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숙아 유증상 동맥관 개존의 폐쇄에 있어서 Mefenamic acid(Pontal)의 효과
- Author(s)
- 곽은수; 이상락; 박근수; 김명성; 김준식; 권태찬; Eun Soo Kwak; Sang Lak Lee; Geun Soo Park; Myung Sung Kim; Joon Sik Kim; Tae Chan Kwon
- Keimyung Author(s)
- Lee, Sang Lak; Park, Geun Soo; Kim, Myung Sung; Kim, Joon Sik; Kwon, Tae Chan
- Department
- Dept. of Pediatrics (소아청소년학)
Institute for Medical Science (의과학연구소)
- Journal Title
- 대한신생아학회지
- Issued Date
- 1995
- Volume
- 2
- Issue
- 1
- Abstract
- Purpose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valuate the effect of mefenamic acid for the closure of symptomatic patent ductus arteriosus(PDA) in premature infants.
Methods : Twenty-two premature infants of symptomatic PDA who were admitted to NICU of Pediaric department , Dong San Medical Center during the period from January 1992 to June 1994 wee involved in this study. The diagnosis of symptomatic PDA was made by clinical(Yeh's criteria) and echocardiographic findings. Among 22 cases, 11 cases were treated with mefenamic acid(Pontal group) and 11 cases with conservative medical therapy(control group). the rate and time of PDA closure, reopen rate, and the follow-up findings of both groups were compared.
Results :
1) Age of diagnosis and therapy, gestational weeks, birth weight, Apgar score and clinical findings have similar distribution in both groups.
2) The closure rate was significantly higher(90.9% vs 36.4%, p<0.05) and the average response(closure) time was significantly faster(2.4 days vs 15.3 days, p<0.05) in the Pontal therapy group than that of the control therapy group.
3) One(10%) of the 10 cases responsive to Pontal therapy was reopened and the case was closed after further Pontal therapy.
4) Pre-existed diseases were hyaline membrane disease(45.5%), congenital pneumonia(18.2%) and perinatal asphyxia(18.2%) in Pontal group, and hyaline membrane disease(45.5%), congenital pneumonia(27.3%), perinatal asphyxia(9.1%) and transient tachypnea of newborn(9.1%) in control group.
5) In Pontal group, transient oliguria was occurred in 2 cases(18.2%). But other ocmplications were similar distribution in both groups.
Conclusion : Mefenamic acid is an effective drug on the closure of symptomatic PDA in permature infants without any significant side effects.
목 적 : 동맥관 개존(Patent ductus arteriosus, PDA)은 유리질막증(HMD), 주산기 가사, 산혈증이 동반되는 경우 빈도가 증가되고 미숙아에서는 근래 신생아 집중치료의 발달로 생존율이 증가하면서 발생빈도가 증가되고 있으며 특히 유증상 동맥과 개존증(Symptomatic PDA, s-PDA)은 미숙아에서 높은 이환율 및 사망률의 요인이 된다. 저자들은 s-PDA가 동반된 미숙아에서 mefenamic acid(Pontal)의 폐쇄효과를 알아보고자 이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 법 : 1992년 1월부터 1994년 6월까지 계명대학교 동산병원 소아과 신생아 집중치료실에 입원하였던 미숙아중 심잡음이 청진되며 빈맥과 흉부사진상 심비대가 있는 경우 Color Doppler를 시행하여 PDA를 확진 하였다. 이중 Yeh등의 cardiovascular distress score가 3점 이상일 때 s-PDA로 진단된 22명을 대상으로 하여 PDA 폐쇄를 위해 prostaglandin 합성억제제인 Pontal 투여군(Pontal 군) 11례와 보존적 내과치료군(대조군) 11례 사이에 PDA 폐쇄율 및 식, 임상경과 등을 조사하여 그 결과를 비교 분석하였다. 동맥관 폐쇄는 심잡음이 소실될 때 Color doppler 검사로 확인하였다.
결 과 : 재태기간, 출생체중, 기타 임상적 소견이 양군간에 유사하였고, 동반 질환은 양군 모두 유리질막증이 45.5%로 가장 많았다. 치료 후 동맥관은 Pontal 군은 90.9%에서 2-4일(평균 2.4일) 투여 후 폐쇄되었으나, 대조군은 36.4%에서 7-30일(평균 15.3일) 투여 후 폐쇄되어 폐쇄율과 폐쇄시간 모두 Pontal 군에서 대조군보다 높고 빨랐다(p<0.05). 동맥관이 폐쇄되었다가 재발된 경우는 Pontal 군에서 1례(10%) 있었으나 1 cycle 더 투여 후 폐쇄되었다. 추적 관찰에서 Pontal 투여 후 핍뇨는 18.2%에서 일시적으로 있었으며 그 외 합병증은 양군간에 유사하였다.
결 론 : 미숙아 s-PDA 환아의 치료에 mefenamic acid 투여가 별다른 중증 합병증 없이 많은 폐쇄를 유도함으로 위험부담이 되는 수술의 필요성을 감소시킬 것으로 여겨진다.
- 공개 및 라이선스
-
- 파일 목록
-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