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명대학교 의학도서관 Repository

지각된 스트레스 수준에 따른 혈중 코티졸과 유전적 특성에 관한 연구

Metadata Downloads
Author(s)
김아영
Issued Date
2021-08
Abstract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ssociation of serum cortisol levels, telomere length, and mitochondrial DNA copy number based on perceived stress scores of adults in local communities.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December 2020 to March 2021. The subjects were 135 adults over the age of 40 local communities in a D metropolitan city. The level of perceived stress over the past month was measured using the Perceived Stress Score. Serum cortisol was analyzed using a chemiluminescent microparticle immunoassay, and telomere length and mitochondrial DNA copy number were determined using quantitative real-time polymerase chain reaction. The statistical package SPSS 23.0 was used to perform Chi-square test, independent t-test, the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alysis,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1. Telomere length in the high perceived stress group showed shortening when compared with that in the low perceived stress group (t=2.70, p=.008). 2. Perceived stress and telomere length were negatively correlated (r=-.28, p<.001), whereas telomere length and mitochondrial DNA copy number were positively correlated (r=.31, p<.001). 3. Factors that significantly affected the telomere length of subjects were perceived stress (β=-.25, p=.002) and mitochondrial DNA copy number (β=.28, p<.001). The total explanatory power was 14.4% (F=12.26, p<.001). In conclusion, Perceived stress was associated with shortening of telomere length and not with mitochondrial DNA copy number. therefore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perceived stress may induce physiological stress, which may partially affect genetic characteristics. this research can be used as both research material and practical information in clinical tests that will allow us to come up with a more through and integrated treatment approach through understan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stress and the genetic characteristics.
본 연구는 지역사회 거주 성인을 대상으로 지각된 스트레스 수준에 따른 혈중 코티졸, 텔로미어 길이 및 미토콘드리아 DNA 복제수의 차이와 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시도된 연구이다. 연구대상자는 D 광역시의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40세 이상의 성인 135명이었으며, 자료 수집 기간은 2020년 12월부터 2021년 3월까지였다. 지각된 스트레스 척도를 사용하여 대상자가 인지한 지난 한 달 동안의 스트레스를 측정하였으며 혈중 코티졸은 화학발광 미세입자 면역분석 기술을 이용하여 분석하였고, 텔로미어 길이와 미토콘드리아 DNA 복제수는 정량적 실시간 중합효소연쇄반응(Quantitative Real-Time Polymerase Chain Reaction)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3.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Chi-square test, 독립표본 t-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Stepwise Multiple Regression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지각된 스트레스가 높은 대상자의 텔로미어 길이는 지각된 스트레스가 낮은 대상자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한 단축을 보였다(t=2.70, p=.008). 2. 지각된 스트레스와 텔로미어 길이는 유의한 부적 상관관계(r=-.28, p<.001), 텔로미어 길이와 미토콘드리아 DNA 복제수는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r=.31, p<.001). 3. 텔로미어 길이의 영향요인은 지각된 스트레스(β=-.25, p=.002)와 미토콘드리아 DNA 복제수로(β=.28, p<.001) 나타났으며, 설명력은 14.4%이었다(F=12.26, p<.001). 결론적으로 지각된 스트레스는 텔로미어 길이의 단축과 관련이 있었으며 미토콘드리아 DNA 복제수와는 연관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는 스트레스와 유전적 특성의 관계를 확인함으로써 근본적이고 통합적인 치료적 접근을 위한 임상적 검사의 연구 및 실무의 기초정보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Alternative Title
Association of serum cortisol, telomere length, and mitochondrial DNA copy number according to perceived stress score
Awarded Date
2021-08
Degree
석사
Citation
김아영. (202108). 지각된 스트레스 수준에 따른 혈중 코티졸과 유전적 특성에 관한 연구.
Type
Thesis
Source
http://www.dcollection.net/handler/kmu/000000119451
URI
https://kumel.medlib.dsmc.or.kr/handle/2015.oak/43915
Appears in Collections:
2. College of Nursing (간호대학) > 석사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