, 성격장애 척도 중 히스테리 성 성격장애 척도(HST)와 자기애성 성격장애 척도(NAR)는 현재 흡연군과 과거 흡연군이 비흡연 군보다, 경계성 성격장애 척도(BDL), 반사회성 성격장애 척도(ANT) 및 편집성 성격장애 척도 (PAR)는 현재 흡연군이 과거 흡연군과 비흡연군 보다, 분열형 성격장애 척도(STY)는 현재 흡연 군이 과거 흡연군보다, 회피성 성격장애 척도 (AVD)는 비흡연군이 현재 흡연군과 과거 흡연군보다 유의하게 높은 T 점수를 나타냈다.
5. MMPI 척도의 흡연행위 판별력올 분석하기 위한 단계적 판별분석 결과, 타당도 척도와 임상 척도 중 F 척도, 경조중 척도(Ma), 내향성 척도(Si) 및 반사회성 척도(Pd)의 판별력은 51.1%, 성격장애 척도 중 반사회성 성격장애 척도(ANT)와 회피 성 성격장애 척도(AVD)의 판별력은 51.6%로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이상의 결과에서 현재 흡연군은 자기중심적이고 내면의 불만이나 불안감, 심리적 갈등, 자아정체감 등의 혼란이 더 심하며, 다른 사람들에 대한 반옹이 거부적이고,예민한 경향이 높아서 감정이 불안정한 경우가 많음을 나타낸다. 자아강도 척도(Es)에서 과거 흡연군의 T 점수가 더 높음을 볼 때, 이전에 흡연을 한 경험이 있더라도 심리적이고 성격적 문제에 대해 대처하는 능력이 높으면 흡연을 지속하는 경향이 적다고 할 수 있다. F 척도,경조중 척도 (Ma), 내향성 척도(Si), 반사회성 척도(Pd)의 판별력은 51.1%였으며, 반사회성 성격장애 척도(ANT)와 회피성 성격장애 척도(AVD)의 판별력은 51.6% 였다. 이는 6개의 MMPI 척도로 흡연행위를 부분적 으로 예측할 수 있음을 나타낸다.
중심단어: 남자 고등학생, 흡연 행위군, 성격 특성
- 공개 및 라이선스
-
- 파일 목록
-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