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명대학교 의학도서관 Repository

손목에서 관찰된 이분정중신경의 초음파소견

Metadata Downloads
Author(s)
박희진박노혁조준희이성문
Keimyung Author(s)
Lee, Sung Mun
Department
Dept. of Radiology (영상의학)
Journal Title
대한초음파의학회지
Issued Date
2009
Volume
28
Issue
3
Keyword
Ultrasound (US)Median nerveBifidPersistent median arteryCarpal tunnel syndrome
Abstract
Purpose: We wanted to evaluate the ultrasonographic findings of bifid median
nerve and its clinical significance.
Materials and Methods: We retrospectively reviewed five cases (three men and
two women, mean age: 54 years) of incidentally found bifid median nerve from 264
cases of clinically suspected carpal-tunnel syndrome that were seen at our hospital
during last 6 years. Doppler sonography was performed in all five cases and MR
angiography was done in one case for detecting a persistent median artery. The difference
(ΔCSA) between the sum of the cross-sectional areas of the bifid median
nerve at the pisiform level (CSA2) and the cross-sectional area proximal to the bifurcation(
CSA1) was calculated.
Results: The incidence of a bifid median nerve was 1.9%. All the patients presented
with a tingling sensation on a hand and two patients had nocturnal pain. All the cases
showed bifurcation of the nerve bundle proximal to the carpal tunnel. The margins
appeared relatively smooth and each bundle showed a characteristic fascicular pattern.
A persistent median artery was noted between the bundles in four cases. ΔCSA was
more than 2 mm2 in four cases.
Conclusions: Bifid median nerve with a persistent median artery is a relatively rare
normal variance and these are very important findings before performing surgical
intervention to avoid potential nerve injury and massive bleeding. We highly suggest
that radiologists should understand the anatomical characteristics of this anomaly and
make efforts to detect it.
목적: 손목에서 관찰된 이분정중신경 (bifid median
nerve)의 초음파소견을 분석하고 잔류 정중동맥 (persistent
median artery)과의 연관성과 함께 그 의미를 고찰해 보
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최근 6년 간 임상적으로 손목굴증후군이
의심되어 초음파 검사를 시행한 264예 중 이분 정중 신경
5예의 초음파 소견을 분석하였다. 모든 예에서 색도플러
검사를 시행하였으며 1예에서는 자기공명영상과 자기공
명혈관조영술을 같이 시행하였다. 남자가 3명 여자가 2명
이었으며 평균 연령은 54세였다. 두 개로 두상골 부위에서
나뉘어진 정중신경 단면적의 합 (Cross sectional area
CSA 2)과 나누어지기 직전의 단면적 (CSA 1)의 차이
(ΔCSA)를 구하였다.
결과: 이분 정중신경의 빈도는 1.9%였다. 모두 손에 저
린 증상 (tingling sensation)이 있었고 2예에서는 야간통
(nocturnal pain)이 있었다. 전 예에서 정중신경은 손목굴
상방에서 분지되었으며 각 다발은 특징적인 섬유속 (fascicular)
형태를 유지하였다. 5예 중 4예에서 잔류 정중 동
맥을 관찰할 수 있었다. ΔCSA는 5예중 4예에서 2 mm2이
상이었다.
결론: 이분정중신경은 우연히 발견되는 드문 정상변형
으로 잔존 정중 동맥과 같이 발견되는 경우가 흔하며 손목
터널 완화 수술 시 신경손상과 대량 출혈을 피하기 위해 술
전에 확인해야 하는 중요한 소견이므로 이에 대한 충분한
숙지와 찾으려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Alternative Title
The Ultrasonographic Findings of Bifid Median Nerve
Keimyung Author(s)(Kor)
이성문
Publisher
School of Medicine
Citation
박희진 et al. (2009). 손목에서 관찰된 이분정중신경의 초음파소견. 대한초음파의학회지, 28(3), 179–183.
Type
Article
ISSN
1015-7085
URI
https://kumel.medlib.dsmc.or.kr/handle/2015.oak/39683
Appears in Collections:
1. School of Medicine (의과대학) > Dept. of Radiology (영상의학)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 엠바고Forever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