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명대학교 의학도서관 Repository

갑상샘눈병증에서 갑상샘 자극 면역글로불린 수치의 변화에 따른 망막 및 맥락막혈관의 변화

Metadata Downloads
Author(s)
Jaekyoung LeeDong Cheol Lee
Keimyung Author(s)
Lee, Dong Cheol
Department
Dept. of Ophthalmology (안과학)
Journal Title
대한안과학회지
Issued Date
2021
Volume
62
Issue
5
Keyword
Graves ophthalmopathyOptical coherence tomographyRetinal vesselsThyroid-stimulating immunoglobulin
Abstract
Purpose:
To investigate the changes in retinal and choroidal vessels according to changes in thyroid stimulating immunoglobulin (TSI) in patients with thyroid eye disease (TED).

Methods:
A total of 41 patients (82 eyes) with TED were enrolled. The subjec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an experimental group with clinically significant TSI sample-to-reference ratio (%) abnormalities (> 140) and a control group. Within the experimental group, the median value of 451 was used to further classify patients into groups A and B. Using optical coherence tomography/angiography, the sizes of the superficial fovea avascular zone (sFAZ) and deep fovea avascular zone, the diameter of the macular center 1 mm fovea, 3 mm parafovea superficial capillary plexus density (sCPD), deep capillary plexus density, choroidal thickness, and choroidal vascularity index were measured.

Results:
In the experimental group, the change in the TSI value and the change in the 3 mm parafovea sCPD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p = 0.040) with a correlation coefficient of 0.307. Among group B patients of the experimental group, the changes in the TSI value and sFAZ showed a strong negative correlation (-0.417), but it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p = 0.053).

Conclusions:
In TED patients with clinically significant TSI levels (> 140), blood vessel density in the superficial layer of the 3 mm parafovea significantly increased with TSI. Especially in the high TSI (≥ 451) group, superficial retinal vessel density.
목적:
갑상샘눈병증 환자에서 갑상샘 자극 면역글로불린 수치 변화에 따른 망막 및 맥락막혈관의 변화를 분석하여, 혈청 수치 변화에 따른 안구 내 혈관의 변화를 알아보고자 한다.

대상과 방법:
갑상샘눈병증으로 진단받은 41명을 대상으로 내원 당시 임상적으로 유의미한 갑상샘 자극 면역글로불린 sample-to-reference ratio (%) 이상(>140)을 보인 실험군과 그렇지 않은 대조군으로 나누었다. 실험군 내에서는 중앙값 451을 기준으로 그룹 A와 B로 나누었다. 빛간섭단층촬영과 빛간섭단층혈관조영을 이용하여 망막의 표층부 무혈관 부위 및 심층부 무혈관 부위, 황반부중심의 지름 1 mm 중심와, 3 mm 중심와부근 영역의 표층모세혈관총밀도, 심층모세혈관총밀도 및 맥락막두께, 맥락막혈관지수를 측정하였다.

결과:
실험군에서 갑상샘 자극 면역글로불린 수치의 변화와 3 mm 중심와부근 표층모세혈관총밀도의 변화는 상관계수 0.307로 뚜렷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고,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p=0.040). 실험군 내 그룹 B에서 갑상샘 자극 면역글로불린 수치의 변화와 표층부 무혈관 부위가 상관계수 -0.417로 강한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p=0.053).

결론:
갑상샘 자극 면역글로불린 이상(>140)을 가진 갑상샘눈병증 환자에서 갑상샘 자극 면역글로불린이 증가할수록 3 mm 중심와부근 표층모세혈관총밀도가 유의하게 커지며, 특히 중등도 이상(갑상샘 자극 면역글로불린 ≥ 451)의 군에서 수치가 증가할 때, 표층의 망막혈관 밀도와 맥락막혈류의 증가하는 것으로 생각되며, 이 보상기전에 의해 표층부 무혈관 부위는 줄어드는 경향을 보였다.
Alternative Title
Correlation between Changes in Thyroid Stimulating Immunoglobulin Levels and Chorioretinal Vessels in Thyroid Eye Disease
Keimyung Author(s)(Kor)
이동철
Publisher
School of Medicine (의과대학)
Citation
Jaekyoung Lee and Dong Cheol Lee. (2021). 갑상샘눈병증에서 갑상샘 자극 면역글로불린 수치의 변화에 따른 망막 및 맥락막혈관의 변화. 대한안과학회지, 62(5), 595–604. doi: 10.3341/jkos.2021.62.5.595
Type
Article
ISSN
2092--9374
Source
https://www.jkos.org/journal/view.php?number=13406
DOI
10.3341/jkos.2021.62.5.595
URI
https://kumel.medlib.dsmc.or.kr/handle/2015.oak/43527
Appears in Collections:
1. School of Medicine (의과대학) > Dept. of Ophthalmology (안과학)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