흰쥐의 가역성과 비가역성 허혈성 뇌경색모형에서 중대뇌동맥 폐쇄후 시간경과에 따른 뇌경색 크기
- Author(s)
- 송동식; 임만빈; 이장철; 손은익; 김동원; 김인홍; Dong Sik Song; Man Bin Yim; Chang Chull Lee; Eun Ik Son; Dong Won Kim; In Hong Kim
- Keimyung Author(s)
- Yim, Man Bin; Lee, Jang Chull; Son, Eun Ik; Kim, Dong Won; Kim, In Hong
- Department
- Dept. of Neurosurgery (신경외과학)
- Journal Title
- 대한신경외과학회지
- Issued Date
- 1995
- Volume
- 24
- Issue
- 9
- Abstract
- To establish a simple recirculation model in rats without craniectomy and to determine the recirculation time necessary to benefits the infarction area with restoration of the blood flow in a series of 30 adult rats, the authors induced irreversible ischemia(group Ⅰ) in 15 rats through unilateral occlusion of middle celebral artery(MCA) by inserting a 16mm length of 4-0 nylon surgical thread through the internal carotid artery(ICA). Reversible ischemia(group Ⅱ) was induced by pulling the thread that occluded the MCA with 3 hours recirculation in 15 rats.
The author again divided the rats into 4 hours(Ⅰa and Ⅱa), 6 hours(Ⅰb and Ⅱb) and 12 hours(Ⅰc and Ⅱc) groups designated as according to the sacrifice time of rats in group Ⅰ and the starting time of recirculation in group Ⅱ following the MCA oc치usion. The percentage of the iufarction area to the total brian was calculated by a computer image analysis system, and the infarction size between reversible and irreversible groups were compared.
The results showed that although the total average infarction sizes of irreversible ischemic
groups were larger than those of reversible ischemic groups, the difference of the infarction sizebetween each group of irreversible and reversible ischemia was not significant(group Ⅰa Vs. Ⅱa : 7.78±8.37% Vs. 3.28±1.98 ; group Ⅰb Vs. Ⅱb : 9.07±4.72% Vs. 6.61±3.19 ; group Ⅰc Vs. Ⅱc : 8.35±4.47% Vs. 6.90±6.07%. p > 0.05, one-way ANOVA test). However, the degree of difference of the infarction size between irreversible and reversible ischemia decrease along with the prolongation of ischemic duration(difference between group Ⅰa and Ⅱa : 4.5% ; group Ⅰb and Ⅱb : 2.46% ; group Ⅰc and Ⅱc : 1.45%).
The author concluds that ischemic brain injury may be decreased by making a restoration of the blood flow within 4 hour after oc치usion of a blood vessel in rats, and this kind of reversible ischemic model may be useful in various studies on the focal cerebral ischcmia without manipulation of the brain tissue and blood vessel.
저자들은 30마리의 흰쥐를 실험동물로 사용하여 개두술없이 두개외접근으로 비가역성 및 가역성 뇌경색 모형을 만들고 중대뇌동맥 폐쇄 후 몇 시간내에 재관류를 시킬때 뇌경색의 크기를 감소시킬 수 있는지를 알아보고저 하였다. 비가역성 뇌경색은 내경동맥을 통해 18㎜길이의 4번 나이론사를 전대뇌쪽으로 16㎜정도 진전시켜 중대뇌동맥을 폐쇄하여 만들었고, 가역성 뇌경색은 삽입된 나일론사를 빼내어 전교통동맥 및 후교통동맥을 통해 재관류를 시켜 만들었다. 뇌경색 크기를 측정하기 위하여 대뇌 적출시 확인한 바, 비가역성 뇌경색 모형에서는 전예에서 나이론사가 중대뇌동맥 분지부를 지나 전대뇌동맥의 근위부에 위치하고 있었고, 가역성 뇌경색 모형에서는 나일론사가 후교통동맥 분지부 전의 내경동맥에 위치하고 뇌혈관내 혈전형성은 없어, 전교통동맥 및 후교통동맥을 통한 재관류가 이루워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가역성 뇌경색군과 비가역성 뇌경생군에서의 뇌경색 크기를 비교한 바 중대동맥 폐쇄 후 4시간 및 6시간후에 재관류를 시킨 가역성 뇌경색군에서 비가역서 뇌경색군에 비해 뇌경색 크기가 감소하였고, 4시간군에서 현저하였으며 특히 기저핵부위 이외의 측부혈행이 가능한 부위의 뇌경색이 감소하였다. 그러나 12시간 후에 재관류 시킨 군에서는 그 차이가 거의 없었다.
결론적으로 저자가 이용한 가역성 및 비가역성 뇌경색 모형은 개두술없이 간편하게 만들 수 있는 방법이므로 향후 뇌경색의 연구에 많이 이용할 수 있을 모형으로 생각된다. 또한 재순환은 뇌혈관 폐쇄 후 적어도 4시간내에 이루어져야 기질적 뇌경색을 감소시킬 것으로 생각되고 이러한 재순환후 뇌경색의 감소는 뇌경색 중심부보다 측부혈행이 가능한 주변부의 뇌경색이 호전되므로 그러한 것으로 추정된다.
- 공개 및 라이선스
-
- 파일 목록
-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