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명대학교 의학도서관 Repository

만성 B형 간염환자의 말초혈액에서의 바이러스의 검출 및 자매염색분체교환

Metadata Downloads
Author(s)
최우익김대광
Keimyung Author(s)
Choi, Woo IkKim, Dae Kwang
Department
Dept. of Emergency Medicine (응급의학)
Dept. of Medical Genetics (의학유전학)
Journal Title
대한해부학회지
Issued Date
1999
Volume
32
Issue
5
Keyword
Sister chromatid exchangeHepatitis B virus DNAPeripheral blood자매염색분체교환B형 간암 바이러스-DNA말초혈액
Abstract
In the present study author investigated 48 patients with chronic hepatitis B for the presence of peripheral blood
HBV-DNA with the aid of DNA molecular techniques. HBV-DNA was detected in peripheral blood cells in 34 of
48 (70.8%) of chronic HBsAg positive patients. In order to know that the presence of HBV-DNA in peripheral blood
induce more chromosomal instability in comparison with the absent, frequency of SCE was analyzed in peripheral
blood.
In HBV-DNA positive chronic hepatitis B patients a mean frequency of SCE was 11.5452±0.6944, in HBV-DNA
negative patients 11.7540±0.7032, respectively. Both groups had significantly higher SCE frequence than that of
normal control group (5.8533±0.437) (p<0.05).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m.
This study may suggest that the presence of HBV-DNA in peripheral blood of patients with chronic hepatitis B may
be related to certain pathogenetic processes in HBV infection, but it may have no effect on chromosomal instability in
peripheral blood.
HBsAg을 보유한 간암환자의 조직에서 hepatitis B virus (HBV) DNA가 많이 검출되며, 일부 검출된 HBV-DNA는 숙주세
포의 게놈에 통합되어 암유전자들을 활성화 시키는 경우도 있어 간세포에서 검출되는 HBV-DNA는 간암 발생에 중요한 역
할을 할 것으로 추정되었다. HBV-DNA는 간조직 다음으로 백혈구에서 가장 많이 검출된다. HBV-DNA가 사람 혈액세포에
존재하여 어떠한 기능을 하는 지는 아직 모르지만, HBV 감염에 의한 여러 병리기전에 관여할 것으로 추정된다. SCE는 체내
에 스트레스를 유발하는 물질들을 세포유전학적으로 검출할 수 있는 방법인데 여러 돌연변이물질, 발암물질, 바이러스 감염,
그리고 암에 의해 SCE 빈도가 높게 나타난다.
본 연구에서는 48명의 만성 간염환자의 말초혈액의 DNA에서 HBV-DNA를 34명에서 검출하였다. 말초혈액에서 검출된
HBV-DNA가 백혈구에 어떠한 역할을 하는지 모르지만, HBV-DNA 양성과 음성인 만성 간염환자에서 말초혈액에서의 염
색체 불안정성을 조사해 보았다. 두 실험군에서의 SCE 빈도는 대조군 보다도 유의성 있게 높게 나타났으나, HBV-DNA 양
성과 음성 실험군 사이에서는 유의성이 없었다.
이 연구에서 말초혈액에서 HBV-DNA의 검출과는 무관하게 간염환자에서 대조군에 비해 높은 빈도의 SCE가 일어나는
것은 B형 간염 바이러스 감염에 의한 결과로 추정되며, 간염환자의 말초혈액에서 검출되는 HBV-DNA는 대부분의 간암에
서 검출되는 HBV-DNA와 마찬가지로 비특이적인 것으로 추정된다. 앞으로 HBV 게놈을 구성하는 4개의 유전자중 어느 유
전자가 간염환자의 말초혈액에서 검출되며 또 백혈구의 어느 세포에서 발견되는지를 추후 조사해 보고자 한다.
Alternative Title
Detection of Hepatitis B Virus DNA and Sister
Chromatid Exchange in Peripheral Bloods from Patients with Chronic Hepatitis B
Keimyung Author(s)(Kor)
최우익
김대광
Publisher
School of Medicine
Citation
최우익 and 김대광. (1999). 만성 B형 간염환자의 말초혈액에서의 바이러스의 검출 및 자매염색분체교환. 대한해부학회지, 32(5), 629–635.
Type
Article
ISSN
1225-1305
URI
https://kumel.medlib.dsmc.or.kr/handle/2015.oak/39925
Appears in Collections:
1. School of Medicine (의과대학) > Dept. of Emergency Medicine (응급의학)
1. School of Medicine (의과대학) > Dept. of Medical Genetics (의학유전학)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 엠바고Forever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