급성 비특이성 장간막 림프절염의 임상 소견과 급성 충수돌기염과의 감별 인자
- Author(s)
- 신경화; 김갑철; 이정권; 이영환; 감신; 황진복; Kyung Hwa Shin; Gab Cheol Kim; Jung Kwon Lee; Young Hwan Lee; Sin Kam; Jin Bok Hwang
- Keimyung Author(s)
- Hwang, Jin Bok; Kim, Gab Chul
- Department
- Dept. of Pediatrics (소아청소년학)
Dept. of Radiology (영상의학)
- Journal Title
- 대한소아소화기영양학회지
- Issued Date
- 2004
- Volume
- 7
- Issue
- 1
- Abstract
- Purpose: Although acute nonspecific mesenteric lymphadenitis (ANML) is probably common cause of abdominal pain in children, which can be severe enough to be an abdominal emergency, the clinical features of mesenteric lymphadenitis are not clear. Also, a differential diagnosis with acute appendicitis (APPE) is indispensable to avoid serious complications. The clinical features of ANML were determined, and the risk factors for differential diagnosis with APPE were analyzed.
Methods: Between November 2000 and May 2001, data from 26 patients (aged 1 to 11 years) with ANML and 21 patients (aged 2 to 13 years) with APPE were reviewed. ANML was defined as a cluster of five or more lymph nodes measuring 10 mm or greater in their longitudinal diameter in the right lower quadrant (RLQ) without an identifiable specific inflanimatory process on the ultrasonographic examination. There were risk factors on patient ’s history, physical examination, and laboratory examination; the location of abdominal pain, abdominal rigidity, rebound tenderness, fever, nocturnal pain, the vomiting intensity, the diarrhea intensity, the symptom duration, and the peripheral blood leukocytes count.
Results: Of the 26 ANML patients and 21 APPE patients, abdominal pain was noted on periumbilical (76.9% vs 14.2%), on RLQ (11.5% vs 71.4%), with abdomen rigidity (7.6% vs 80.9%), with rebound tenderness (0.0% vs 76.1%)(p<0.05), in the lower abdomen (11.5% vs 14.2%), and at night (80.8% vs 100.0%) (p>0.05). The clinical symptoms were vomiting (38.4% vs 90.4%), the vomiting intensity (1.5±0.7 [1∼3] /day vs 4.5±2.9 [l∼10] /day), diarrhea (65.3% vs 28.5%) (p<0.05), and fever (61.5% vs 76.2%)(p>0.05). The period to the subsidence of abdominal pain in the ANMA patients was 2.5±0.5 (2∼3) days. The laboratory data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peripheral blood leukocytes count (8,403±1,737 [5,900∼12,300] / mm3 vs 15,47土3,749 [5,400∼20,800] /mm3)(p<0.05). Discriminant analysis between ANML and APPE showed that the independent discriminant factors were a vomiting intensity and the peripheral blood leukocytes count and the discriminant power was 95.7%.
Conclusion: The clinical characteristics of ANML were abrupt onset of periumbilical pain without rigidity or rebound tenderness, a mild vomiting intensity, normal peripheral leukocytes count, and relatively short clinical course. If the abdominal pain persist for more than 3 days, and/or the vomiting intensity is more than 3 times/day, and/or the peripheral leukocytes count is over 13,500/mm3, abdominal ultrasonography is recommended to rule out APPE.
목적: 급성 비특이성 장간막 림프절염(acute nonspecific mesenteric lymphadenitis, ANML)은 타 질환이 적절히 배제되었을 때 임상적 추정으로 진단하는 경우가 많아 그 실체에 대하여는 잘 알려져 있지 않다. 특히 급성 충수 돌기염(acute appendicitis, APPE)과의 감별에 혼란을 주어 복막염 등으로 이행되는 경우가 드물지 않다. ANML의 임상 소견을 보고하고, 특히 APPE와의 감별시 도움을 줄 수 있는 접근 방식을 연구하고자 한다.
방법: 2000년 11월부터 2001년 5월까지 대구시 한영한마음연합소아과의원으로 급성 복통을 주소로 내원하여 ANML로 진단된 26명(남녀비 13:13)을, APPE 환자는 같은 기간 대구가톨릭대학병원을 방문하여 수술받은 21명(남녀비 12:9)을 대상으로 하였다. ANML 환자들은 복부 초음파 검사상 10mm 이상, 5개 이상의 장간막 림프절이 관찰되면서 회장, 대장의 장벽 비후 소견이 5mm를 넘지 않고 염증성 충수돌기가 관찰되지 않으며, 말초 혈액 검사, 소변 검사, 대변 검사상 타 질환을 의심할 소견이 없는 등을 진단기준으로 설정하였다.
결과 :
1) ANML군의 진단 당시 연령은 1~11세, 5.2±2.3세였다.
2) ANML군의 복통 양상은 21례(80%)에서 야간 복통이 있었고, 위치는 배꼽 주위부 20례(76%), 우하복부 3례(11%), 하복부 3례(11%)였다. 2례(7%)에서 복부 강직이 있었고, 반발 압통은 전례에서 없었다. APPE군에서는 전례에서 야간 복통이 있었고, 17례(80%)에서 복부 강직이, 16례(76%)에서 반발 압통이 관찰되어 ANML군과 각각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5).
3) ANML군에서 복통의 회복까지 걸린 시간은 2~4일, 2.5±0.5일이었다.
4) ANML군 10례(38%)에서 구토를 보였고 1~3회/일, 1.5±0.7회/일이었다. 설사는 17례(65%)에서 있었고 1~4회/일, 4.5±2.9회로 ANML군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5). APPE군의 설사는 6례(28%)에서 있었으며 1~5회/일, 2.5±1.6회이었다.
5) ANML군에서 열은 19례(73%)에서 있었고, 말초혈액 백혈구 수는 5,400~20,800mm3으로 평균 15,471±3,749/mm3이었으며 ANML군과는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5).
6) 판별분석을 이용하여 하루 구토의 강도와 백혈구 수를 독립변수로 하였을 때 ANML과 APPE는 95.7% 수준으로 분류되었다.
결론: ANML과 APPE의 감별 시 복부강직, 반동압통 등 급성복증의 소견이 의심될 때 뿐만 아니라, 복통이 3일을 초과하여 지속되거나, 하루 구토가 3회를 초과하는 경우, 말초혈액검사상 백혈구 수가 13,500/mm3 이상을 보일 때에도 반드시 복부초음파 검사를 이용하여 APPE를 확인하여야 한다.
- 공개 및 라이선스
-
- 파일 목록
-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