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소 전립선암에서 수술 전 자기공명영상으로 확인된 종양의 중요성
- Author(s)
- 신택준
- Issued Date
- 2019-08
- Abstract
- We analyzed the significance and prognosis of tumor detected by preoperative 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 in patients with localized prostate cancer who underwent radical prostatectomy. We reviewed 214 patients with pT2N0M0 prostate cancer who underwent radical prostatectomy between 2009 and 2016. All the patients performed MRI preoperatively. The patients were divided into 2 groups postoperatively: no visible tumor on MRI group (n=96, 44.9%) and visible tumor on MRI group (n=118, 55.1%). The visible tumor was defined as Prostate Imaging Reporting and Data System (PI-RADS) version 2 ≥ 3 on MRI.Age, prostate-specific antigen (PSA), prostate volume, positive surgical margin, lymphovascular invasion and biochemical recurrence (BCR) were compared between the 2 groups. As well we assessed the relationship between visible tumor on MRI and oncologic characteristics. Visible tumor on MRI group showed more Gleason score ≥4+3 (45.8% vs. 17.7%), more postoperative positive surgical margin (28.8% vs. 16.7%), and higher BCR rate (17.8% vs. 7.3%) than no visible tumor on MRI group. The Kaplan-Meier analysis for BCR free survival also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p=0.006). In multivariate Cox regression analysis, the detection of tumor on MRI was associated with a higher BCR risk (HR: 3.35; 95% CI, 1.36-8.27; p=0.009). For Gleason score, we found a positive association between visible tumor on MRI and primary Gleason pattern ≥4 (OR: 4.31; 95% CI, 2.21-8.40; p<0.001). In localizedprostate cancer, BCR was significantly more frequent when tumor was detected on MRI, and visible tumor on MRI was associated with Gleason score. Therefore, attention should be paid to the possibility of high grade prostate cancer when tumor was detected on MRI before radical prostatectomy, and active follow-up may be needed after surgery.
근치적 전립선 절제술을 시행한 국소 전립선암 환자에서 수술 전 자기공명영상(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으로 확인된 종양의 중요성과 예후를 조사하였다. 2009년 1월부터 2016년 12월까지 본원에서 근치적 전립선 절제술을 받은 전립선암 환자 중 술 전 MRI를 시행한 병리학적 병기 T2N0M0 환자를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총 214명의 환자들을 MRI에서 종양이 확인되지 않은 군과 확인된 군으로 나누었고, 두 군 간의 연령, 수술 전 전립선 특이항원(prostate-specific antigen, PSA), 수술 전 전립선 용적, 수술 전 전립선 특이항원 밀도(PSA density, PSAD), 수술 후 병리학적 Gleason 점수, 병리학적 종양 용적, 수술 절제면 양성(positive surgical margins, PSM) 유무, 림프-혈관계 침범(lymphovascular invasion, LVI) 유무, 생화학적 재발(biochemical recurrence, BCR) 유무 등을 비교하였다. 또한 MRI에서 종양이 확인된 경우와 PSAD, 종양 용적, Gleason 점수와의 상관관계를 조사하였다. 종양이 확인된 군은 전립선 영상보고 및 데이터 시스템(Prostate Imaging Reporting and Data System, PI-RADS) version 2를 이용하여 MRI에서 3점 이상인 경우로 정의하였다. MRI에서 종양이 확인되지 않은 군은 96명(44.9%), 확인된 군은 118명(55.1%)이었다. MRI에서 종양이 확인된 군은 확인되지 않은 군과 비교하여 Gleason 점수 4+3 이상이 더 많았고(45.8% 대 17.7%), PSM 이 더 많았으며(28.8% 대 16.7%), BCR 비율이 더 높았다(17.8% 대 7.3%). 생화학적 무재발 생존율(BCR free survival)은 MRI를 통해 종양이 확인된 군에서 더 낮았다(p=0.006). 다변량 분석에서는 MRI에서 종양이 확인된 군이 BCR 위험이 더 높았고(HR: 3.35; 95% CI, 1.36-8.27; p=0.009), 첫번째 Gleason pattern 4 이상과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OR: 4.31; 95% CI, 2.21-8.40; p<0.001). 국소 전립선암에서 BCR은 MRI에서 종양이 확인된 경우 더 빈번하게 나타났으며, MRI에서 종양이 확인되는 것은 Gleason 점수와 관련이 있었다. 따라서 전립선암 환자가 근치적 전립선 절제술 전에 MRI를 통해 종양이 탐지되었을 때 의사는 고등급 전립선암의 가능성을 인지하고 BCR 가능성을 고려하여 수술 후 적극적인 관찰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 공개 및 라이선스
-
- 파일 목록
-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