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서 삼차신경절내 신경세포체의 치아이동에 따른
CGRP 면역염색성의 변화
- Author(s)
- 박효상; 박국필; 성재현
- Keimyung Author(s)
- Park, Hyo Sang
- Department
- Dept. of Dentistry (치과학)
- Journal Title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Issued Date
- 1997
- Volume
- 27
- Issue
- 4
- Keyword
- CGRP immunopositive nerve cell body; Trigeminal ganglion; Tooth movement; CGRP 면역양성 신경세포체; 삼차 신경절; 치아이동
- Abstract
- GRP was known as the modulator of pain transmission in central nervous system and local effector to peripheral tissue
causing vasodilation, increased blood flow, modulation of immune sysem, stimulation of endothelial cell proliferation, and
stimulation of bone formation. Numerous study, therefore, were done to elucidate involvement of CGRP to tooth movement.
To investgate the response of CGRP immunoreactive nerve cells according to cell size in trigeminal ganglion during tooth
movement, immunohistochemical study was performed using rat.
Experimental rats(9 weeks old, 210 gm) were divided as six groups( normal(n=6), 3 hour group(n二5), 12 hour grouptn=4),
1 day group(n=5), 3 day group(n二5), 7 day group(n=5)), and were applied orthodontic force (approximately 30 gm) to upper
right maxillary molar.
After frozen sections of trigeminal ganglions were immunostained using rabbit antisera, the changes of CGRP
immunoreactive cells in regard to cell size distribution(small celKupto 20
im), medium cell(20—35 lim), large celKabove 35
im)) were observ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percentage of CGRP immunoreactive cells to all nerve cells in trigeminal ganglion was 33.0% in normal control group,
was decreased to 24.5% in 1 day group, and was increased to 41.8% in 7 day group.
2. The percentage of small, medium, and large cells expressing CGRP immunoreactivity in normal trigeminal ganglion to
all CGRP immunoreactive cells were 51.3%, 44.0%, 4.7%, respectively.
3. The percentage of small cells with CGRP immunoreactivity to all CGRP immunopositive cells was increased in 3 hour
and 12 hour groups.
4. The percentage of medium cells with CGRP immunoreactivity was increaed in 3 day and 7 day groups.
5. The percentage of large cells with CGRP immunoreactivity was increaed in 7 day group.
Conclusively, the small cells with CGRP immunoreactivity in trigeminal ganglion respond to orthodontic force during
initial phase of tooth movement’ and later the medium and large cells with CGRP immunoreactivity respond.
이 연구의 목적은 중추신경계에서는 동통의 전달을 조절하며 말초조직에서는 혈관 이완, 면역체계의 조절, 탐식기능
조절 등의 염증에 관여되며 골 생성에도 관여하여 치아이동시 중요한 기능을 할 것으로 추측되고 있는 CGRP의 생성
장소인 삼차신경절내의 세포체의 크기에 따른 CGRP 면역 반응성의 변화를 관찰하여 삼차 신경절내 CGRP 면역양성
을 띄는 각 크기의 세포들의 치아이동의 시간 경과에 따른 반응을 밝혀보고자 하는 것이다.
생푸 9 주령의 Sprague-Dawley계 백서 30 마리를 정상 대조군 6 마리, 3 시간 교정력 적용군 5 마리, 12 시간군
4 마리, 1 일군 5 마리, 3 일군 5 마리, 7 일군 5 마리로 나누어 실험군은 각 해당 시간동안 상악 우측 제 1대구치에
3 0 g m 내외의 교정력을 가한 후 희생시켰다.
희생시킨 백서의 삼차 신경절을 적출 하여 냉동 절편을 형성한 후 토끼의 항체를 이용하여 면역화학 염색을 시행
하였다. 삼차 신경절의 CGRP 면역양성 신경세포체를 크기에 따라 소형 (20 U m 미만), 중형(20-35 U m), 대형(35
U rn 초과)으로 나누어 교정력 적용시간에 따른 변화를 관찰하였다.
1. 삼차 신경절내 전 신경세포체중 CGRP 면역양성 신경세포체가 차지하는 비율은 정상 대조군이 33.0% 였으며 교정
력적용후 1 일 후에는 24.5%로 감소하였으나 7 일 후에는 41.8%로 증가하였다.
2. 정상 대조군에서 CGRP 면역양성 신경세포체중 소형, 중형, 대형은 각각 51.4%, 44.0%, 4.7%였다.
3. 소형의 CGRP 면역양성 신경세포체는 3 시간 , 12 시간 군에서 높게 나타났다.
4. 중형의 CGRP 면역양성 신경세포체는 3 일, 7 일군에서 대형의 CGRP 면역양성 신경세포체는 7 일군에 높게 나타났
다.
위를 종합하여 볼 때 치아이동 초기에는 CGRP 면역양성 신경세포체중 소형의 세포가, 후기에는 중형, 대형의
세포가 반응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공개 및 라이선스
-
- 파일 목록
-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