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명대학교 의학도서관 Repository

운동장애성 소화불량 환자에서 쌀죽 투여 전후 위전도와 포만감의 변화

Metadata Downloads
Author(s)
박용일강영우Yong Il ParkYoung Woo Kang
Keimyung Author(s)
Kang, Young Woo
Department
Dept. of Internal Medicine (내과학)
Journal Title
Korean Journal of Gastroenterology
Issued Date
1998
Volume
32
Issue
6
Abstract
Background/Aim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changes of electrogastrographic findings and gastric fullness before and after feeding rice soup in patients with dysmotility-like functional dyspepsia (DLFD). Methods: The study was performed on 87 patients with DLFD and 50 normal controls. Abdominal surface electrogastrography was applied for 30 min in the fasting state and for 30 min after feeding rice soup. Results: Patients with DLFD showed higher scale of gastric fullness in fasting baseline and postprandial 30 min, comparing to normal controls. Significan differences were found between the patients with DLFD and normal controls in the percentage of fed 3 cpm slow waves, in the power ratio, and in the percentage of fed bradygastria and fed tachygastria In the percentage of fasting 3 cpm waves, the percentage of fasting bradygastria and fasting tachygastria, and the dominant frequency of either fasting or fed electrogastrography, the patients and the normal controls did not show difference. No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the percentage of 3 cpm slow waves and the scale of gastric fullness. Conclusions: Patients with DLFD have a lowe percentage of normal gastric slow waves in the fed electrogastrography and have a lower power ratio.
목적: 운동장애성 소화불량 환자에서 우리 나라 사람의 입맛에 맞는 쌀죽을 이용하여 위전도와 포만감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하여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대상 및 방법: 운동장애성 소화불량 환자 87명(남:여 1:3.1, 평균연령 43.9±12.6세)과 정상 대조군 50명(남:여 1:2.3, 평균연령 41.1±10.0세)을 대상으로 검사전 10시간 동안 금식을 시행하였다. 쌀죽 42.5 g(단백질 2.1 g, 지방 1.3 g, 탄수화물 29.8 g, 총 열량 140 Kcal)을 시험식으로 하여 식전 및 식후 30분에 visual analog scale (300 mm)에 포만감 점수를 기록하고, 복부 표면 위전도(Synetics사, Digitrapper EGG, version 6.30)를 이용하여 식전, 식후 각각 30분간 위전도를 측정하여 정상 대조군과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정상 대조군에 비해 운동장애성 소화불량 환자에서 식전 포만감이 유의하게 높았고(97.5±69.7 vs 43.1±35.8, p<0.001), 식후 30분에서도 유의하게 높았다(142.0±58.8 vs 101.9±37.8, p<0.001). 운동장애성 소화불량 환자에서 정상 대조군에 비해 식후 3 cpm파(62.8±25.2 vs 81.8±20.0, p<0.001)와 power ratio (1.3±1.3 vs 2.9±3.5, p<0.01)는 유의하게 감소하였고, 식후 위서맥(12.7±11.3 vs 7.7±8.9, p<0.01)과 위빈맥(23.8±20.0 vs 10.6±14.7, p<0.001)이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식전 위서맥, 위빈맥과 식전 3 cpm파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PDF는 식전과 식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두 군에서 식전과 식후 3 cpm파와 포만감 사이에는 상관관계가 없었다. 결론: 한국인에서 쌀죽을 이용한 복부 체표면 위전도는 운동장애성 소화불량 환자에서 유의한 이상 소견을 나타내었으며, 특히 식후 3 cpm파와 power ratio의 감소가 유의하였다. 이는 식후 3 cpm파의 정상적인 증가가 나타나지 않고, 식후 위수축력의 감소를 시사한다고 하겠다.
Alternative Title
The Changes of Electrogastrographic Findings and Gastric Fullness before and after Rice Soup in Patients with Dysmotility -like Functional Dyspepsia
Keimyung Author(s)(Kor)
강영우
Publisher
School of Medicine
Citation
박용일 et al. (1998). 운동장애성 소화불량 환자에서 쌀죽 투여 전후 위전도와 포만감의 변화. Korean Journal of Gastroenterology, 32(6), 709–716.
Type
Article
ISSN
1598-9992
URI
https://kumel.medlib.dsmc.or.kr/handle/2015.oak/39078
Appears in Collections:
1. School of Medicine (의과대학) > Dept. of Internal Medicine (내과학)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