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terior Temporal Lobectomy with Tailored Hippocampectomy -Review of 100 Cases with Intractable Temporal Lobe Epilepsy-
- Author(s)
- Young Sang Yoo; Eun Ik Son; 유영상; 손은익
- Keimyung Author(s)
- Son, Eun Ik
- Department
- Dept. of Neurosurgery (신경외과학)
- Journal Title
- 대한신경외과학회지
- Issued Date
- 1997
- Volume
- 26
- Issue
- 5
- Abstract
- In terms of seizure control for the patients with medically intractable temporal lobe epilepsy(TLE), extensive medial resection, especially of the hippocampus, has been advocated in anterior temporal lobectom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outcome of anterior temporal lobectomy for epilepsy and the size of the hippocampectomy tailored to intraoperative electrocorticographic findings was evaluated in 100 patients, with at least 12 months of follow-up. In 28 patients with small hippocampal resection(≤2.0cm), 21(72.7%) were class I(seizure-free), 2(7.1%) were class II(rare seizure), 4(14.3%) were class III(worthwhile improvement) and 1(3.6%) was class IV(no worthwhile improvement) according to Engel’s outcome classification. In 71 patients with large hippocampal resection(over 2.2cm), the results were as follows; 50(69.4%) were class I, 12(16.7%) were class II, 7(9.7%) were class III and 3(4.2%) were class IV.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not present between these two groups. Overall, 85(85%) patients have had successful results. Patients with dominant temporal lobe surgery underwent less resection of lateral temporal and hippocampus(p<0.001) compared to the patients with non-dominant temporal lobectomy.
Intraoperative acute recording over the hippocampus and surrounding area can be useful in tailoring the extent of hippocampal resection to the individual pathophysiology.
난치성 측두엽 간질 환자의 수술에 있어서 측두엽 내측의 광범위 절제가 측두엽 절제술에서 관건이 되고 있다. 그러나 측두엽 간질에서 정확한 간질 유발 부위에 대한 지식의 향상으로, 일반적 해마-편도체 부위나 측두엽 피질 부위 등의 구별은 어느정도 가능하나, 측두엽 절제, 특히 해마절제에 있어서 그 범위와 기준이 일정치 않아 논란이 많은 실정이다.
이에 본 교실에서는 지난 1992년부터 난치성 측두엽 간질로 수술한 환자중에서 1년이상 추적 기간이 지난 연속적인 100명을 대상으로 수술중에 해마부위의 뇌피질파(ECoG)소견에 근거하여 재단절제한 해마의 크기와 수술결과와의 관계를 비교하였다. 절제된 해마의 크기에 따라서 2cm 이하의 소절제군(28명)과 2cm이상의 대절제군(72명)으로 각각 나누어 수술결과를 분석한 결과, 양군간에 통계학적인 차이가 없이 85%의 높은 성공률을 보였다. 한편, 전측두엽 피질과 해마의 절제 정도를 좌(59명), 우(41명)측 측두엽간질 환자군과 비교하면 우위대뇌반구(dominant hemisphere)인 좌측 측두엽 수술에서 절제범위가 작았다(p<0.001).
따라서 술전 평가에서 간질유발부위가 확인된 측두엽 간질 환자에서 수술중 해마에 대한 뇌피질파 검사소견이 간질유발 부위의 최대 절제와 후유증의 최소화를 위한 해마의 절제범위 결정에 유용한 지표가 될 것으로 사료되어 보고하는 바이다.
- 공개 및 라이선스
-
- 파일 목록
-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