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명대학교 의학도서관 Repository

정신분열병에 대한 리스페리돈의 치료 예측인자

Metadata Downloads
Author(s)
박철진김희철
Keimyung Author(s)
Kim, Hee Cheol
Department
Dept. of Psychiatry (정신건강의학)
Journal Title
대한정신약물학회지
Issued Date
2000
Volume
11
Issue
1
Keyword
SchizophreniaRisperidonePharmacotherapyPredictor
Abstract
Objective:In double-blind controlled studies with schizophrenic patients, risperidone was demonstrated to have
an efficacy comparable to haloperidol and to have a lower incidence of extrapyramidal side effect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ssess the effect of risperidone in the treatment of schizophrenia and to identify clinical
factors associated with risperidone response under naturalistic clinical setting. Method:By retrospective chart
review, we assessed response to risperidone and factors associated with response to resperidone in 62 consecutive
DSM-IV schizophrenic patients treated with the drug at the Department of Psychiatry, Keimyung University
Dongsan Medical Center. We divided the 62 patients into two groups, responders and non-responders, by responsiveness
to resperidone according to a four-point scale used in previous studies;responders included moderate to
marked responded patients and non-responders included none to minimal responded patients. Results:Among
the total patients of 62, 31 (50%) were categorized as responders. In comparing responders (N=31) with nonresponders,
there were no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in sex, age, education, age at first onset, duration of
illness, number of admissions, and family history, but the patients who were married and had the paranoid-typed
symptoms were significantly more frequent in responder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dose of
risperidone and frequency of extrapyramidal side effects between the two groups. Antipsychotic-naive patients
were significantly more frequent in responders (p=0.009). Conclusions:These results suggest that marital
status and paranoid type of schizophrenic symptoms may be useful as the clinical predictors associated with
risperidone response in schizophrenic patients, and that risperidone is an appropriate first-line antipsychotic agent
in antipsychotic-naive schizophrenic patients.
목 적:정신분열병 환자에 대한 이중 맹검 통제 연
구에서 리스페리돈은 일일 용량 4∼8 mg에서 할로페
리돌과 유사한 효능이 있으며 추체외로 부작용의 발생
률이 낮은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본 연구는 자연적인
임상 상황에서 정신분열병 환자에 대한 리스페리돈의
임상적 효과를 평가하고, 리스페리돈에 대한 치료 반응
의 임상적 예측 인자를 알아보았다.
방 법:1997년 5월부터 1999년 4월까지 계명대학교
동산의료원 정신과에 DSM-Ⅳ 진단 기준에 의거하여
정신분열병으로 진단되어 입원 치료를 받은 환자들 중
리스페리돈을 처음으로 사용한 환자 62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대상 환자들에 대한 약물 치료는 입원 치료 동안
에 각 주치의의 자율적인 임상적 판단에 의해 이루어졌
다. 이들의 병상 기록 검토를 통해 리스페리돈에 대한 반
응과 이와 관련된 임상적 요인들을 평가하였다. 리스페
리돈에 대한 반응은 Susan L. McElroy 등이 고안한 4
점 척도를 사용하여 평가하였고, 이에 근거하여 대상군
을 반응군과 비반응군으로 나누어 평가하였다. 통계 분
석은 변수 척도의 특성에 따라 카이-승 검정, Fisher의
직접확률법, student t-검정, Mann-Whitney U 검정
등을 시행하였다. 통계적 유의수준은 p<0.05로 하였다.
결 과:1) 전체 62명중에서 31명(50%)이 반응군
에 속했고, 14명(22.6%)은 리스페리돈과 다른 약물
(타 항정신병약물, 리튬, 카바마제핀, 항우울제)을 병용
투여받았다. 2) 성별, 연령, 교육 정도, 발병 연령, 이환
기간, 입원 횟수, 가족력에서 두 군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3) 이전에 사용한 항정신병 약물의 종류와 사
용 기간, 항정신병 약물의 배설 기간, 리스페리돈의 사
용 용량과 사용 기간, 추체외로 부작용의 발생 빈도, 추
체외로 부작용에 대한 항콜린제의 사용 유무 등에서 두
군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4) 현 삽화의 입원 기간은
반응군이 비반응군에 비해서 유의하게 짧았다(p=.027).
5) 기혼인 경우가 미혼인 경우보다 반응이 유의하게
좋았다(p=.046). 6) 망상형이 미분화형에 비해 반응
이 유의하게 좋았다(p=.041). 7) 이전에 다른 항정신
병 약물을 사용하지 않았던 환자들이 사용했던 환자들
에 비해 리스페리돈에 대한 반응이 유의하게 높았다(p
=.009).
결 론:리스페리돈에 대한 좋은 반응을 시사하는 요
인은 기혼인 경우와 망상형의 정신분열병이었으며 이
외 다른 임상적 특성에서는 치료 반응을 예측하는 요인
이 발견되지 않았다. 그러나 이전에 다른 항정신병 약
물을 사용하지 않았던 환자들이 사용했던 환자들에 비
해 리스페리돈에 대한 반응이 유의하게 좋았는데 이것
은 정신분열병의 약물 치료에서 리스페리돈이 일차 선
택 약물로서 가치가 높다는 것을 시사한다.
Alternative Title
Predictors of Treatment Response with Risperidone in Schizophrenia
Keimyung Author(s)(Kor)
김희철
Publisher
School of Medicine
Citation
박철진 and 김희철. (2000). 정신분열병에 대한 리스페리돈의 치료 예측인자. 대한정신약물학회지, 11(1), 57–66.
Type
Article
ISSN
1017-5717
URI
https://kumel.medlib.dsmc.or.kr/handle/2015.oak/39485
Appears in Collections:
1. School of Medicine (의과대학) > Dept. of Psychiatry (정신건강의학)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 엠바고Forever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