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차성 신증후군 환아의 첫 관해를 위한 4주와 6주 스테로이드 치료 비교
- Author(s)
- 최정연; 박미영; 김혜숙; 이경훈; 김준식; 박용훈; Jung Youn Choi; Mi Young Park; Hye Suk Kim; Kyung Hoon Lee; Jun Sik Kim; Yong Hoon Park
- Keimyung Author(s)
- Kim, Joon Sik
- Department
- Dept. of Pediatrics (소아청소년학)
- Journal Title
- 대한소아신장학회지
- Issued Date
- 2005
- Volume
- 9
- Issue
- 2
- Abstract
- Purpose : Recently the merits of 6 weeks of initial prednisolone treatment for pediatric primary nephrotic syndrome have been reported, and the use of the 6 week regimen is increasing. We compared our experiences with the 6 week treatment versus the 4 week treatment for Korean patients. Methods : We conducted a retrospective analysis of 69 children who had primary nephrotic syndrome and who were followed up for at least 12 months in the 4 major medical centers in Daegu. The remission rate, the relapse rate, the frequency of relapse and complication of steroid treatment were compared between the 4 weeks and 6 weeks treatment group. Results : Of the 69 children, 42 were in the 4 week treatment group and 27 were in the 6 week group. The median age, blood pressure, serum total protein, serum albumin, cholesterol, creatinine, estimated creatinine clearance, 24 hour urine protein and 12 month cumulative dose did not differ between the two groups. Among the children who relapsed after steroid treatment, the relapse time was significantly later for the 6 week treatment group. The relapse rate after 1 year of treatment was 62% in the 4 week treatment group and 52% in the 6 week treatment group; however,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The frequency of relapse at 12 months was 1.5±12 times in the 4 week treatment group and 1.1±1.2 times in the 6 week treatment group, and there was not different between the two groups. The most common side effects of steroid treatment were an increase of appetite and a cushingoid appearance, and there was no statistical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Among the 27 children who had kidney biopsies performed, 21 suffered from minimal change nephrotic syndrome. Conclusion : The first relapse time after steroid treatment was significantly later in the 6 week steroid treatment group. The frequency of relapse and the 12 month cumulative dose of steroid were lower in the 6 week treatment group, but there was no statistical significance between the two groups. The side effects of steroid treatment did not differ between the two groups. We need to study the long term side effects and the advanced regimens of steroid treatment in the future.
목적: 일차성 신증후군 환아의 첫 관해를 위한 스테로이드 치료법에서 그 투여기간은 지금까지 ISKDC의 4주 투여를 주로 이용하여 왔으나, 근래에는 6주 투여의 장점이 소개되면서 사용하는 경우가 증가하고 있다. 이에 우리나라에서 아직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지 않는 6주 스테로이드 완해 치료의 효과와 부작용 등을 알아보고자 본 연구를 하였다.
방법: 대구시 지역의 4개 종합병원에서 최근 10년간 일차성 신증후군으로 진단받고 12개월 이상 경과 관찰이 가능하였던 69명의 환아를 대상으로 관해율, 재발 유무, 재발 빈도와 약물에 의한 부작용 등에 대하여 후향적인 방법으로 임상적인 소견들을 비교 조사하였다.
결과: 환아는 4주군이 42명, 6주군이 27명이었다. 남아는 각각 33명, 22명이었으며, 여아는 각각 9명, 5명이었다. 평균 나이, 혈압, 혈청 총단백, 알부민, 콜레스테롤, 크레아티닌, 크레아티닌 청소율 및 평균 24시간 요단백은 두 치료군간에 차이가 없었다. 두 치료군 사이에 스테로이드의 12개월간의 누적량(mg/m2)은 차이가 없었다. 치료 후 재발 환아에서의 첫 재발 시기는 5.8±5.6개월, 12.0±8.6개월로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6주 스테로이드 치료법에서 길었다(P<0.05). 치료 1년 후 재발은 62%, 52%로 차이가 없었으며 12개월간의 재발 횟수는 각각 1.5±1.2회, 1.1±1.2회로 역시 차이가 없었다. 환아들에게 나타나는 스테로이드에 의한 것으로 생각되는 부작용은 식욕증가와 쿠싱 양 얼굴이 가장 많았다. 조직검사를 시행한 환아 27명 중에서 미세 변화가 21명으로 4주와 6주 모두 가장 많았다.
결론: 일차성 신증후군의 첫 관해를 위한 스테로이드 투여기간(4주와 6주)에 따른 비교를 한 결과 스테로이드 투여 종료 후 재발 환자에서의 첫 재발 시기는 6주 스테로이드 치료군에서 의미있게 늦게 발생하였으나, 재바 횟수나 스테로이드의 누적량은 6주 스테로이드 치료군에서 적었으나 통계학적 의미는 없었다. 스테로이드 사용에 따른 부작용은 두 군에서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본 연구의 경과 기간이 길지 않아 향후 성장 부전 등과 같은 만성 부작용 및 치료 방법 등에 대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 공개 및 라이선스
-
- 파일 목록
-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