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명대학교 의학도서관 Repository

치골 결합부 분리의 수술적 치료

Metadata Downloads
Author(s)
민병우전시현
Keimyung Author(s)
Min, Byung WooJeon, Si Hyun
Department
Dept. of Orthopedic Surgery (정형외과학)
Journal Title
대한정형외과학회지
Issued Date
2000
Volume
35
Issue
3
Keyword
Pelvic injurySymphyseal disruptionOpen recution and internal fixation골반골절치골 결하부 분리관혈적 정복술 및 금속 내고정술
Abstract
Purpose : To evaluate the efficacy of open reduction and internal fixation for disrupted symph­ysis pubis in unstable pelvic injuries.
Materials and Methods : Eighteen symphyseal disruptions were treated by open reduction and internal fixation from 1994 to 1998. There were 12 Tile type Band 6 type C injuries. In 12 patients, anterior fixation was performed whereas six patients were treated by anterior and posterior fixation. The clinical and radiological results were reviewed retrospectively at a mean of 20.4 months (range, 12 to 44 months).
Results : The average symphyseal displacement improved from a preoperative value of 37.3 mm (range, 10-87 mm) to a postoperative value of 6.5 mm (range, 2-14 mm). Leg length discrep­ancy which averaged 11.8 mm (range, 4-30 mm) preoperatively was decreased to 2.3 mm (range, 0-7 mm) postoperatively. Open reduction and internal fixation was associated with a higher per­centage of excellent results except in osteoporotic bone. Two patients with osteoporosis had a loss of fixation. Complications were infrequent.
Conclusion : Open reduction and internal fixation are desirable techniques for symphyseal dis­ruption. But the supplemental wire fixation with plate would be recommended for elderly patients who show obvious signs of osteoporosis.
목적 : 불안정성 골반골절시 치골 결합부 분리에 대한 관혈적 정복술 및 금속 내고정술의 효용성을 분석. 대상 및 방법 : 1994년 5월부터 1998년 5월까지 관혈적 정복술 및 금속 내고정술을 시행하고 1년 이상 추시 관찰이 가능하였던 18례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골절의 분류는 Tile B형이 12례, C형이 6례였으며 수술방법은 전방 골반환에 대해서는 전례에서 전방도달법을 사용하여 개방성 골절 1례를 제외하고 재성형 금속판 및 나사못을 사용하여 고정하고 후방 골반환 불안정성을 동반한 6례에서는 후방 골반환도 함께 고정하였다. 결과 : 치골 결합부 분리 정도는 술전 평균 37.3 mm (10-87 mm)에서 술후 6.5 mm (2-14 mm)로 호전되었으며 하지길이 부동도 술전 11.8 mm (4-30 mm)에서 술후 2.3 mm (0-7 mm)로 호전되었고 수술 직후 18례 전례에서 만족할 만한 해부학적 정복을 얻을 수 있었으나 골조송증이 있는 2례에서 추시 기간 중 고정소실이 있었다. 결론 : 치골 결합부 분리시 관혈적 정복술 및 금속 내고정술은 만족할 만한 결과를 보이나 골조송증이 심할 경우 금속판 및 나사못에 장력긴장대 강선을 부가하는 것이 고정실패를 줄일 수 있는 방법으로 사료된다.
Alternative Title
Operative Treatment of Symphyseal Disruption
Keimyung Author(s)(Kor)
민병우
전시현
Publisher
School of Medicine
Citation
민병우 and 전시현. (2000). 치골 결합부 분리의 수술적 치료. 대한정형외과학회지, 35(3), 511–517.
Type
Article
ISSN
1226-2102
URI
https://kumel.medlib.dsmc.or.kr/handle/2015.oak/39556
Appears in Collections:
1. School of Medicine (의과대학) > Dept. of Orthopedic Surgery (정형외과학)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