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명대학교 의학도서관 Repository

대구·경북 지역 성인의 담낭용종 유병률과 위험인자: 20세 이상 건강 검진 수진자들을 대상으로 한 단일기관 연구

Metadata Downloads
Author(s)
김성열이홍석이영석정강욱장병국정우진박경식조광범황재석Seong Yeol KimHong Sug LeeYeong Seok LeeKang Wook ChungByoung Kuk JangWoo Jin ChungKyung Sik ParkKwang Bum ChoJae Seok Hwang
Keimyung Author(s)
Jang, Byoung KukChung, Woo JinPark, Kyung SikCho, Kwang BumHwang, Jae Seok
Department
Dept. of Internal Medicine (내과학)
Journal Title
Korean Journal of Gastroenterology
Issued Date
2006
Volume
48
Issue
5
Abstract
Background/Aims: Although there are various reports on the prevalence of gallbladder (GB) polyp according to the race or area, there is no report on Daegu and Gyeongbuk provinces. Therefore, we investigated the prevalence and related risk factors of GB polyp in health screening population of Daegu and Gyeongbuk provinces. Methods: Of 28,911 adult health screening examinees from January 1997 to May 2003, age and gender-matched 8,008 (3,896 men, 4,112 women) were randomly selected to evaluate the prevalence. Independent risk factors were analyzed by comparing various variables between the GB polyp positive and negative groups. Results: The prevalence of GB polyp was 2.2% (175/8,008). Those were 2.7% (104/3,896) among men and 1.7% (71/4,112) among women. Independent risk factors related with GB polyp were male gender (OR 1.434, p<0.001), obesity(OR 1.237, p=0.024), and hepatitis B carrier (OR 1.888, p<0.001) Conclusions: Prevalence of GB polyp in Daegu and Gyeongbuk provinces is 2.2%. Male, obesity, and hepatitis B carrier may be the risk factors related with GB polyp in this region.
목적: 지역, 인종, 생활양식 등에 따라 담낭용종 유병률은 차이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국내에는 이에 관한 보고가 많지 않으며 대구․경북 주민을 대상으로 한 보고는 아직 없다. 저자들은 대구․경북 지역에서의 담낭용종 유병률과 위험인자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7년 1월부터 2003년 5월까지 계명대학교 동산의료원 건강증진센터에서 건강검진 결과 담낭 관찰이 가능하였던 성인 28,911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통계청에서 발표한 대구․경북 지역 인구 분포를 고려하여 연령과 성별을 보정한 8,008명을 대상으로 유병률을 구하였으며, 위험인자 분석을 위해 전체를 대상으로 용종군과 대조군 간에 성별, 연령, BMI, 혈압, 공복 혈당, 간기능 검사 수치, 여러 지질 지수, HBsAg, anti-HCV 양성 빈도 등을 비교하였다. 결과: 보정 인구8,008명(남 3,896명, 여 4,112명) 중 담낭용종은 175명에서 관찰되어 유병률은 2.2%였다. 남자가 2.7% , 여자가 1.7%로 남자에서 유병률이 높았다(p<0.001). 단변량 분석에서 TG(p=0.042) 값이 용종군에서 높았으며, 남성(p<0.001), 과체중 및 비만(p=0.034), HBsAg 양성(p<0.001) 등이 용종군에서 흔하게 나타났다. 다변량 분석에서 남성(OR 1.434, p<0.001), 비만(OR 1.237, p=0.024), HBsAg 양성(OR 1.888, p<0.001)등이 담낭용종 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독립인자들이었다. 결론: 대구․경북 지역의 담낭용종 유병률은 2.2%로 드물지 않으며 남성, 비만, HBsAg 양성 등이 담낭용종의 독립위험인자이다.
Alternative Title
Prevalence and Risk Factors of Gallbladder Polyp in Adults Living in Daegu and Gyeongbuk Provinces
Keimyung Author(s)(Kor)
장병국
정우진
박경식
조광범
황재석
Publisher
School of Medicine
Citation
김성열 et al. (2006). 대구·경북 지역 성인의 담낭용종 유병률과 위험인자: 20세 이상 건강 검진 수진자들을 대상으로 한 단일기관 연구. Korean Journal of Gastroenterology, 48(5), 344–350.
Type
Article
ISSN
1598-9992
URI
https://kumel.medlib.dsmc.or.kr/handle/2015.oak/39279
Appears in Collections:
1. School of Medicine (의과대학) > Dept. of Internal Medicine (내과학)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