혈중 Ghrelin 및 Leptin과 신체계측지수와의 관련성
- Author(s)
- 김은혁; 서영성; 김대현; Eun Hyuk Kim; Young-Sung Suh; Dae Hyun Kim
- Keimyung Author(s)
- Suh, Young Sung; Kim, Dae Hyun
- Department
- Dept. of Family Medicine (가정의학)
- Journal Title
- 대한비만학회지
- Issued Date
- 2002
- Volume
- 11
- Issue
- 4
- Abstract
- Ghrelin is a peptide secreted mainly by gastric parietal cells that may play a role in appetite regulation. It appears to block leptin action. In cross sectional studies, fasting serum ghrelin level was inversely correlated, although this was robust relationship between ghrelin and BMI, and leptin level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BMI. The aims of the this study was to determined relationship between serum ghrelin level and leptin levels, anthropometric data in Koreans. 135 subjects (42 male, 93 female, BMI; 18.5∼ 46.7 kg/m2) were selected from obesity clinic and Health Promotion Center, Keimyung University Dongsan Medical Center in Daegu, Korea. Waist and hip circumference, BMI, abdominal visceral fat amount and subcutaneoud fat amount by CT were measured. Serum ghrelin and leptin, respectively, were measured using a commercial RIA (Phoenix Pharmaceuticals, Belmont, CA, USA) (IRMA, DSL- 23100, Diagnostic Systems Lab. Inc., Webster, TX, USA). In female subjects, subjects with serum ghrelin level ≥ 600 ng/mL were significant different from subjects with serum ghrelin level < 600 ng/mL in BMI, waist and hip circumference, and abdominal fat amount by CT (P<0.05). Inverse correlations were observed between serum ghrelin and BMI, waist and hip circumference, WHR, visceral fat and subcutaneous fat in female subjects (P<0.01). In male subjects, serum ghrelin level did not correlated with anthropometric data. Serum ghrelin levels were negatively correlated with serum leptin levels in female subject (r=-0.234, P<0.05). Entering significant variables into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model reveals that subcutaneous fat amount was independent predictors of leptin in male and female subjects (R2 0.569, R2 0.438). These findings suggest that serum ghrelin levels were negatively correlated with serum leptin level and anthropometric data in Korean women.
연구배경: 일부 한국인을 대상으로 최근 발견된 그렐린과 음식조절과 에너지 소비를 조절하는 음성되먹이기로 지방조직의 양에 대한 정보를 뇌에 전달하여 체중을 조절하는 것으로 알려진 렙틴과의 상관성을 알아보고 이들 호르몬과 신체계측지수들간의 관련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연구대상은 동산의료원 비만클리닉 및 건강증진센터를 방문한 성인 중 (BMI 18.5∼46.7 kg/m2) 연구목적에 동의하고 제외기준에 들지 않은 성인 남녀 135명이었다. 이들은 키, 체중, 허리둘레, 둔부둘레, 복부피하지방량 및 복부내장지방량을 측정하였다. 혈중 그렐린과 렙틴은 공복후 채혈하여 RIA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결과: 혈중 렙틴은 여성군에서 유의하게 높았으며 (P<0.001), 혈중 그렐린은 남녀군에 따른 차이가 없었다. 혈중 그렐린을 500 pg/mL 미만인 군, 500 pg/mL부터 600 pg/mL 미만인 군, 600 pg/mL 이상인 군으로 나누어 신체계측지수 및 혈중 렙틴의 차이를 나이로 보정한 후 비교한 결과 여성군에서 BMI (P<0.05), 허리둘레 (P<0.05), 둔부둘레 (p<0.05), 복부피하지방과 내장지방량의 합 (P<0.05)은 혈중 그렐린 치가 높은 군일 수록 적었고, 남성군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신체계측지수는 없었다. 혈중 렙틴은 남녀 모두에서 BMI (P<0.01), 허리둘레 (P<0.01), 둔부둘레 (P<0.01), WHR (P<0.01), 복부내장지방량 (P<0.01), 복부피하지방량 (P<0.01), VS (P<0.01) 등과 유의한 관련성이 있었고, VSR (P<0.01)은 남성군에서 역상관성을 보였다. 혈중 그렐린과 신체계측 지수간의 관련성은 여성군에서는 VSR를 제외한 신체계측지수들과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나, 남성군에서는 유의한 변수가 없었다. 혈중 렙틴과 그렐린은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r=-0.235, P<0.05). 혈중 그렐린과 렙틴을 가장 잘 설명할 수 있는 신체계측지수를 찾기 위해 다중회귀분석한 결과 남녀 모두에서 혈중 그렐린을 가장 잘 설명할 수 있는 신체계측지수는 없었고, 렙틴을 가장 잘 설명할 수 있는 변수는 남녀 모두 복부피하지방량이었다 (R2=0.569, R2=0.438). 결론: 혈중 렙틴과 그렐린은 여성군에서 상호 관련성이 있었고 비만관련변수들과도 높은 관련성이 있었다. 향후 식욕관련 기전을 밝히기 위해선 포도당이나 각종 호르몬의 투여후 그렐린이나 렙틴의 변화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 공개 및 라이선스
-
- 파일 목록
-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